항목

  • 송저 宋詝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양주(楊州). 어려서부터 총명하였고 의종(毅宗) 때 등제(登第)하였다. 합문지후(閤門祗候)로 있을 때 정중부(鄭仲夫)의 난이 있었으나 평소에 쌓은 덕으로 화를 면하였다. 1178년(명종 8) 어사중승(御史中丞)으로 법을 위반한 정중부의 가노(家奴)를 치죄하다가 정중부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양주(楊州)
  • 무신정권 武臣政權, Military Rule
    급급했다. 그들은 무신들의 회의기구인 중방을 중심으로 권력을 행사하며 저마다 사병을 기르고 재산을 늘려 권력쟁탈전에 나섰다. 거병을 처음 도모한 정중부, 이의방, 이고 가운데 이고가 가장 먼저 이의방에게 죽고, 이의방은 다시 정중부에게 제거되었다. 정중부도 1179년 경대승에게 제거되고 말았다. 하지만...
    시대 :
    1170년~1270년
  • 조위총의 반란
    앉아서 죽임을 당할 수는 없는 일이지 않는가. 군졸들을 모아서 속히 서경으로 오라!” 조위총은 자비령 이북의 40여 성이 호응해 오자 그 세력을 규합하여 정중부의 중앙정부에 반기를 들었다. 이 소식을 들은 정중부는 윤인첨과 두경승을 보내어 반란군을 토벌케 했으나 반란군의 세력이 막강해서 토벌군은 반란군을...
  • 만적 봉기 무신 권력에 대항한 민중의 항쟁
    배경 1070년 정중부 등 무신들이 의종을 추방하고 명종을 세우다. 1176년 공주 명학소에서 망이, 망소이의 난이 일어났으나 이듬해 항복하다. 1184년 경대승 사후 이의민이 정권을 잡았으며, 무신들의 농민 수탈이 심해지다. 설명 고려 신종(神宗, 재위 1197~1204) 원년인 1198년 5월, 수도인 개경 송악산에서 노비 만적...
    시대 :
    1198년
  • 보현원사건 무신정변, 普賢院事件
    및 결과 1170년(의종 24) 8월에도 의종이 신하들을 거느리고 연복정(延福亭)과 흥왕사(興王寺)를 거쳐 보현원으로 행차하였는데, 호위하던 대장군(大將軍) 정중부, 견룡행수(牽龍行首) 산원(散員) 이의방(李義方) · 이고(李高) 등은 흥왕사에서 이미 문신들을 살해하고자 모의하였다. 이때 마침 행차 도중에 기거주...
    시대 :
    고려 후기
    유형 :
    사건/사회운동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조위총의 난
    했다. 이에 연주성(延州城)만을 제외한 절령 이북의 40여 성이 모두 호응해왔다. 그러자 조위총은 1170년에 일어난 무인정변 이후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을 제거하고 나라를 바로잡는다는 명분으로 거병했다(무인정권). 고려 조정은 조위총군을 토벌하기 위해 중서시랑평장사 윤인첨(尹鱗...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고려의 건국과 정치사의 전개
    인해 이자겸(李資謙)의 난과 묘청(妙淸)의 난이 일어났다. 문벌귀족이 지배하던 사회는 위기에 처했고, 마침내 무인란(武人亂)으로 붕괴되었다. 1170년 정중부(鄭仲夫) 등이 주도한 무인란은 무반에 대한 차별과 군인의 불만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정변으로, 고려사회를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시켰다(→ 정중부의 난...
  • 김보당의 난 계사의 난
    동북면병마사로 나가게 되었다. 김보당은 동북면의 병권을 맡게 된 것을 기화로 병마녹사 장순석·이경직(李敬直)과 모의하여 1173년(명종 3) 8월에 정중부·이의방(李義方) 토벌과 의종의 복위를 외치며 군사를 일으켰다. 장순석과 유인준은 수백 명의 군사를 이끌고 거제로 가서 의종을 받들고 경주로 나와 웅거하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무신 정변 武臣政變
    관료의 대항으로 인해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이 일어났다. 문벌귀족이 지배하던 사회는 위기에 처했고, 마침내 무인란(武人亂)으로 붕괴되었다. 1170년 정중부 등이 주도한 무인란은 무반에 대한 차별과 군인의 불만이 원인이 되어 일어난 정변으로, 고려사회를 새로운 국면으로 전환시켰다. 권력을 장악한 무인들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사건/사고
  • 무신정권 무인정권, 武臣政權
    성립배경 무신정권의 성립은 1170년(명종 원년) 정중부(鄭仲夫) 등에 의한 무신정변에서 비롯되었다. 무신정변의 원인은 몇 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첫째, 고려 전기 사회가 문벌 귀족들에 의한 문신 중심의 정치가 행해져 상대적으로 무신들에 대한 차별 대우가 있었다는 점이다. 제도적으로도 무반은 정3품직인 상장군...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조위총 趙位寵
    가계에 대해서 알려진 것이 없다. 1170년(의종 24) 이의방(李義方)·정중부 등이 무인정변을 일으켜 의종과 문신들을 죽이고 집권하자, 1174년(명종 4) 이의방과 정중부의 토벌을 명분으로 난을 일으켰다. 먼저 동북면지방의 여러 성에 개경의 중방에서 이 지역을 토벌하고자 이미 군사를 보냈다는 내용의 격문을 돌리고...
    출생 :
    미상
    사망 :
    1176(명종 6)
    국적 :
    고려, 한국
  • 이의민 李義旼
    이의민의 집권과 전횡 정중부를 제거하고 등장한 경대승의 권력 독점은 4년 만에 끝나고 정권은 이의민에게로 돌아갔다. 이의민은 경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소금장수인 이선이며 어머니는 영일현 옥령사의 종이었다. 키가 8척이나 되는 거구에다 힘이 천하장사였던 이의민은 젊은 시절 고향에서 형들과 함께 나쁜 짓만...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문관과 무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