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용경 이견(而見), 金龍慶復爵: 관작의 회복)에 앞장서기도 하였다. 북평사(北評事)를 거쳐 시독관으로 육진(六鎭)의 병폐를 정리하는 소를 올려 시행하도록 하였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물러났다가, 다시 1731년 승지에 이어 대사간·이조참의·승지·개성부유수를 역임하였다. 1738년 진하 겸 사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성품은...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8년(숙종 4)
- 사망 :
- 1738년(영조 14)
- 경력 :
- 승지, 개성부유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경주(慶州)
-
이병상 여오(汝五), 李秉常이조참판 등을 지내며, 노론으로 소론에 맞서다가 신임사화 때 파직되기도 하였다. 1725년(영조 1) 대제학을 역임하고, 1727년 지의금부사로 있을 적에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이듬해 한성부판윤으로 기용되었다. 이 해에 대사헌을 역임하고, 황해감사가 내려졌으나, 탕평책 반대의 소를 올려 파직되었다. 1729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6년(숙종 2)
- 사망 :
- 1748년(영조 24)
- 경력 :
- 형조판서, 광주목사, 공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
이봉상 의숙(儀叔), 李鳳祥한성부우윤 등을 역임하였다. 1725년(영조 1) 형조참판으로서 훈련금위대장을 겸임하였다. 이 때 이광좌(李光佐)·조태억(趙泰億) 등의 죄상을 논박하였다가, 정미환국으로 그들이 다시 정권을 잡자 어영대장에서 좌천되어 충청도병마절도사로 나갔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가 반란을 일으켜 청주를 함락하였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6년(숙종 2)
- 사망 :
- 1728년(영조 4)
- 경력 :
- 형조참판, 충청도병마절도사, 훈련금위대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정미환국, 이인좌의 난
- 직업 :
- 무신, 순절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덕수(德水: 지금의 황해북도 개풍)
-
이양신 원량(元亮), 李亮臣영조 2)에 한성부주부에 승진되어 사복시주부와 공조좌랑을 역임하였다. 1727년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부수찬이 되었다. 1729년 부수찬으로 있을 때 정미환국으로 집권한 이광좌(李光佐) 등을 12항의 죄목을 열거하여 탄핵하였는데, 이 일로 곽산에 유배되었다가 다시 경원부로 옮긴 뒤 즉시 방면되었다. 1736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조정순 성지(誠之), 趙正純숙종 36) 사마시에 합격, 헌릉참봉(獻陵參奉)·별검(別檢)·익산군수를 지내고, 1727년(영조 3)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예조정랑·지평을 지냈다. 그 해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집권하자 파직되었다. 다음해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세자시강원필선으로 기용되었고, 이어 성균관사성을 지내고 순천부사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6년(숙종 2)
- 사망 :
- 1732년(영조 8)
- 경력 :
- 지평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임천(林川)
-
조도빈 낙보(樂甫), 趙道彬옥구에 유배되었고, 다시 안음에 이배되었다가 1724년(영조 즉위년) 8월에 풀려나 공조와 병조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1726년 우의정이 되었다가 다음해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집권하자 파직되었다. 1728년 판돈녕부사로 임용되고,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민심진정에 힘썼으며, 그 뒤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시호는 정희...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65년(현종 6)
- 사망 :
- 1729년(영조 5)
- 경력 :
- 판서, 영돈녕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양주(楊州)
-
기유처분 己酉處分과 같은 세력들을 불러 들여 탕평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영조의 노력은 노론 측의 강경 자세로 인해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에 영조는 1727년(영조 3) 정미환국(丁未換局)을 단행, 소론 세력들을 불러들이는 한편 탕평을 주장하던 조문명(趙文命), 조현명(趙顯命), 송인명(宋寅明) 등을 모아 탕평 세력을 구축하기...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관빈 국보(國甫), 趙觀彬돈녕부사로 임명되자 노론 4대신인 김창집(金昌集) · 이이명(李頤命) 등이 죄적(罪籍)에 있으므로 의리상 취임할 수 없다고 그 삭제를 상소하였다. 그 해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 1731년 대사헌에 있으면서 다시 신임사화의 전말을 상소하여 소론의 영수인 이광좌(李光佐)를 탄핵하였다가, 당론을 일삼고 사감으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심택현 여규(汝揆), 沈宅賢못하여 당론이 점차 폐해가 되므로 탕평의 도를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한때 소론의 탄핵으로 낙향하였다가 1725년(영조 1)에 재등용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노론이 대거 파직될 때 다시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2년 뒤에 서용되어 홍치중(洪致中)과 함께 이인좌(李麟佐) 난의 원인을 찾아 완전히...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4년(숙종 즉위)
- 사망 :
- 1736년(영조 12)
- 경력 :
- 한성부판윤, 세자빈객(世子賓客), 판돈녕부사, 좌참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이인좌의 난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청송(靑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