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화호 始華湖
    백로류, 할미새류, 물총새류, 뻐꾸기류 등이, 겨울 철새로는 황둥오리, 청둥오리, 흰죽지오리 등이 관찰된다. 그리고 호수 주변 농경지에서는 천연기념물인 재두루미도 포착된다. 포유류로는 족제비, 너구리 등이, 파충류로는 유혈목이 등이 서식하고 있다. 현황 시화호 인근에는 수질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자연 정화를...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시설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옹진재두루미살이터 甕津―
    오리골 등이 있다. 이 마을을 중심으로 바다 개펄이 펼쳐져 있다. 매봉을 중심으로 소나무가 가장 많고 간간히 참나무를 비롯하여 활엽수가 섞여 있다. 재두루미도래지는 소재지를 중심으로 개활지와 개펄지대를 포함하고 있다. 땅위에 둥지를 틀고 2개의 알을 낳는다. 크기는 두루미보다 약간 작고 색깔은 재색을 띤...
    문화재 지정 :
    북한 천연기념물 제133호
    성격 :
    서식지
    유형 :
    지명
    소재지 :
    황해남도 옹진군 남해노동자구
    분야 :
    과학/동물
  • 안변두루미살이터
    밭이 펼쳐져 있는데, 남쪽으로는 산과 북쪽으로는 안변읍이 있다. 그리고 동쪽으로는 바다가 보인다. 이곳에는 해마다 겨울철에 두루미가 대부분을 이루며 재두루미를 비롯한 다른 두루미들도 찾아온다. 두루미는 해마다 10월 하순부터 이듬해 2월 하순∼3월 중순에 남대천을 중심으로 한 논·갈대밭·습지 등에 날아와...
    문화재 지정 :
    북한 천연기념물 제421호
    성격 :
    서식지
    유형 :
    지명
    소재지 :
    강원도 안변군 육화리
    분야 :
    과학/동물
  • DMZ의 자연(두 번째 묶음) 물총새
    지대에는 멸종위기Ⅰ급 16종(사향노루·산양·수달·흰꼬리수리·두루미·수원청개구리·흰수마자 등), 멸종위기Ⅱ급 75종(담비·삵·하늘다람쥐·백부자·재두루미·물장군·가는돌고기 등)과 함께 천연기념물 43종(산양·매·남생이 등)과 고유종 175종(수원청개구리·각시붕어·제일줄나비·묵납자루 등)이 서식하고...
    발행일 :
    2017.6.5
    발행량 :
    각 350,000장(총 700,000장)
    종수 :
    2
    액면가격 :
    330
    디자인 :
    물총새
    우표번호 :
    3208
    인면 :
    37 x 27
    천공 :
    14 x 13¼
    전지구성 :
    5 x 4
    용지 :
    평판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 UV래커, 철가루 효과
    우표크기 :
    40 x 30
    디자이너 :
    박은경
    인쇄처 :
    한국우편사업진흥원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DMZ의 자연(두 번째 묶음) 다람쥐와 철모
    지대에는 멸종위기Ⅰ급 16종(사향노루·산양·수달·흰꼬리수리·두루미·수원청개구리·흰수마자 등), 멸종위기Ⅱ급 75종(담비·삵·하늘다람쥐·백부자·재두루미·물장군·가는돌고기 등)과 함께 천연기념물 43종(산양·매·남생이 등)과 고유종 175종(수원청개구리·각시붕어·제일줄나비·묵납자루 등)이 서식하고...
    발행일 :
    2017.6.5
    발행량 :
    각 350,000장(총 700,000장)
    종수 :
    2
    액면가격 :
    330
    디자인 :
    다람쥐와 철모
    우표번호 :
    3207
    인면 :
    37 x 27
    천공 :
    14 x 13¼
    전지구성 :
    5 x 4
    용지 :
    평판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 4도, UV래커, 철가루 효과
    우표크기 :
    40 x 30
    디자이너 :
    박은경
    인쇄처 :
    한국우편사업진흥원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배천재두루미살이터 白川─
    역구도천의 사이에 역구도섬과 바다로 되어 있고, 역구도리 동쪽에는 역구도천의 중류지역과 바다해안선을 따라 봉화리와 연결되어 있다. 역구도리 북쪽에는 금성리와 향정리를 만나게 된다. 이 일대는 소나무림이 대부분이다. 재두루미는 해마다 겨울철에 먹이를 먹으러 이곳에 머물다가 다시 봄에 북쪽으로 날아간다.
    문화재 지정 :
    북한 천연기념물 제164호
    성격 :
    서식지
    유형 :
    지명
    소재지 :
    황해남도 배천군 역구도리
    분야 :
    과학/동물
  • 장항습지
    하구 습지 중 가장 많은 동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장항습지는 우리나라 최대의 버드나무 군락지이자 겨울 철새의 월동지이다. 천연기념물이자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 종 2급인 재두루미와 큰 기러기, 청둥오리 등 40여 종 2만여 마리가 찾아오는 생태 낙원이다. 참고문헌 https://www.goyang.go.kr/gojanghang/index.do
    위치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대들길 401 (장항동)
  • 군남홍수조절지 두루미테마파크
    홍수조절 능력 확보 및 북측 황강댐에 의한 불규칙한 물 흐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겨울철새인 두루미(천연기념물), 재두루미(천연기념물), 흑두루미(천연기념물)가 매년 겨울 최대 200마리 이상 월동하는 대표적인 곳으로, 남북한 접경 지역이라는 지리적 여건과 임진강 자연환경이...
    위치 :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선곡리
  • 한반도생태평화 종합관광센터
    철책이 설치되고 민간인을 통제하던 순찰로로 활용되었던 곳으로, 2016년부터 임진강을 따라 걷는 생태탐방로로 일반인에게 개방되었다. 생태탐방로에서는 재두루미, 독수리, 기러기 등 겨울 철새를 관찰할 수 있으며, 봄에는 유채, 가을에는 코스모스 정취를 맘껏 느낄 수 있는 율곡습지공원과 율곡수목원이 있다. 참고...
    위치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로 148-63
  • 토교저수지(철새도래지)
    완공되어 최대 저수량 1,500여만 톤으로 강원도내 최대의 인공저수지이다. 맑은 물에서는 각종 어류가 풍부하게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있는 두루미와 재두루미 등이 월동하는 철새도래지로서 신철원 8경으로 지정 철원 안보 관광의 중심지인 제2땅굴 진입도로변에 위치하여 수려한 호수경관을 형성하면서, 겨울철에는...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길 117
  • 하동천 생태탐방로
    생태공간을 제공하고 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기 위한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연꽃의 대단위 재배단지가 조성되었으며, 철새의 주요 서식지로 청둥오리, 재두루미, 저어새등 관찰 가능한 곳이기도 하다. 수변을 황토길, 합성목재 데크 및 비포장길 등 다채롭게 꾸며 남녀노소 산책하기에 매우 좋은 곳이다. 참고문헌...
    위치 :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누산봉성로 294
  • 천수만(철새도래지)
    있는 곳이 되었다. 겨울철에는 오리, 기러기류가 찾아오는데 특히 가창오리는 전 세계 개체수의 90% 이상이 모인다. 또한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혹고니, 재두루미 등 많은 멸종위기종이 천수만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새들이 떼 지어 날아오르는 모습은 가히 장관이다. 새들은 주로 새벽이나 저녁에 먹이를 찾아...
    위치 :
    충청남도 서산시 부석면 간월도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1건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재두루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