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도답파여행 五道踏破旅行
    저술 및 발간 경위 이광수가 『무정』의 연재를 끝마칠 무렵 『매일신보』 감사였던 나카무라 켄타로[中村健太郞]가 이광수에게 ‘시정(施政) 5년의 민정(民情) 시찰’을 위한 기행문을 청탁했다. 당시 와세다 대학 재학 중이던 이광수는 이 청탁에 응하여 여름 방학 두 달 동안 강원, 경상남북, 전라남북 5도를 도보로...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191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무정 현대 한국 서사 문학의 시작
    이광수는 현대 한국 서사 문학의 발원지이며, 후손에게 우성 유전 인자와 열성 유전 인자를 동시에 물려준 인물이다. 그는 흔쾌하게 용납되지도 않으며, 그렇다고 쉽게 부정할 수도 없는 존재다. 그의 서사 문학에 대한 평가는 경멸과 존경, 무시와 찬탄이라는 양가 감정을 받아먹으며 부피가 늘어왔다. 우리 문학사를...
    시기 :
    1917년
  • 금강산유기 金剛山遊記
    저술 및 발간 경위 『금강산유기』는 이광수의 두 차례에 걸친 금강산 기행을 담은 여행기이다. 1차 여행은 1921년 8월 3일에서 8월 15일까지 이뤄졌고, 여행에는 1921년에 결혼한 부인 허영숙이 동반했다. 1차 여행 중 남대문에서 만폭동까지의 여정은 잡지 『신생활』 1호에서 6호까지 연재되었다. 1922년 5월 이광수...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허영숙 가야마 에이코〔香山英子〕, 許英肅
    중등과를 거쳐 1914년에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京城女子高等普通學校)를 졸업하였다. 1914년 도쿄〔東京〕여자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여 재학 당시인 1917년에 이광수(李光洙)의 폐결핵을 간호하면서 연인이 되었다. 1918년 7월 도쿄여자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같은 해 10월 조선총독부에서 시행한 의사검정시험에...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대수양 大首陽
    내용 1941년 『조광(朝光)』 64∼73호에 연재되었다. 이 작품은 이광수(李光洙)의 「단종애사(端宗哀史)」와 비교된다. 그 이유는 같은 시기의 정치적 질서의 형성을, 사관(史觀)을 달리하여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광수는 어린 왕 단종을 정통 왕권으로 보고, 수양대군의 찬탈로 왕권 교체가 이루어졌음을 비판적...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191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청춘〉과 〈학지광〉의 창간 근대 문학 발전에 기틀이 된 잡지들
    신경을 쓴 『청춘』이 나온다. 이 잡지는 ‘현상 문예 쟁선(爭先) 응모’라는 제목으로 온갖 분야에 걸쳐 문학 작품을 공모하는데, 여기에는 최남선과 이광수의 심사평과 적지 않은 상금이 따라 독자들의 창작욕을 한층 더 돋군다. 일본을 자주 오가던 최남선과 이광수에 의해 『청춘』에는 서양의 유수한 문학 작품이...
    시기 :
    1914년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일제 말기 문인들의 동향 일제에 동조하거나, 저항하거나, 절..
    가장 많이 선택한 길이지만, 개중에는 일제의 강요를 이기지 못하고 마지못해 작품을 내놓은 이들도 없지 않다. 첫 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인물로는 이광수를 들 수 있다. 최남선과 함께 1919년 3·1운동에 앞장서고 「무정」으로 근대 소설의 첫 장을 연 바 있는 이광수의 전향은 그를 따르던 많은 후학과 독자...
    시기 :
    1940년
  • 192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동인 현대 소설의 지평을 연 작가
    그러나 왕 서방의 낫에 찔려 오히려 복녀가 죽고 만다. 왕 서방은 복녀의 남편에게 돈 30원을 주어 시체를 암매장시키고, 이로써 복녀의 죽음은 은폐된다. 이광수 소설류의 지식인 주인공과 평이한 결말에 익숙하던 차에 복녀라는 파격적 인물의 설정, 대담하고 직설적인 속어와 방언의 활용, 예기치 못한 사건과 결말은...
    출생 :
    1900년
    사망 :
    1951년
  • 191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현상윤 패배주의를 떨치고 일어선 작가
    만점에 20점을 가산하여 120점을 주어 일본인 학생들이 불만을 품고 소란을 피운 일도 있다고 한다. 유학 초기 현상윤은 일본에 들른 최남선의 주선으로 이광수의 제자인 김여제와 같이 지내며, 이 밖에 김성수와 송진우도 자주 만난다. 특히 이광수와 현상윤은 같은 평안도 정주 출신으로, 나이도 한 살밖에 차이가...
    출생 :
    1893년
    사망 :
    미상
  • 수양동우회 修養同友會
    동우회의 모체, 즉 흥사단의 첫 국내조직은 1922년 2월 이광수가 조직한 수양동맹회였다. 1921년 상하이[上海]에 있던 이광수는 안창호로부터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본부를 둔 흥사단 한국지부 조직의 사명을 받고 귀국했다. 그는 김종덕(金鍾德)·박현환·김윤경(金允經)·강창기(姜昌基) 등 10명을 규합하여 '청년 남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민족개조론 民族改造論
    실력양성운동, 참정권 획득운동을 전개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독립을 포기한 일제지배 안에서의 자치를 주장하였다. 연원 및 변천 민족개조론을 쓰기에 앞서 이광수는 「중추계급과 사회」(『개벽』1921.7), 「소년에게」(『개벽』1921.11∼1922.3)를 발표하였다. 두 글은 사회개조를 다루는 논문이었으나 사실은 민족...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근대사
  • 사랑
    진심을 다하며 감내한다. 그러나 귀득, 허영, 한씨가 연이어 세상을 떠나자, 순옥은 자신의 딸 길림과 함께 안빈의 병원으로 되돌아온다. 특징 『사랑』은 이광수가 쓴 최초의 전작(全作) 장편소설이다. 이광수는 1938년 8월 상편을 탈고하고, 이듬해 4월 하편을 마무리했다. 이 소설은 동우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뒤...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4건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이광수
무정 / 이광수
흙 / 이광수
이광수의 무명
마의태자 / 이광수
춘원 이광수 기념비
1964년에 삼중당에서 나온 〈이광수 전집〉
1933년 〈삼천리〉 3월호에 실린 이광수의 만화상
1922년 장편소설 〈개척자〉를 집필하던 시절의 이광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