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의 성장총파업과 보이콧 등 직접 행동을 주장하였다. 그들은 1895년 결성된 전국노동조합대의원회를 장악하고 전국의 노동 운동을 주도했다. 급진적인 생디칼리스트들과는 달리 수정주의적인 사회주의자들은 의회 진출을 통한 정치 세력화를 도모했다. 그 결과 의회 내 사회주의자들의 의석수가 증가하여 1893년에는 40석에...
-
관민공동회 官民共同會없이 그대로 재가된 사실은 독립협회와 민중의 완전한 승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 관민공동회의 결과로 의회식 중추원 관제가 반포되어 독립협회의 의회설립운동이 중추원의 의회식 개편으로 현실화되었다. 반포된 중추원 관제는 반관반민의 상원의 성격을 띤 것으로 국민의 대표성이 미흡한 점이 있었으나, 민선...
- 시대 :
- 근대
- 발생 :
- 1898년 10월 28일
- 성격 :
- 정치집회
- 유형 :
- 사건
- 종결 :
- 1898년 11월 3일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독립협회
- 관련 장소 :
- 서울 종로
-
반제경성도시학생협의회 反帝京城都市學生協議會반제경성도시학생연합회를 결성하였다. 뒤에 반제경성도시학생협의회로 발전되었다. 그리고 본부를 서울 내자동에 있는 신현중의 집에 두었는데 회원은 모두...반전 투쟁의식을 고취하였다. 또한, 협의회의 별동대 임무를 수행한 적우회(赤友會)는 사회주의운동을 그 실천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조직되어 활동한 지 5...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31년 4월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31년 9월 27일
- 설립자 :
- 신현중(愼弦重), 조규찬(曺圭瓚) 및 일본인 학생 3명
- 분야 :
- 역사/근대사
-
김규식 우사, 金奎植독립운동 홍보 문서를 각국 대표와 언론에 배포하여 한국인의 독립 열망을 전 세계에 알렸다. 하지만,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한 열강들은 한국민의 요구를 철저히 외면하였고 회의가 종료되었다. 8월 6일 외국 기자들과 파리 주재 외교관들을 초빙하여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의 지리와 역사를 소개하고 한국인의 독립 열망...
- 출생 :
- 1881년 1월 29일, 경남 동래(東萊)
- 사망 :
- 1950년 12월 10일
- 본관 :
- 청풍(淸風)
- 주요활동 :
- 1918년 신한청년당 참여, 1919년 파리강화회의 전권대표, 임시정부 외무총장, 1922년 극동민족대회 참석, 1923년 국민대표회의에서 창조파로 활동, 1932년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조직, 1935년 민족혁명당 창당, 1944년 임시정부 부주석, 1947년 민족자주연맹 위원장, 1948년 남북연석회의 참가
- 포상훈격 :
-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한청년당,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민족혁명당, 민족자주연맹
-
공산주의운동 共産主義運動학교들이 설립되었다. 또한, 일본자본의 침투로 공장노동자가 증가되어 청년단체 · 노동단체들이 조직될 수 있었다. ① 1919.12.:서울에서 차금봉(車今奉) · 박중화(朴重華) · 김사용(金思容) 등 50여 명이 조선노농연구회 발기준비위원회를 조직, ② 1920. 4.:위 명칭은 조선노동공제회 발기총회로 개칭하여 발기...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신규식 공집, 申圭植일환으로 설립된 사립학교로, 1906년 한어학교(漢語學校)로 시작하였다. 1908년 9월말 계몽운동단체인 대한협회 실업부의 부원과 평의원으로 활동하였고,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에도 몸담았다. 식산흥업에 의한 민족자본을 육성하려는 시도로 군복무 중 동료들과 광업회사를 발기하였다. 1909년 1월 『공업계(工業界...
- 출생 :
- 1880년 1월 13일, 충북 청주
- 사망 :
- 1922년 9월 25일
- 관련 사건 :
- 대동단결선언, 신해혁명
- 업적 :
- 1903년 덕남사숙 설립, 1908년 영천학계 결성, 1909년 공업계 창간 1911년 상해망명 후 1912년 동제사 설립, 1913년 신아동제사 설립, 1915년 대동보국단 조직, 1915년 신한혁명당결성, 1915년 박달학원 설립, 1917년 대동단결선언 발기인, 1917년 조선사회당 조직 및 만국사회당대회에 대표 파견, 1919년 9월 대한민국임시정부 법무총장, 1921년 임시정부 국무총리대리 겸 외무총장
- 본관 :
- 고령(高靈)
- 포상훈격 :
- 건국훈장 대통령장 1962년
- 관련 인물/단체 :
- 독립협회, 대한협회, 영천학계, 동제사, 신아동제사, 대동보국단, 신한혁명당, 박달학원, 남사, 환구중국학생회, 조선사회당, 임시정부
-
-
김동삼 긍식, 金東三를 설립하고, 경학사(耕學社) 결성에 참가하는 등, 초대 사장 이상룡(李相龍)을 도와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 힘을 쏟았다. 이는 안동 출신 인사들과 이회영 일가를 비롯한 신민회 회원들이 힘을 합쳐 벌인 사업이었다.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려면 동포들을 이주시켜야 하고, 경작지가 필요하고, 농사를 지을 수 있어야...
- 출생 :
- 1878년 6월 23일, 경북 안동(安東)
- 사망 :
- 1937년 4월 13일
- 본관 :
- 의성(義城)
- 주요활동 :
- 협동학교 설립, 경학사, 신흥학교, 백서농장 장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서로군정서 참모장, 한족회, 국민대표회의 의장, 통의부 총장, 정의부, 혁신의회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모잠비크의 정치와 사회단원제 의회가 구성되었고, 5년 임기의 2번 연임이 가능한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보건시설은 부족한 실정이지만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며, 국영 보건소제 도입...또한 광범위한 예방접종과 위생설비 개선에 힘씀으로써 전염병 퇴치운동을 벌이고 있다. 말라리아·결핵·이질·위장병·폐렴·홍역·간염 등이 가장 흔한...
-
윤기섭 중규, 尹琦燮학교의 설립 ・ 운영하는 임무를 담당하였다. 하지만 1921년 2월경 일본군의 대대적인 독립군 ‘탄압’과 청산리전투 등 일련의 독립전쟁을 목격한 후 상하이 임시정부에 귀환하였다. 이 무렵 상하이에서는 임시정부 및 이승만 대통령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였다. 임시정부의 연통제와 교통국이 일제의 탄압으로 파괴되어...
- 출생 :
- 1887년 4월 4일, 경기 파주(坡州)
- 사망 :
- 1959년 2월 27일
- 본관 :
- 해평(海平)
- 주요활동 :
- 1909년 신민회 가입, 1911년 서간도 망명 후 경학사 ・ 신흥학교 등 설립, 1920년 임시의정원 서간도 의원, 1922년 한국노병회, 1923년 임시의정원 의장 역임, 임시정부 국무원, 내무장, 군무장, 한국독립당, 한국혁명당,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 임시의정원 경기도의원 활동
- 포상훈격 :
-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민회, 경학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노병회, 한국독립당, 한국혁명당, 민족혁명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