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담원 아산점
    오후 3시까지 주문할 수 있는 점심특선 월남쌈 샤브정식이다. 호주산 목심, 양지, 한우 중 한 가지를 고르면 80g이 나온다. 초밥 등 여러 가지 음식이 있는 샐러드바도 이용할 수 있다. 매장 이용 시간은 100분으로 제한된다. 남풍세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온양온천랜드, 온양민속박물관, 신정호국민관광지가 있다.
    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모종남로12번길 17
  • 오월애쌈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제육쌈밥정식이다. 제육볶음을 비롯해 청국장, 우렁쌈장, 가마솥밥, 고등어구이 등이 상에 오른다. 이 밖에 우렁쌈밥, 담백한 고등어구이, 제육볶음 등도 맛볼 수 있다. 남풍세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온양온천랜드, 온양민속박물관, 신정호국민관광지 등 관광 자원이 풍부하다.
    위치 :
    충청남도 아산시 용화로48번길 16-7
  • 목화 木靴
    각전별감(各殿別監) 소친시(小親侍) 등은 입번할 때 외는 신지 못하게 금하고 있어 조선시대는 상류계층의 신이었음을 알려준다. 전하는 유물로는 조선 말기 순종이 어렸을 때 신었다는 목화가 창덕궁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고려대학교 박물관온양민속박물관에서도 조선시대의 목화와 백화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성격 :
    복식, 신발
    유형 :
    물품
    용도 :
    의생활
    분야 :
    생활/의생활
  • 평양기성도 평양도(平壤圖), 平壤箕城圖
    특히 작자 미상의 「관서명구첩」과 「관서십경도」, 평양성의 전경을 조망한 송암미술관 소장 「기성도」 8폭 병풍, 「평양팔영(平壤八詠)」에 연원을 둔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평양팔경도」의 내용과 화풍이 상통하여 18세기 말~19세기 초 다양한 형식이 동시다발적으로 그려졌음이 드러난다. 19세기로 넘어가면서 평양...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평직 바탕에 능직으로 직문된 은나라 시대의 직물을 말한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이와 같은 직물은 능으로 분류되는 경향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온양 민속박물관 소장 아미타불 복장 유물 중에 평조직과 능조직의 혼합조직인 자의(紫衣)의 직물을 기로 보고 있는데, 엄밀하게 조직학적으로는 평지능문의 직물이 된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임한 任閑
    1736), 통도사 영산전 석가모니불도(1734), 통도사 극락보전 아미타불도(1740), 통도사 대광명전 삼신불도(1759), 운문사 비로전 삼신불도·삼장보살도(온양민속박물관 소장, 1755) 등의 불화를 그렸다. 임한이 수화원으로 처음 그린 통도사 불화를 보면 불보살과 성중들의 우아한 신체와 세련된 의복은 이전에 없던 것...
    시대 :
    조선후기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화승
    대표작 :
    기림사 대적광전 삼신불도·삼장보살도(1718), 미황사 괘불도(1727), 통도사 영산전 석가모니불도(1734), 석남사 대웅전 석가모니불도(1736), 통도사 극락보전 아미타불도(1740), 운문사 비로전 삼신불도·삼장보살도(온양민속박물관 소장, 1755), 통도사 대광명전 삼신불도(1759)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백윤문 향당(香塘), 白潤文
    金基昶)·장우성(張遇聖) 등과 함께 창립회원이 되어 연례전(年例展)에 출품하였다. 그러나 1942년에 기억상실증을 일으켜 35년간이나 화가로서의 생활이 중단되었으나 1977년에 기적적으로 정상을 되찾아 다시 화필을 잡았다. 대표작으로는 「건곤일척(乾坤一擲)」(1939년작, 온양민속박물관 소장)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현대
    출생 :
    1906년
    사망 :
    1979년
    유형 :
    인물
    직업 :
    화가
    대표작 :
    건곤일척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본관 :
    임천(林川)
  • 천수원명 금고 薦壽院銘 金鼓
    에 제작된 금고이며, 원래는 아산 천수원(薦壽院)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7월 30일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온양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및 특징 금고의 앞면은 당좌가 있는 내구, 중구, 외구의 세 부분으로 구획되었다. 당좌는 6개의 연꽃잎으로 구성되었고...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공예
  • 계몽사 啓蒙社
    아동문학상’을 인계받아 운영해오고 있다. 현황 방계조직으로는 1974년 경상북도 안동시에 길원여자고등학교(吉源女子高等學校)를 설립하였으며, 1978년 온양민속박물관을 개관, 운영하고 있다. 1988년에는 서울 관철동의 구사옥을 정리하고 강남의 신사옥으로 옮기고 1990년부터 계몽문화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55길 35
    설립 :
    1946년
    성격 :
    출판사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원대(金源大)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암팔선문 暗八仙紋
    하게 하고, 음양판(陰陽板)은 선판(仙板)으로 신명(神嗚)이고, 화람(花籃)은 남내(籃內)의 신화이과(神花異果)로 신명(神明)에 널리 통하고, 하화(荷花)는 니불염(泥不染)하여 수신선정(修身禪靜)한다는 것이다. 조선 시대의 직물문에 나타나 있다. 온양 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안동 김씨의 유의 중에 암팔선문이...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항라 항라(杭羅), 亢羅
    직조한 것도 있는데 이 직물을 ‘종항라(縱杭羅)’라고 한다. 『조선총독부중앙시험보고』(1925)에 의하면 조선 내에서 생산한 종항라를 대상으로 시험을 한다는 설명과 함께 부인의 치마에 상용되는 종항라의 견본이 부착되어 있다. 현재 온양 민속 박물관에도 이와 비슷한, 종항라로 만든 치마가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사자도 使者圖
    사자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 1246년 『예수시왕생칠경변상도』(해인사 소장)의 감재사자는 판관과 같은 옷을 입고 관모를 쓰고 홀(笏)을 든 모습이지만,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감재사자도(18세기)나 범어사 감재사자도(1742년), 통도사 사자도(1775년) 등 조선 후기의 작품에서는 후두(後頭)에 양각(兩角)이 높게 꽂힌...
    시대 :
    고려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7건

온양민속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 전경
온양민속박물관 입구
온양민속박물관 야외 전시장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용문촛대
점 도구, 조선시대, 온양민속박물관
등잔, 사기·놋쇠, 20세기, 온양민속박물관
1987년 가족과 함께 온양 민속 박물관에서
합죽선, 한지·대나무, 43.0cm, 20세기, 온양민속박물관
목기러기, 소나무, 43.0cm, 20세기, 온양민속박물관
잉어무늬 필통, 단풍나무, 15.0×15.8cm, 19세기, 온양민속박물관
「모란 병풍」, 종이에 채색, 각 124.5×34.5cm, 19세기, 온양민속박물관
「모란 병풍」, 종이에 채색, 각 124.5×34.5cm, 19세기, 온양민속박물관
「모란 병풍」, 종이에 채색, 각 124.5×34.5cm, 19세기, 온양민속박물관
「송학봉황도」, 한지에 채색, 104.0×56.0cm, 19세기 후반, 온양민속박물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