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요르단 요르단하삼왕국, Jordan
    다시 기독교문화권에 있었으나, 그 이후부터 현재까지 이슬람문화권에 속하고 있다. 1916년 이후 영국의 위임통치를 받아왔으며, 1946년 5월 25일 독립하여 왕국이 되었고, 1952년 1월 헌법을 제정하였다. 1967년 6월 ‘6일전쟁’ 때 요르단강 서안지역과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에게 상실하였다. 입헌군주국이기 때문에...
    시대 :
    현대
    위치 :
    아시아 서남부
    수도 :
    암만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8만 9342㎢
    언어 :
    아랍어
    정부/의회형태 :
    국왕중심제, 입헌군주제, 양원제
    종교 :
    이슬람교, 기독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아모리 (키프로스) Aimery of Cyprus, エメリー・ド・リュジニャン
    인물 정보 아모리는 키프로스 왕국의 왕이다. 예루살렘 왕국의 명예왕으로서는 아모리 2세(Amaury II)로 불린다. 키프로스의 영주이자 동생 기 드 뤼지냥이 후사없이 사망하여 키프로스 영지를 물려받고 2년뒤 키프로스왕이 되었다. 자식은 이블랭 출신 첫째 부인 사이에서 부르고뉴, 기, 장, 알릭스, 엘비, 위그를 둘째...
    도서 위키백과
  • 조지아 왕국 Kingdom of Georgia, グルジア王国
    선봉 국가 중 하나가 되었고, 그들이 구축한 범캅카스 왕국과 그 연결망은 동유럽에서 아나톨리아와 이란 북부까지 뻗어 있었으며, 또한 조지아 왕국예루살렘의 십자가 수도원과 그리스의 이비론 수도원과 같은 타국의 종교적 유산을 유지했다. 그것은 오늘날 조지아의 주요한 역사적 전조이기도 하다. 몇 세기 동안...
    도서 위키백과
  • 아브둘라 압둘라 1세 빈 알후세인, Abdullah
    국제연합(UN)의 결의(1947)를 기꺼이 받아들인 유일한 인물이었다. 1948년 5월 이스라엘과의 전쟁에서 그의 군대는 요르단 강 웨스트뱅크를 점령하고 구(舊)예루살렘을 장악했다. 2년 뒤 그는 웨스트뱅크 지역을 요르단 왕국의 일부로 합병했는데 이같은 행동은 아랍 동맹국들인 시리아와 사우디아라비아 및 이집트를...
    출생 :
    1882, 메카
    사망 :
    1951. 7. 20, 예루살렘
    국적 :
    요르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유다 Judah
    상황은 BC 721년 아시리아의 북이스라엘 왕국 점령으로 변하게 되었는데, 10개의 북부 지파는 부분적으로 분산되거나 다른 민족에 점차 동화되었다(이들을...고향으로 돌아가도록 허락했을 때, 이들은 바빌로니아인들이 파괴한 예루살렘 성전을 복원하는 사업에 곧 착수했다. 그후부터 유다 지파의 역사는 유대인의 역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누비아 Nubia
    바람에 예루살렘 정복에는 실패했다. 그후 아시리아의 에사르하돈 왕이 팔레스타인 지역에서 도발적인 행동을 하면서 평화가 깨어졌다. 아시리아는 이집트를 2차례 침공했다. BC 674년의 침공은 실패했으나 BC 671년에는 점령에 성공해 타하르카 왕조를 멤피스로부터 축출했다. 그후 타하르카 왕은 몇 차례 이집트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아디아베네 Adiabene
    아디아베네의 왕가는 유대교를 받아들였는데 헬레나 왕비(?~AD 50)는 유대인과 그들의 신전에 대해 관대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녀의 아들 모노바주스 2세와 이자테스 2세는 예루살렘에 있는 열왕의 묘소에 안장되었다. 이 왕국은 로마가 파르티아 제국과 전쟁하던 기간에는 로마인들에게 자주 공격을 받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북이스라엘 왕국 Kingdom of Israel (Samaria), 以色列王..
    왕국 형태를 갖추었다고 주장한다.Finkelstein, Israel; Silberman, Neil Asher 이 불안하였다. 벧엘 이북을 영토로 하고 오므리 왕조 시대에 남쪽 왕국의 수도 예루살렘에 대항하기 위하여 수도 사마리아를 건설하였다. 유다에 비하여 땅이 비옥하였으므로 농경적 성격이 강하고 종교적으로도 토착종교 또는 이민족의...
    도서 위키백과
  • 예루살렘 공방전 Siege of Jerusalem, エルサレム攻囲戦 (曖昧さ..
    공방전의 문서는 다음과 같다: 예루살렘의 Sack 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이집트 파라오 셰숑크 1세(Shoshenq I). 아시리아의 예루살렘 공방전 예루살렘 공방전 는 반란을 일으킨 유다 왕국과 왕 여호야긴(Jehoiachin)을 쳐부수고, 그들을 바빌론으로 끌고 갔다. 예루살렘 공방전 : 티투스(Titus)는 대 유대반란을 진압한...
    도서 위키백과
  • 십자군 전쟁 十字軍戰爭, The Crusades
    입성하였다. 이것은 이후 여덟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십자군 중에서 유일하게 성공한 전쟁이었다. 제1차 십자군 이후에도 예루살렘 왕국이 투르크족의 지속적인 위협을 받자 예루살렘 왕국을 지원하기 위해 1147년 제2차 십자군이 조직되었다. 그 후 1187년에 다시 예루살렘이 다시 투르크족에게 넘어가자 예루살렘을...
  • 보두앵 1세 Baudouin I
    1100년 7월 형 고드프루아가 예루살렘에서 죽은 뒤 귀족들은 보두앵을 성묘(聖墓) 수호자(Advocatus Sancti Sepulchri:예루살렘 왕의 칭호) 자리에 앉히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소환했다. 왕국 남부에서 이집트의 파티마조와 맞서 세력을 떨쳤고 십자군 귀족의 반대를 누른 뒤 그해 12월 예루살렘의 왕이 되었다. 국내...
    출생 :
    1058(?)
    사망 :
    1118. 4. 2, 이집트 알아리시
    국적 :
    예루살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십자군 十字軍, crusade
    함락하고 그곳에 살던 이슬람교도와 유대인을 학살했다. 그후 몇 십 년 간 십자군은 팔레스타인 해안을 따라 가느다랗게 뻗어 있는 지역을 장악하고 예루살렘 왕국, 트리폴리 백작령, 안티오키아 공국, 에데사 백작령 등 소위 십자군 국가를 세웠으며, 그곳에 유럽인 통치자를 두었다. 그들은 해안과 내륙의 변경을 따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예루살렘 왕국(Kingdom of Jerusalem)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