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테오필루스 Saint Theophilus of Alexandria
    그를 성인으로 존경한다. 오리게네스 논쟁에 관해 쓴 글 가운데는 크리소스토무스를 비판하는 소논문 1편과 라틴 성서학자 히에로니무스(제롬), 교황 아나스타시우스 1세, 인노켄티우스 1세에게 보낸 편지들이 있다. 이 글들과 제롬이 일부 라틴어로 번역한 전례(典禮) 및 목회 연설들은 1857~66년 J.-P. 미뉴가 편집한...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이집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니케포루스 1세 Saint Nicephorus I
    이야기한 것으로서, 불가리아인들의 정착 기원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다른 하나는 아담 시대부터 829년까지 군주와 성직자들의 목록을 나열해 놓은 연대표이다. 이 2권은 로마의 문헌관리인 아나스타시우스가 9세기말 라틴어로 편집한 〈연대기 3부작 Chronologia tripartita〉을 통해 서방에서 널리 읽혀졌다...
    출생 :
    758경, 콘스탄티노플
    사망 :
    829. 6. 2, 소아시아 칼케돈 근처 비시니아
    국적 :
    그리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니콜라오 1세 Nicolaus I
    교황이 결정하는 것을 준수해야 한다고 선언하여 서방교회 교구들에 대한 로마의 수위권 확립을 도왔다. 1901년 M. 메이틀랜드가 J. 로이의 〈성 니콜라오 1세〉를 영역한 책이 출판되었고, 1920년 E. 페렐의 〈교황 니콜라오 1세와 아나스타시우스의 전집 Papst Nikolaus I und Anastasius Bibliothekarius〉이 출판...
    출생 :
    819(~822경), 로마
    사망 :
    867. 11. 13,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심마코 Saint Symmachus
    심마코는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주교들 사이에 벌어졌던 복잡한 신학적·정치적 갈등이었던 아카키우스 분쟁(484~519)에 관여했다. 비잔티움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선과 악이 본래 동등한 힘을 가진 원리라고 주장하는 이원론적 종교 교리인 마니교를 옹호한다고 심마코 교황을 비난했다. 512년에 쓴 편지에서...
    출생 :
    ?, 사르데냐
    사망 :
    514. 7. 19, 로마
    국적 :
    바티칸시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엔노디우스 Magnus Felix Ennodius
    대한 서약을 실천에 옮기기 시작했다. 513년경에는 티키눔 주교로 임명되었고, 그후 테오도리크의 명을 받아 콘스탄티노플에 있는 동로마 제국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궁정에 사절로 파견되었다. 엔노디우스는 테오도리크의 친구로 알려져왔지만, 그가 테오도리크를 지지한 데에는 전직 티키눔 주교인 에피파니...
    출생 :
    473/474, 갈리아 아렐라테
    사망 :
    521, 파비아 티키눔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레오 왕조 치하의 동로마 제국 Byzantine Empire under the Leoni..
    옛 나라 정보 동로마 제국은 457년 레오 1세의 즉위부터 518년 아나스타시우스 1세의 죽음까지 레오 왕조의 5명의 황제가 통치하였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자 제논은 스스로를 로마 제국의 단독 황제로 선포했다. 레오 1세 (Flavius Valerius Leo, 457 - 474) 레오 2세 (Flavius Leo, 474) 제논 (Flavius Zeno, 474...
    도서 위키백과
  • 교황 아나스타시오 2세 Pope Anastasius II, アナスタシウス2世 (ローマ教皇)
    인용저널 인용 아나스타시오 2세는 교황으로 선출되어 즉위하자마자, 즉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주교 두 명을 교황사절로 파견하여 동로마 제국의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를 만나 자신의 교황 선출을 알리고 아카키우스 분열의 종식을 함께 논의하도록 하였다. 아나스타시오 2세는 아카키우스 총대주교가 생전에 집전...
    도서 위키백과
  • 아나스타시아 Anastasia
    이름 정보 아나스타시아(또는 아나스타샤, 아나스타시야, 안나스타시아, 안나스타티아)는 남자 이름 아나스타시우스의 여성형인 기독교식 이름이다. 그리스어로 "부활"을 의미한다. 2008년까지 중앙유럽과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름이었으나, 이후 소피아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이 쓰이는...
    도서 위키백과
  • 505년 505, 505年
    4년 북위(北魏) 선무제(宣武帝) 6년 신라(新羅) 지증왕(智證王) 6년 고구려(高句麗) 문자명왕(文咨明王) 15년 백제(百濟) 무령왕(武寧王) 5년 동로마 제국의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가 동아시아의 유목민의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다리알 협곡을 방어하기 위한 비용을 일부 지불하는 것에 동의했다. 아나스타시우스 1세...
    도서 위키백과
  • 아르타바스도스 Artabasdos, 阿尔塔瓦兹德 (拜占庭)
    741년 콘스탄티노스 5세를 내쫓고 동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얼마 안 가 743년 콘스탄티노스가 다시 권좌에 복귀함으로써 폐위되었다. 아르타바스도스는 아나스타시우스 2세 황제의 치세에 아르메니아콘 테마의 총독(스트라테고스)가 되었다. 그러나 역시 다른 테마 아나톨리콘의 총독이던 레온과 손을 잡고 그의 사위가...
    도서 위키백과
  • 유스티누스 1세 Justin I, ユスティヌス1世
    두 명과 함께 야만족의 침입을 피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도망쳤고 그 곳에서 군대에 입대했다. 군대에서 재능을 인정받아 장군까지 올랐고 나중에 황제 아나스타시우스의 황실 근위대 대장으로 근무하였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유일한 군대인 황실 근위대의 위력을 바탕으로 518년 7월 9일 전임 황제가 죽었을 때...
    도서 위키백과
  • 빵과 서커스 Bread and circuses, パンとサーカス
    서적 인용 전차 경기장은 정치적 의견을 강력하게 피력하는 장소이기도 했다. 512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민들이 대전차 경기장에서 폭동을 일으켜 아나스타시우스 황제의 퇴위를 요구한 것이 대표적이다.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은 아나스타시우스는 허름한 옷에 왕관도 안 쓰고 성경을 팔에 낀 채 대전차 경기장에 나타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아나스타시우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