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우렁각시쌈밥
    우렁각시쌈밥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에 위치한 한식당이다. 한옥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외관은 고풍스럽고, 내부는 차분한 느낌이다. 대표 메뉴는 우렁이 강된장 쌈밥이다. 우렁이 강된장 제육쌈밥, 우렁이 강된장 제육 우렁이 회무침 쌈밥도 별미다. 들국화 동동주 등도 맛볼 수 있다.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삼릉2길 21
  • 남정부일기사식당
    남정 부일 기사식당은 경북 경주시 배동에 자리했다. SBS 백종원의 3대 천왕 등 여러 방송에 소개된 바 있다. 대표 메뉴는 짬뽕이지만, 중국집 짬뽕이 아닌 낙지, 돼지고기, 각종 채소, 양념장을 넣어 끓이듯 조리고 나중에 밥을 볶아 먹는 형태이다. 이 밖에 낙지볶음, 돼지볶음, 김치찌개로 유명하다. 간판은 기사식당...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배리1길 3 (배동)
  • 명철방 明哲坊
    11방 중의 하나로서, 방 안에는 청령위계의 오교남변・남정동・청교동・근동 ・복거교동・대동・어교동・연방동・남소동, 남소동계의 훈련원, 수구천내계의 석교동・배동・하도감동・동산리동・남성저동・형제동・곡정동・지례동・수평리, 쌍림동계의 쌍림동, 오장동계의 오장동, 와유두리계의 후동, 일관동계의 침교동, 야현계의 야현이...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황금정7정목 黃金町7丁目
    중구 을지로7가의 일제강점기 명칭이다. 1914년 4월 1일 경성부 구역 획정에 따라 경기도고시 제7호에 의해 경성부 남부 하도감동과 두모면 신당리 및 동산동・배동의 각 일부를 합쳐서 근방 구리개(동현)와 금속의 뜻이 통하는 황금정으로 하고 그 일곱 번째가 된다고 하여 황금정7정목이라고 하였다. 1943년 6월 10...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수구천내계 水口川內契
    데서 유래되었다. 영조 때부터 고종 초기까지는 수구문내계라 하고, 갑오개혁 때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남서 수구천내계로 바뀌었고, 계 내에는 석교동・배동・하도감동・동산리동・남성저동・형제동・곡정동・지례동・수평리가 있었다.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중구 광희동1가・광희동2가・을지로7가・장충동1가의 각 일부에 해당...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경주시의 문화재
    번호 등록명 소재지 1 61호 불국사 사리탑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2 62호 경주 서악리 마애석불상 경주시 서악동 92-1 3 63호 경주 배리 석불입상 경주시 배동 65-1 4 64호 경주 보문리 석조 경주시 보문동 금당평 848 5 65호 경주 서악리 삼층석탑 경주시 서악동 92-1 6 66호 경주 석빙고 경주시 인왕동 449-1 7 67호...
    도서 위키백과
  • 황후의 품격 The Last Empress (TV series), 皇后の品格
    동현배 : 형사 역 - 이윤 황태제 습격 사건을 수사하는 형사 이나경 : 영은 역 - 인현각 하급 나인 최준혁 : (남)배동 역 - 아리 공주의 배동 엄서현 : (여)배동 역 - 아리 공주의 배동 김혜원 : (여)배동의 어머니 역 최시훈 : 가드 역 강운 : 노영식 역 - 대한제국대학부속병원 의사 김도건 태항호 : 나왕식 역 - 체중...
    도서 위키백과
  • 초계군
    中方面) 말방동/옥두동 일부, 부수동 일부, 옥두동 일부, 죽고동/횡보동, 황정동 || 말방리, 부수리, 옥두리, 죽고리, 황정리 |-|초계군 덕곡면(德谷面) 병배동 일부/학동 일부, 본곡동, 율원동, 율지동, 장동/상대동/병배동 일부, 포두동 일부/학동 일부, 포두동 일부/학동 일부 || 덕곡면 || 병배리, 본곡리, 율원리...
    도서 위키백과
  • 삼릉
    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조선 왕릉이다. 삼릉역(三陵驛)은 서울교외선의 철도역이다. 파주 삼릉(坡州三陵)은 경기도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에 있는 조선 왕릉이다. 경주 배동 삼릉(慶州 拜洞 三陵)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에 있는 신라 왕릉이다. 삼릉(三菱)은 일본 미쓰비시의 한국식 명칭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경주남산입곡석불두
    문화재 정보 경주 남산입곡 석불두(慶州 南山笠谷 石佛頭)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86-3번지에 있는 불상이다. 1979년 1월 25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94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에 있는 불상으로, 허리 아래와 광배(光背) 일부, 양 손이 없어져 원래 모습을 알 수 없다. 불상 앞에 놓여...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의 사적 (1970년대)
    지정 218호 경산 병영유적(慶山 兵營遺蹟)(Historic Site of Barracks, Gyeongsan) 경북 경산시 압량읍 압량리 179 경산시 1971년 4월 28일 지정 219호 경주 배동 삼릉(慶州 拜洞 三陵)(Three Royal Tombs in Bae-dong, Gyeongju) 경북 경주시 배동 73-1 경주시 1971년 4월 28일 지정 220호 경주 희강왕릉(慶州 僖康王陵...
    도서 위키백과
  • 신덕왕 Sindeok of Silla, 神徳王
    견훤이 대야성(大耶城)을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후백제와 태봉의 세력에 침식되는 신라의 불운 속에서 917년에 붕어하였다. 능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에 있다.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왕의 사후 시신은 화장되었고 뼈는 잠현(箴峴)의 남쪽에 묻었다고 하였다. 경주시 남쪽 배동 배일산(拜日山)의 배리(拜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0건

경주 배동 삼릉
경주배동삼존석불입상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중 본존불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중 본존불 얼굴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중 우협시보살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중 좌협시보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