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목련전 불설목련경(佛說目連經), 目連傳
    23권(무량사판, 1559)에 수록된 것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목련경』(1918)이 있고, 필사본으로는 최범훈(崔範勳) 장본(1918)과 「팔상록(八相錄)」 중 서울대학교 장본(1851), 국립중앙도서관 장본(연대 미상), 고려대학교 장본 2종(1860·1883), 조종업(趙鍾業) 장본(1860), 사재동(史在東) 장본(1911) 등에 삽입...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어제화산용주사봉불기복게 御製花山龍珠寺奉佛祈福偈
    부처의 공덕을 칭송하는 불교식 게송이다. 1796년에 그 내용을 목판본 9매와 필사본 2종으로 용주사에 하사하였다. 목판본은 왕이 지은 불교 게송인 만큼 그 내용을 기리기 위해 목판에 새기고 이를 왕실의 원당인 용주사에 하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용주사는 경기도 수원에 있는 사찰로 1790년(정조 14) 사일(獅日)을...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정조(正祖)
    창작/발표시기 :
    1795년(정조 19)
    성격 :
    어제(御製), 게송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연등회 Yeondeunghoe, 燃灯会
    중요시하였다. 또한 연등을 보면서 마음을 밝히는 것을 관등(觀燈)이라고 한다. 《법화경》의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에서는 등공양의 공덕무량하다 하였으며, 《삼국유사》 〈감통편〉(感通篇)에도 불등에 관한 설화가 있다. 등불은 마름모육팔면체의 모양을 한 것이 많다. 문화재청에서 삼국시대 이후...
    도서 위키백과
  • 아미타불 Amitābha, 阿弥陀如来
    8. 늘 온갖 공덕을 힘써 닦아야 한다. 불교 사후관에서 아미타불은 지장보살과 함께 죽은 사람(망자, 영가)의 천도를 담당하고 있다. 목적은 모두 극락왕생...위해 기도를 올린다. 극락전 : 아미타불을 본존불로 모시는 전각이다. 협시보살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모신다. 무량수전 또는 무량광전 : 아미타불을...
    도서 위키백과
  • 자비도량참법
    아무리 깊더라도 어렵지 않게 들어올 수 있습니다. 예전에 폐하께서 총애해주셨던 은혜를 생각하며 이 누추한 몸으로 폐하의 어전에 나타나 간청하오니, 부디 공덕을 지어 제도하여 주옵소서." 무제가 듣고는 감개무량해하며 눈물을 흘리다가 다시 구렁이를 찾았으나, 이미 구렁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튿날 무제는 스님...
    도서 위키백과
  • 비로자나불 Vairocana, 大日如来
    化身)의 ‘삼신설(三身說)’로 발전되었다. 보신은 수많은 수행으로 성취된 결과로 온갖 덕을 갖춘 몸을 말한다. 아미타불은 48대원을 세우고 수행한 공덕으로 수명이 무량한 아미타불이 되었고, 약사여래불은 12대원을 세우고 수행하여 약사여래불이 되었다. 법신이 수행이라는 인연을 따라, 아미타불 또는 약사여래불...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