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목판 인쇄 Woodblock printing, 木版印刷
    텍스트, 그림 전반에 걸쳐서 활용되었다.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사용하였다. 최초에는 날염 방식이었으나 후에는 종이에도 사용하였다. 한국의 무구정광다라니경이 세계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으로 검증되었다. 서양의 목판 인쇄 기술은 훨씬 나중에야 보급되었으며, 활자의 경우 약 400년 정도...
    도서 위키백과
  • 인쇄 Printing, 印刷
    인쇄로, 한 장의 종이를 나무로 깎은 판으로 인쇄하는 것이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본은 751년경에 신라에서 찍은 무구정광다라니경이다. 목판 인쇄술은 유럽에도 알려져 성경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목판인쇄로는 작은 글씨를 깎기에 어려웠고, 주로 글을 못 읽는 사람을 대상으로...
    도서 위키백과
  • 전 산청 석남암사지 납석사리호 傳 山淸 石南巖寺址 蠟石舍利壺
    2)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명문에는 구체적으로 승려 법승(法勝)과 법연(法緣)이 죽은 두온애랑(豆溫哀郞)을 위해 비로자나불상을 조성하였고 『무구정광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을 함께 봉안하였다고 적혀 있다. 실제 전 산청 석남암사지 납석사리호가 안치되었던 석불 대좌의 중대석 사리공에는 금동...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 한지 Korean paper, 韓紙
    전래된 서양식 기계 종이와 전통 종이를 구분하여 부르게 되면서 생긴 말이다.웹 인용 704년경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인쇄물 중 하나인 무구정광다라니경이 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신라의 종이를 계림지(鷄林紙)라 하였다. 고려시대부터 그 명성이 높아 중국인들도 제일 좋은 종이를 ‘고려지(高麗紙)’라...
    도서 위키백과
  •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비로자나불상으로서 도상적․양식적으로 불교미술사 연구에 매우 귀중하고 획기적인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이 불상을 통해 8세기 중엽경에는 『무구정광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이 불상에도 납입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 우리나라 불상 복장의 시원적 형태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이미...
    도서 위키백과
  • 상정고금예문
    고려 인종 때 최윤의(崔允儀)가 지은 것으로 현존하지 않는다. 《동국이상국집》에 이 책을 고종 21년(1234년) 활자로 찍었다고 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현존하지는 못하지만) 한국최초, 나아가 세계최초의 금속활자본이 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무구정광다라니경 직지심체요절 최윤의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Seokgatap, 佛國寺釋迦塔
    부처인 다보여래가 불법을 증명하는 것을 상징하는 탑이다. 다보탑은 따라서 다보여래가 머무는 환상적인 궁전인 셈이다. 다보여래는 석가여래와 한 쌍을 이루기에 다보탑은 석가탑과 한 쌍이다 다보탑 불국사 무구정광다라니경 - 국보 제126-6호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국보 제126호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0건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무구정광대다라니경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