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첩 畵帖
    개설 첩은 두루마리의 단점을 보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 만든 장황 형태이며, 화첩(畫帖)은 그림을 첩의 형태로 꾸민 것이다. 두루마리는 한번 펼치면 전체를 다 보아야 하고, 중간 부분을 보고자 할 때 전체를 풀고 말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많은 내용을 기록하려면 두루마리 지름이 크게 불어나고 여러...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몽유도원도 夢遊桃源圖
    成三問), 김수온(金守溫), 만우(卍雨), 최수(崔脩) 등으로 모두 안평대군과 가깝게 지내던 사람들이다. 안견의 그림과 이들의 시문(詩文)은 현재 두 개의 두루마리로 나누어져 표구되어 있다. 첫 번째 두루마리에 박연의 시문까지, 두 번째 두루마리에 김종서의 찬시부터 최수의 찬시까지 실려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시대 :
    조선전기
    저작자 :
    안견
    창작/발표시기 :
    1447년(세종 29)
    성격 :
    산수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38.7㎝, 가로 106.5㎝
    권수/책수 :
    1점
    재질 :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 중앙도서관
  • 현대의 인쇄
    따라 평압식·원압식·윤전식으로 나뉜다. 세 방식 모두 롤러 장치에 의해 잉크가 인쇄면에 묻혀진다. 앞의 두 방식은 절단된 종이를 사용하나 윤전식에는 두루마리 종이를 사용하는 방식도 있다. 절단된 종이는 인쇄기의 작동에 맞추어 공급된다. 활판인쇄기의 가압판은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져 활판의 활자 높이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전등사 약사전 현왕탱 傳燈寺 藥師殿 現王幀▽
    앉아 있어서 장대한 현왕의 풍모가 잘 전달된다. 현왕 주위를 둘러싼 판관(判官)들은 독특한 의관을 착용한 채 주로 기다란 경책을 들고 있기도 하고, 두루마리에 판결을 쓰고 있으며, 이를 여러 권속들이 재미있는 표정으로 지켜보고 있다. 두루마리 아래에는 머리를 쌍타원으로 딴 동자가 벼루를 들고 시종하고 있다...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운코쿠 도간 雲谷等顔, Unkoku Togan
    되었다. 모리 가문은 셋슈의 작품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16.7m 길이의 산수화(1486)를 소유하고 있었다. 그는 모리 데루모토[毛利輝元]의 명으로 이 두루마리 그림을 모사했고, 이 그림을 본떠서 자신의 화풍을 구축했다. 또한 누가 셋슈의 대를 이을 것인가를 둘러싸고 하세가와 도하쿠[長谷川等伯]와 유명한 법률 논쟁...
    출생 :
    1547
    사망 :
    1618, 일본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그리스도교 초기의 책
    두루마리를 대신하여 새롭게 등장한 코덱스는 책의 형태에 일대 변혁을 가져왔다. 각 낱장을 길게 연결하던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코덱스는 각 낱장들의 한쪽 가장자리 부분을 함께 묶어 만들었는데, 두루마리에 비해 많은 이점이 있었다. 각 낱장별로 묶여 있어 보고자 하는 내용을 즉시 찾을 수 있고, 두루마리처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수도교범 修道敎範, Manual of Discipline
    그들은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하스몬 왕조의 정치적인 대제사장들로 상징되는 타락한 종교를 멀리하기 위해 그곳에 살았다. 이 두루마리의 대부분은 1947년 쿰란 제1동굴에서 발견되었으며, 다른 11개 단편들은 같은 해 제4·5동굴에서 발견되었다. 현대 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AD 66~70년 로마에 대항하는 유대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사해본이란 무엇인가?
    두루마리에 기록된 사해본(Dead Sea Scrolls)은 막대한 역사적·종교적 중요성을 지닌 고대 필사본이다. 이것들은 사해 북서쪽에 있는 마른 강 바닥부의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800개가 넘는 두루마리 뭉치들이 발견된 것은 1947년 일로, 가장 유명한 희대의 사건이었다. 곧이어 (과거에는 이스라엘 영역이었던) 몇...
  • 옛 그림들은 어떤 모양으로 우리에게 다가올까?
    옛 그림을 형태별로 나눠보면 두루마리 그림, 축화(軸畵), 화첩(畵帖), 선면화(扇面畵), 병풍(屛風)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두루마리 그림은 둥글게 말린 그림을 펼쳐가면서 보는 것으로 한자 말로는 수권(手卷), 권화(卷畵), 횡권(橫卷)이라고도 합니다. '가례반차도(嘉禮班次圖)'는 두루마리 그림의 목적과...
  • 화권 畵卷, scroll painting
    하나는 미술사에 지대한 공헌을 했던 중국의 산수화권(山水畵卷)이고, 또 하나는 그림의 이야기 전달의 잠재력을 그 극한까지 끌어올렸던 일본의 설화적인 두루마리 그림인 에마키모노[繪卷物]이다. 설화적인 유형의 선구자격인 최초의 '삽화적인' 중국 화권들은 4세기말에 그려진 것으로, 불교의 도덕적인 교훈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제책 製冊
    樂浪封泥)의 존재나 경주 안압지(雁鴨池)에서의 목간출토 등은 간독의 사용이 우리나라에서도 삼국시대 이전에 이미 있었다는 것을 알려 주고 있다. ② 두루마리[卷子]와 족자(簇子):쓰고 베끼는 재료가 비단이나 베로 바뀐 것은 늦어도 신라 진평왕 43년(621) 이전의 일이다. 비단이나 베는 직물의 특성 그대로...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사계산수도 사계풍속도(四季風俗圖), 四季山水圖
    춘하도리원호흥경도」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을·겨울 장면인 「추동전원행렵승회도」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전개되는 특이한 형식이며 2권의 두루마리 상태로 보관되어 있다. 춘경(春景)은 이백(李白)의 시에 나오는 도리원(桃梨園)에서 열리는 연회로 가는 장면과 정원에서 풍류를 즐기는 모습이다. 하경(夏景)은...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김두량, 김덕하
    창작/발표시기 :
    1744년(영조 20)
    성격 :
    산수도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8.4㎝, 가로 202㎝(춘하도리원호흥경도), 세로 7.2㎝, 가로 182.9㎝(추동전원행렵승회도)
    권수/책수 :
    2폭
    재질 :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국립중앙박물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두루마리구름
깨끗한나라 두루마리
주자의 《봉호수권》 친필 두루마리
예티가 그려진 티베트 두루마리
깨끗한나라 두루마리 휴지 제품
1748년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왔던 박경행, 이봉환, 이명계 등과 이들 일행을 맞이하러 나온 아간십주(峩間十洲), 아산두월(峩山杜月) 사이에 오간 시와 필담을 모아놓은 두루마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