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 시정가나 홍등가를 관할했기에 신센구미와 공동 전선을 취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고 한다. 오히려 신분 차이 때문에 반목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대정봉환 이후 사가미슈구미 여두 사사키 다다사부로, 조사(組士) 와타나베 요시타로, 이마이 노부오, 와타나베 아쓰시 등이 사카모토 료마와 나카오카 신타로를 암살...
정부를 가리킨다. 무사정권이라고도 한다. 본래 12세기 후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 의해 가마쿠라 막부가 성립되었을 때부터 1867년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대정봉환을 할 때까지 약 680년간의 기간을 가리켰으나, 현재는 가마쿠라 막부 성립 2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헤이시 정권을 무가정권...
대합병에 의해 폐지된 촌이다. 현재의 이치하라시 북동부에 해당한다. 에도시대 초기에 나가이 나오마사가 이 지역 주변에 1만석을 가지고 다스렸으며, 대정봉환후 이노우에씨 영지, 가쓰마 등은 기쿠마번 미즈노 가문 영지가 되었다. 이후 폐번치현과 부현 통합을 거쳐 이 지역은 기사라즈현 소속이 되었고, 1873년 6월...
막말 사카모토 료마가 1867년(게이오 3년)에 기초한 신국가체제의 기본 방침이다. 사카모토 료마가 도쿄로 가는 배 위에서 했던 여덟 가지의 정치 구상으로 대정봉환, 상하의정국 설치, 인재 등용과 관제 개혁, 외교혁신, 법전의 제정, 해군 확충, 어친병 설치, 폐제 개혁으로 구성되어있다. 전체적인 목표는 쇼군...
7월 19일 금문의 변에서는 막부 측의 사자로서 조정과 협상하는 등 협상 능력에서 수완을 발휘했다. 1867년에는 와카도시요리(若年寄)까지 출세한다. 대정봉환에서도 협상 능력을 발휘했다.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쇼군 요시노부를 따라 에도로 도망쳐 돌아온 다음에 에노모토 다케아키와 함께 에조치로 갔다가...
5개조의 서약문은 에도 막부에 의한 대정봉환을 받아들여, 왕정복고에 의해 발족된 메이지 유신 신정부의 방침이다. 1868년 4월 6일에 교토 어소에서 메이지 천황에 의해 제정되었다. 종래의 막부, 섭관 등 폐지 등을 골자로 한 천황친정(天皇親政)을 기본으로 구미열강국을 따라잡기 위한 개혁을 모색하는 것이 주 내용...
이후 반막부 운동에 뛰어들어 각 번을 돌며 반막부 세력을 규합하는데 힘썼다. 이후 친막부 세력에 의해 체포되어 3년간의 연금생활을 하였다. 1867년 대정봉환 이후 새롭게 수립된 정권에서 의정(議定)이 되었고 1868년에는 부총재, 보신 전쟁 때는 간토 관찰사로서 에도에 부임했다. 1871년에는 신정부의 최고 직위인...
쇼군 이에미쓰의 명으로 다다나가는 개역당하였다. 이후 슨푸 번은 폐번되어 막부령이 되었고 슨푸성은 슨푸 조다이가 맡게되었다. 1867년 게이오 3년의 대정봉환에 의해 에도 막부가 무너졌다. 1868년 게이오 4년 1월의 보신 전쟁에서 도쿠가와 씨는 메이지 신정부에 패해 제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조적(조정의...
墨田川, 住田川, 澄田川 등의 표기가 혼기(混記)되었다. 1829년에 나온 도쿠가와 막부에서 편찬한 어부내비고(御府內備考)에서는 墨田川라고 기록되었다. 대정봉환 이후인 1878년 내무성에서는 染田川라고 기록되었다. 그 후에는 1937년 아사히신문(朝日新聞)에 연재된 묵동기담(濹東綺譚)에서 '墨田川의 동쪽'이라는...
올린다. 그는 게이오 3년에 번으로 돌아왔지만, 당시 구마모토번은 막부를 지지하는 좌막파가 실권을 잡고 있었기 때문에 투옥되고 말았고, 이 때문에 대정봉환, 왕정복고, 도바 후시미 전투 기간에는 감옥에서 보냈다. 게이오 4년 2월, 좌막파가 실권을 잡고 있었던 구마모토번은 유신의 물결에 끼어들기 위해 겐사이...
다시 화재가 발생하여 시설이 소실되자, 쓰키지에서 하마리큐 은사정원으로 이전했다. 영국에서 트레이시 고문단을 초빙하여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대정봉환, 왕정복고에 의해 막부가 와해되자 교육은 시작도 하지 못한 채 끝났다.藤井(1991年), p155 나가사키 해군전습소와 비교하면 나가사키에서는 네덜란드...
6월 30일, 자금성 내에서 진보침(陳寶琛) 등이 ‘어전회의’를 열어 청조의 부활 음모를 꾸몄고, 그날 심야에 역이나 우체국에 방화하여 여원홍에게 ‘대정봉환’을 권유했다. 7월 1일, 장훈 · 육군총장 왕사진, 보군통령 강조종, 경찰총감 우병상, 제12수장 진광원, 제13수장 이진재, 강유위(캉유웨이)(康有爲), 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