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텍스염산로메플록사신정 400mg Etex Lomefloxacin Hydrochlorid..
    리엘증후군)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4) 신장 : 저칼륨혈증, 드물게 BUN, 혈청크레아티닌 상승, 급성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5) 간장 : 드물게 AST/ALT, ALP의 상승, 드물게 혈청빌리루빈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6) 소화기계...
    식약처 분류 :
    [06290]기타의 화학요법제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약효 분류 :
    감염치료 및 관리 작용약 > 항균제 > 퀴놀론계 > Fluoroquinolones
    제조/수입사 :
    (주)테라젠이텍스
    급여정보 :
    삭제
    성상 :
    흰색의 장방형 제피정
    제형 :
    정제, 저작정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차광기밀용기, 실온보관(1-30℃)
    FDA 임산부 금기 :
    C - 해당 약물이 임부에게 투여될 경우 태아에게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나, 약물투여로 인한 치료적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한올염산로메플록사신정 441.6mg Hanall Lomefloxacin Hydrochlo..
    리엘증후군)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4) 신장 : 저칼륨혈증, 드물게 BUN, 혈청크레아티닌 상승, 급성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5) 간장 : 드물게 AST/ALT, ALP의 상승, 드물게 혈청빌리루빈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6) 소화기계...
    식약처 분류 :
    [06290]기타의 화학요법제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약효 분류 :
    감염치료 및 관리 작용약 > 항균제 > 퀴놀론계 > Fluoroquinolones
    제조/수입사 :
    한올바이오파마(주)
    성상 :
    백색의 타원형 필름코팅정
    제형 :
    정제, 저작정
    투여 경로 :
    내복제
    보관방법 :
    차광기밀용기, 실온보관(1-30℃)
    FDA 임산부 금기 :
    C - 해당 약물이 임부에게 투여될 경우 태아에게 위험할 가능성도 있으나, 약물투여로 인한 치료적 이득이 위험을 상회할 가능성이 있다
    도서 약약사전 | 태그 의약품
  • 로맥사신정100mg Lomexacin Tab. 100mg
    리엘증후군)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4) 신장 : 저칼륨혈증, 드물게 BUN, 혈청크레아티닌 상승, 급성신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5) 간장 : 드물게 AST/ALT, ALP의 상승, 드물게 혈청빌리루빈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6) 소화기계...
    식약처 분류 :
    기타의 화학요법제 (629)
    전문/일반 :
    전문 의약품
    제조/수입사 :
    코오롱제약
    급여정보 :
    보험코드 670304020_525원/1정, 급여(2017-02-01)
    임산부 금기 :
    2등급 , 명확한 임상적 근거 또는 사유가 있는 경우 부득이하게 사용
    제형 :
    정제
    단일/복합 :
    단일 성분
    투여 경로 :
    경구(내용고형)
    보관방법 :
    차광기밀용기, 실온(1~30℃)보관
    도서 의약품 사전 | 태그 의약품
  • 대동맥류 Aortic aneurysm, 大動脈瘤
    대동맥류는 흉부 내에서 발견되며 상행 대동맥류, 대동맥 또는 하행 대동맥류로 더 분류된다. 가장 흔한 형태의 대동맥류인 복부 대동맥류, "AAA" 또는...분류는 5가지 유형을 설명한다. 관상동맥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흡연 말초동맥질환 마르판 증후군 매독 대부분의 온전한 대동맥류는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도서 위키백과
  • 빗장밑동맥 Subclavian artery, 鎖骨下動脈
    대동맥의 왼쪽 끝에서 갈라져 나와 오른쪽을 향해 비스듬히 주행한다. 보통은 기관, 식도, 오른쪽 목동맥 뒤, 때로는 식도와 기관 사이를 지나 첫째 갈비뼈 위쪽 경계까지 주행하는 정상적인 경로를 따른다. 매우 드문 경우지만 이 혈관은 넷째 등뼈(T4) 높이에 있는 가슴대동맥에서 시작할 수 있다. 때때로 앞목...
    도서 위키백과
  • 바소프레신 Vasopressin, バソプレッシン
    심방이나 대동맥에서 혈압 감지 수용체(baroreceptor)가 변화를 인지해 ADH 분비를 활성화합니다. 스트레스 및 기타 호르몬 영향 심한 통증,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ADH가 일시적으로 분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지오텐신 II(Angiotensin II) 같은 호르몬도 ADH 분비를 보조적으로 자극합니다. 반대로, 체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