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규원 소산(小山), 丁圭原
    전라남도 광주에서 활동한 화가. 호는 소산(小山). 미산(米山) 허형(許瀅)에게서 그림을 배우고 의재(毅齋) 허백련(許百鍊)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일본 남화풍(南畵風)의 단정하고 맑은 담채산수를 잘 그렸다. 조선미술전람회에 3회 입선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899년 진도에서 태어났다. 허형의 처가 친척으로 허형...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99년
    사망 :
    1942년
    경력 :
    연진회(鍊眞會) 회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제7∼9회 조선미술전람회
    직업 :
    화가
    대표작 :
    고정(孤亭), 추경산수(秋景山水), 무림심수(茂林深秀)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남정팔난기 팔장사전(八壯士傳), 南征八難記
    황극의 집을 불태우고 임 부인을 납치한다. 2회: 황극과 주봉진은 임 부인을 찾아 나서며 온갖 고난을 겪는다. 운행 도사를 만나 도움을 받고, 남화 도사의 제자를 만나 남화 도장을 찾아가라는 말을 듣는다. 황극과 주봉진은 호랑이를 만나고 이때 용친전이 나타나 도와준다. 3회: 황극과 주봉진은 녹명촌에서 도둑으로...
    시대 :
    조선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고전산문
  • 진도 운림산방
    서화 예술이 발달한 진도에서도 대표적인 서화 예술가로 꼽히는 이는 조선 후기 남화의 대가로 불리는 소치 허련(小痴 許鍊)이다. 그는 당나라 남송화와 수묵 산수화의 효시인 왕유의 이름을 따 허유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운림산방은 허련이 말년에 서울 생활을 그만두고 고향인 이곳에 돌아와 거처하며 그림을 그리던...
    위치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운림산방로 315
    문화재 지정 :
    명승 제80호(2011.08.08 지정)
  • 정화암 윤옥(允玉), 鄭華巖
    협의하였다. 중국국민혁명의 원로 리스쳉[李石曾] · 우중후이[吳鍾暉] 등과 제휴, 동방자유혁명자연맹(東方自由革命者聯盟)을 조직하였다. 1930년 4월 20일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 11월에 흑색공포단(黑色恐怖團)을 조직해 직접적인 무력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재중국무정부주의자 유기석(柳基石)을...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이달 이덕(二德)), 李達
    방해공작으로 인해 관내로 이동하게 되었다. 1931년 11월부터 상해(上海)에서 오면직(吳冕稙)·원심창(元心昌)·백정기(白貞基)·이강훈 등과 함께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의 행동단체인 결사대를 조직해 독립운동을 전개시켜 나갔다. 1933년 3월 상해의 백정기 집에서 원심창·오면직·엄순봉(嚴舜奉...
    시대 :
    근대
    출생 :
    1907년
    사망 :
    1942년
    경력 :
    신민부 국내공작원, 조석혁명자연맹 중앙위원, 조선의용대 본부 선전조장, 광복군 제1지대 비서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대표작 :
    태평양전쟁과 조선혁명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정종여 청계(靑谿), 鄭鍾汝
    집을 나와 생활했다. 합천 해인사 주지 스님의 도움으로 도쿄 유학을 떠나 다이헤이요미술학교[太平洋美術學校] 야간부에 잠시 다녔다. 그러나 1934년 일본 남화의 대가인 야노교손[失野橋村, 1890~1965]을 스승으로 삼고자 그가 교장으로 있던 오사카미술학교[大阪美術學校]에 입학해 1939년까지 전공과에서 공부했다...
    시대 :
    현대
    출생 :
    1914년
    사망 :
    1984년
    경력 :
    평양미술대학 예술학 부교수, 인민예술가
    유형 :
    인물
    직업 :
    화가, 한국화가
    대표작 :
    삼월의 눈, 석굴암의 아침, 독수리, 5월의 농촌, 고성인민들의 전선원호
    성별 :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이응로 李應魯
    김규진의 문하생이 되어 서예·사군자·묵화 등을 배웠다. 이듬해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 〈묵죽 墨竹〉을 출품하여 입선했고, 1935년 일본으로 가 일본 남화의 대가였던 마쓰바야시 게이게쓰[松林桂月]에게 사사했으며, 혼고[本鄕] 회화연구소에서 서양화 기법을 공부하기도 했다. 1938년 제17회 선전에서는 이왕직 상...
    출생 :
    1904. 1. 12, 충남 홍성
    사망 :
    1989. 1. 10, 프랑스 파리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서거차도 西巨次島
    국교 정상화와 맞물리며 도내 4대 어업기지의 한 곳으로 선정되는 등 섬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서거차출장소가 들어서고 방파제와 물양장 시설 공사를 맡은 남화토건이 사무실이 문을 열기 시작하면서 주민들도 늘어났다. 그러나 1984년 남화토건 현장사무실이 철수하고 방파제와 물양장 시설을 제외한 냉동, 급수, 제빙...
    유형 :
    지명/자연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베트남 전쟁 파병 Vietnam 戰爭 派兵
    남베트남에서의 단계적인 철군을 발표하고, 1969년 7월부터 일부 병력을 철수시키면서 “베트남 전쟁은 베트남인이 수행하게 한다.”는 ‘베트남 전쟁의 베트남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었다. 미국이 베트남에서 일부 병력을 철수시키자, 전투 부대를 파병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필리핀, 타일랜드 등 연합국도...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국방
  • 백정기 구파, 白貞基
    비밀결사를 조직했고, 1931년에는 흑색공포단을 조직해 일본군의 시설파괴, 요인암살 등을 목표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1933년 상하이로 돌아와 이회영 등과 남화한인청년연맹을 조직해 상하이의 무정부주의자들을 규합한 후, 3월에 상하이 홍커우[虹口]에 있는 육삼정(六三亭)에서 열린 일본요인과 친일파들의 연회를...
    출생 :
    1896(건양 1), 전북 부안 신운리
    사망 :
    1934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아나키스트 무정부주의자, Anarchists
    아나키스트로는 이회영, 신채호, 김원봉, 유자명, 백정기, 유림, 정화암, 박열, 김종진 등이 있다. 아나키즘 노선의 단체로는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남화한인청년연맹(흑색공포단), 의열단, 흑로회, 흑기연맹, 흑우연맹, 흑전사, 조선노동동흥회 등이 있다. 아나키즘 관련 학술 연구 단체로는 조선에스페란토문화사와...
  • 김기창 운포, 金基昶
    선전 추천작가가 된 후 일제 군국주의에 동조하고 조선총독부 전시체제와 문예정책에 협조했다. 친일미술가조직 구신회(九晨會)에 참여하거나(1941) 조선남화연맹(朝鮮南畵聯盟) 전시회(1942), 반도총후미술전람회(1942, 1943), 결전미술전람회(決戰美術展覽會)(1944) 등에 일본화 부문에 일본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그림...
    출생 :
    서울, 1913. 2. 18
    사망 :
    2001.1. 23, 충북 청원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석제 '남화죽산수묘경' 인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