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심수봉 Sim Soo-bong, 沈守峰
    중앙정보부 안가에 도착하였으며 그 곳에서 간단한 예절교육을 하고 이들에게 기밀서약 유지서를 작성하게 하였다. 심수봉이 만찬 중간에 노래를 부르던 중, 김재규는 신재순이 1절 후렴을 막 시작하려고 할때 박정희가 김영삼을 구속기소해야 한다는 질책에 김재규는 "이미 제명당한 김영삼을 구속시키면 국민들은 그를...
    도서 위키백과
  • 양병호
    9월 대법원 판사에 임명되었다. 양병호는 홍순엽과 함께 대한민국의 대법관 중에서 변호사에서 대법관으로 임명된 유일한 법조인이다. 대법원 판사 양병호는 김재규 등에 대해 내란목적 인정에 대하여 군부와 마찰이 있은 끝에 소수의견을 남기고 1980년 8월에 판사직에서 물러났다. 판결이 있은 직후인 1980년 8월 3일...
    도서 위키백과
  • 이만섭 李万燮
    당적 없는 국회의장이 되었다. 호(號)는 청강(靑江)이다. 이만섭은 1932년 2월 25일에 경상북도 대구부 에서 태어났다. 대구 대륜중학교 4학년 때 약 1년간 김재규가 체육교사로 부임하여 사제인연을 맺은 적이 있다. 당시 김재규는 육사 2기 졸업후 임관하였다가 잠시 군을 떠나 있을 때였다. 당시 농구선수이자 학업...
    도서 위키백과
  • 노재현 Roh Jae-hyun, 盧載鉉
    1978년 국방부장관 재직 시 한미동맹의 상징인 한미연합군사령부가 창설되었으며, 당시 미국방부장관은 헤럴드 브라운 박사였다. 1979년 10.26사태 당시 김재규가 대통령 시해사건의 범인임을 알아차린 직후,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에게 체포지시를 하였고, 익일 새벽에 계엄령을 선포하였다. 1979년 12월 12일 일부 군...
    도서 위키백과
  • 12·12 군사 반란 Coup d'état of December Twelfth, 粛軍クー..
    합동수사본부장을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이 임명해서 10.26 사건을 수사했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정승화가 10.26 일어난 사건현장 가까이 있었다는 사실과 김재규와 같이 육군본부로 이동한 사실, 그 이후 국방부장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대를 이동시키고 이것을 국방부장관에게는 보고하지 않고 김재규에게만 보고한...
    도서 위키백과
  • 10·26 사건 Assassination of Park Chung Hee, 朴正煕暗殺事件
    사건 정보 10·26 사건 또는 박정희 대통령 시해 사건, 궁정동 사건(宮井洞 事件)은 1979년 10월 26일에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선호, 박흥주 및 안가 경비원들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을 시해하고, 차지철 경호실장, 정인형 대통령 경호처장, 안재송 대통령 경호부처장, 김용섭 대통령 경호관, 김용태...
    도서 위키백과
  • 코리아게이트 (드라마)
    이상열 육군 소장, 중앙정보부 차장보 역 박찬환: 윤일균 공군 준장, 중앙정보부 부장 직무대행 역 이도련: 강창성 육군 소장, 국군보안사령관 역 김흥기: 김재규 육군 중장, 중앙정보부 차장, 건설부 장관, 유신정우회 국회의원, 제8대 중앙정보부장 역 정한헌: 차지철 육군 대위 ~ 육군 중령, 민주공화당 국회의원, 제...
    도서 위키백과
  • 5·18 민주화 운동 五·一八 民主化 運動
    5·18 항쟁의 진상을 알리기 위한 시위를 계획하였다. 하지만 이는 사전에 계엄 당국에 탐지되었고, 전원이 검거되어 모진 고초를 겪었다. 그러나 5월 25일 경 김재규를 중심으로 한 일단의 활동가 그룹은 마침내 광주 학살의 진상을 알리는 유인물을 살포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들은 5·18 항쟁을 보도한 외국 잡지를...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대한민국 제4공화국 Fourth Republic of Korea, 第四共和国 (大韓民国)
    등으로 확산되었다. 이는 박정희 대통령에게 큰 위기감을 주었고, 1979년 10월 20일 계엄령이 선포되며 부마항쟁은 진압되었다.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김재규에 의해 살해되고, 12월 12일, 살해 장소에 함께 있었던 정승화를 전두환 등이 연행한 사건이 발생했다. 실권을 장악한 신군부 세력은 계획적인 집권...
    도서 위키백과
  • 민주화 운동 民主化 運動
    시청 앞에서유신 철폐,계엄 해제를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마산에서도 18, 19일에 걸쳐 격렬한 항쟁이 벌어져 20일 위수령이 선포되었다. 부마항쟁은 김재규(金載圭)의 10·26 정변에 하나의 원인이 되어, 유신 독재를 붕괴시키는 데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하였다. 부마항쟁으로 마산에서 시민 1명이 사망하였고...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10월 유신 十月 維新
    대한 전면적 저항이었다. 박정희 정권은 계엄령을 발동하고 공수부대를 투입하여 가까스로 항쟁을 진압하였다. 그러나 부마 항쟁을 목격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는 박정희와 차지철(車智澈)을 사살하는 10·26 정변을 일으켰다. 결국 부산에서 불붙은 부마 항쟁으로 인해 김재규가 권총 방아쇠를 당김으로써 유신...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 박정희 朴正熙
    되었을 때 독재에 대한 국민의 분노는 부산에서 먼저 분출되었다. 1979년 10월 16일과 17일 양일에 걸친 분노한 시민들의 항쟁을 직접 시찰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金載圭)는 부마 항쟁을 ‘민란’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로부터 열흘 후 궁정동 안가에서 김재규에 의한 10·26 정변이 발생하여 박정희의 처참한 죽음과...
    분야 :
    정치·경제·사회
    지역 :
    부산광역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김재규
재판을 받고 있는 김재규
10.26사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