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현 (변호사)
    1956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모더니즘을 표방하며 분단 극복을 지향하는 시 세계를 펼쳤고 1970년대 후반부터 반독재 투쟁에 앞장섰던 고(故) 김규동 시인이다. 경복고,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 코넬대학교 대학원 법학석사를 취득했고 워싱턴대학교 로스쿨 법학석사 및...
    도서 위키백과
  • 꼬마버스 타요 Tayo the Little Bus, ちびっこバス タヨ
    음향: 김지희 녹음: POPES 믹싱: 강희중, 부유정 오프닝/엔딩곡 작곡: 신승준, 김원아 오프닝/엔딩곡 작사: 김영익 노래: 리틀유니스 노은율, 김하연, 김규동, 위서은, 황민하 노래지도: 전해윤 문자그래픽: 최예은 기술감독: 우동철 연출 → 우리말 연출: 정애진 기획: EBS 제작: ㈜아이코닉스, EBS, (주)교육미디어...
    도서 위키백과
  • 아리랑 (1956년)
    대중들로부터의 반응이 좋아 창간호가 3만부나 판매되었고, 5월호인 제3호가 5만부, 제4호가 8만부나 판매되는 등 당시 독자들의 인기가 대단하였다. 시인인 김규동(金奎東)이 주간을 맡았고, 임진수(林眞樹)가 편집장이었던 이 잡지는, 1963년 통권 100호부터 전무이며 발행인의 사위인 이월준(李月俊)이 맡아 서울...
    도서 위키백과
  • 김기림 Kim Kirim, 金起林
    를 발표하였다. 1942년 낙향하여 고향 근처 경성중학교(鏡成中學校)의 영어 교사로 부임했으며, 영어 과목이 폐지되자 수학을 가르쳤다. 당시 제자로 시인 김규동이 있다. 1945년 해방 후 조선문학가동맹에 가담하였으나, 다음 해 소련이 점령한 북한 지역으로부터 월남하여 1948년 대한민국 건국 즈음에 탈퇴하였다...
    도서 위키백과
  • 만해문학상 Manhae Prize
    책상》 / 평론집 《완당평전》 제19회 2004년 소설가 홍석중 장편소설 《황진이》 제20회 2005년 소설가 김원일 연작소설 《푸른 혼》 제21회 2006년 시인 김규동 시집 《느릅나무에게》 제22회 2007년 소설가 김영하 장편소설 《빛의 제국》 제23회 2008년 소설가 윤영수 소설집 《소설 쓰는 밤》 제24회 2009년 소설가...
    도서 위키백과
  • 이승철 (시인)
    광주 젊은 벗들> 시낭송기획실을 조직해, 4차례에 걸쳐 시 낭송 운동을 전개했고, 화가 홍성담 등 <토말그룹>과 함께 시화전을 개최했다. 1983년 12월 김규동, 김봉근, 박몽구, 박선욱 시인의 추천에 힘입어 시 전문 무크 ≪민의≫ 제2집 ≪시와현실≫(일월서각)에 5월의 진실과 그 상처를 형상화한 <평화시장에...
    도서 위키백과
  • 경성고등보통학교 (경성군)
    학제 개편과 남녀공학 수성고급중학교로 개칭 2014년 초순 모교 자리에 경성의학전문학교를 개교 (탈북자 제보) 8·15 광복 후 24회가 마지막 졸업생이다. 김규동 - 전 시인 김 철 - 민주사회당 김연준 - 한양대 설립자, 총장 및 이사장 김입삼 - 전 전경련 상근 부회장 김구남 - 전 제주지방법원장 황부길 - 전 4...
    도서 위키백과
  • 민주회복국민선언
    사립대학 교수 5명에 대한 문교부의 경고, 경기공업전문학교 김병걸 교수에 대해 권고 사직 강요, 서울대학교 문리대 백낙청 교수에 대한 사직 권고, 시인 김규동이 경영하는 출판사의 10년치 경리장부의 제출을 요구한 것을 거론하면서 "정부당국은 민주회복국민선언에 서명한 인사들에 대한 음양으로 부당한 박해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김규동
〈나비와 광장〉의 시인 김규동
전후 인간의 방황과 고독을 노래한 김규동의 첫 시집 〈나비와 광장〉과 그 본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