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원봉 김양백, 金源鳳
    도모한 바 있는 기삼연은 대한제국 군대 해산 후인 1907년 9월 전라남도 영광군 수록산(隨錄山)에서 의병을 모아 훈련시킨 후 의병부대를 편성하여 호남창의회맹(湖南倡義會盟所)를 설치하였다. 호남창의회맹의 지도부는 대장 기삼연, 통령(統領) 김용구(金容球), 선봉(先鋒) 김준(金準), 참모(參謀) 김엽중(金燁中...
    출생 :
    1887년 11월 19일, 전라남도 장성(長城)
    사망 :
    1908년 3월 4일
    주요활동 :
    기삼연 의병부대에 가담하고, 1908년 3월 장성군 황룡면에서 일본군과 전투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 강금성 姜今成
    전개하였다. 박도경은 전라북도 고창 출신의 의병장으로 본명은 박경래(朴慶來), 별칭은 포대(砲大)다. 1907년 기삼연(奇參衍)을 중심으로 결성된 호남창의회맹(湖南倡義會盟所)에서 포군장(砲軍將) 직책을 맡았다. 1908년 2월 초 기삼연 사후 호남창의회맹가 분진(分陣)되자 김공삼(金公三) ・ 김영엽(金永燁) 의진...
    출생 :
    1886년, 전북 부안(扶安)
    사망 :
    미상
    주요활동 :
    1909년 박도경 의진에 참여하여 전북 부안, 무장, 고창 등지에서 의병활동 중 체포.
    포상훈격 :
    2013년 건국포장
  • 김일수 金日洙
    군대가 강제해산 당하면서 일제에 대한 전국적 저항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호남 지역 의병운동의 기점이 된 것은 1907년 10월 봉기한 호남창의회맹(湖南倡義會盟所)였다. 국망의 위기를 목도한 호남 지역의 인사들이 앞서 1896년부터 의병운동에 참여해 온 기삼연(奇參衍)을 중심으로 호남창의회맹를...
    출생 :
    1887년, 전라남도 담양(潭陽)
    사망 :
    1910년 6월 2일
    관련 사건 :
    후기의병
    주요활동 :
    1909년 양상기 의병부대에 참여한 후 전남 담양군에서 의병활동 전개
    포상훈격 :
    2015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양상기 의병부대
  • 김봉훈 金鳳勳
    奇參衍)은 1907년 9월 전라남도 장성(長城)과 영광 경계의 수록산(隨錄山)에서 의병들의 회맹을 열고 호남창의회맹(湖南倡義會盟所)의 대장에 추대되었다. 호남창의회맹의 기삼연 의병부대에 형인 김봉수(金鳳樹)와 함께 합류하여 총포수(銃砲手)로 활약하였다. 형은 서기(書記) 겸 참모(參謀)로 활약하였다. 이후...
    출생 :
    1884년 3월 1일, 전라남도 장성(長城)
    사망 :
    1908년 11월 2일
    주요활동 :
    1907-1908년 기삼연 의병부대에서 총포수로 활동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기삼연 의병부대
  • 이석용 경항(敬恒), 李錫庸
    당시 기삼연(奇參衍)이 영광 수록산(隨綠山) 석수승암(石水僧庵)에서 회맹하여 호남창의맹(湖南倡義盟所)를 구성하자, 전해산과 더불어 종사 중 1인이 되었다...상이암(上耳庵) · 황사현 등지에서 재차 동지들과 창의계획을 숙의하였다. 이에 의진을 ‘의병창의동맹’이라 명명하고, 진용을 정비하여 선봉 · 중군...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김동신 원표, 金東臣
    파악하기 위한 변장대(變裝隊)를 출동시켰다. 이 작전은 전남 서부 지역과 동부 지역의 의병을 동시에 겨냥하여 실시되었다. 전남 서부 지역의 경우에는 호남창의회맹(湖南倡義會盟所)를 진압하려는 것이었고, 동부 지역에서는 김동신 의병부대를 섬멸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호남창의회맹는 기삼연 의병장을 비롯...
    출생 :
    1871년 12월 26일, 충남 회덕(懷德)
    사망 :
    1933년 1월 30일
    본관 :
    경주(慶州)
    주요활동 :
    1906년 전북에서 민종식의 의병 모집 협조, 노성의 궐리사 강회에 참석, 최익현의 종사로 활동, 1907년 내장산에서 기우만 고광순과 거병 논의, 지리산 인근의 의진과 연합 거병
    포상훈격 :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 김상칠 金相七
    이석용 의병부대는 1907년 9월 13일 진안읍을 공격하여 점령하였다. 당시 기삼연이 전라도 일대의 의병부대를 결집하여 호남창의회맹를 결성하자 의병부대를 이끌고 합류하였다. 호남창의회맹는 기삼연을 맹주로 추대한 뒤 1907년 10월 말부터 다음해 1월 말까지 치열한 항일 전투를 벌였다. 1908년 1월 9일 동료...
    출생 :
    1883년, 전라북도 임실(任實)
    사망 :
    미상
    관련 사건 :
    후기의병
    주요활동 :
    1907년 전북 진안의 이석용(李錫庸) 의진에서 의병 활동 전개
    포상훈격 :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
  • 강길환 姜吉煥
    일으킨 의병부대에 가담하였다. 기삼연(奇參衍)은 김태원 등과 함께 1907년 10월에 전라남도 장성(長城) 수연산(隨緣山) 석수암(石水庵)에서 결성한 호남창의회맹(湖南倡義會盟所)를 결성하였다. 호남창의회맹의 선봉장 김태원 의병부대의 포수로서 활동하였다. 김태원 의병부대는 1907년 10월 22일 전후 전라북도...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관련 사건 :
    후기의병
    주요활동 :
    전남지역 의병장 김태원(金泰元) 의진에 속하여 일본군에 항전
    포상훈격 :
    2009년 건국훈장 애국장
  • 김태원 죽봉, 金泰元
    衍)이 장성군(長城郡)에서 거의하였다는 것과 힘을 합하여 큰일을 도모하는 것이 좋겠다는 조언을 들었다. 군사를 이끌고 합세하기로 결심한 후, 기삼연의 호남창의회맹(湖南倡義會盟所)에 가담하기 위하여 장성으로 갔다. 기삼연에게 군사적 지식과 대담성 등을 높이 인정받아, 호남창의회맹의 선봉장(先鋒將)에...
    출생 :
    1870년 9월 16일, 전라남도 나주(羅州)
    사망 :
    1908년 4월 25일
    본관 :
    경주(慶州)
    주요활동 :
    1907년 기삼연의 호남창의회맹소에 가담해 선봉장으로 활약하였고, 이후 신덕순과 거의한 뒤 전라도 일대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다가 순국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호남창의회맹소
  • 오성술
    거병하였다. 의병장 김태원(金泰元)이 합진을 제의해 와 두 진영을 합치기로 결의하였다. 1907년 9월 기삼연을 창의대장으로 하여 편성된 호남 의병 연합부대인 호남창의회맹에도 참여하였다. 호남창의회맹를 중심으로 한 의병항쟁이 격화하자 일본 군경은 1908년 초부터 대대적인 탄압 작전을 감행하였다. 1908...
    도서 위키백과
  • 김기만 金琪萬
    우포장(右捕將)이 되어 의병부대를 이끌었다. 한편, 이석용은 1907년 9월 기삼연이 전라도 일대의 의병부대들을 결집하여 호남창의회맹를 결성하자 부대를 이끌고 합류하였다. 호남창의회맹는 기삼연을 맹주로 추대한 뒤 1907년 10월 말부터 다음 해 1월 말까지 치열한 항일 전투를 전개하였다. 이들은 주로 장성...
    출생 :
    1881년, 전라북도 임실(任實)
    사망 :
    미상
    관련 사건 :
    후기의병
    주요활동 :
    1907년 정성현(鄭成鉉) ・ 이석용(李錫鏞) 의진에 참여하여 전북 순창과 임실 등지에서 활동
    포상훈격 :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
  • 강필주 姜弼周
    참여하여 선봉장(先鋒將)으로 활동하였다. 이대극 의병장은 1906년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의병을 일으킨 것으로 전한다. 이듬해인 1907년 여름 호남창의회맹(湖南倡義會盟所)의 기삼연(奇參衍)을 찾아가 의병부대를 통합한 후 기삼연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도포장(都砲將) 겸 군기감(軍器監)이 되었다. 그...
    출생 :
    미상
    사망 :
    1908년
    관련 사건 :
    후기의병(이대극)
    주요활동 :
    1908년 이대극 의병부대의 선봉장으로 활동
    포상훈격 :
    1997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호남창의회맹소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5건

호남창의회맹소 전투지 금성산성(전남 담양)
호남창의회맹소 선봉장 김태원의 격문(1908. 2)
호남창의회맹소의 전투지인 금성산성(전남 담양)
호남창의회맹소의 전투지인 금성산성(전남 담양)
호남창의회맹소의 전투지인 금성산성(전남 담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