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산 남간사 南山 南澗寺
    왕대(681∼692)와 효소왕대(692∼702)의 고승 혜통(惠通)의 집이 있었던 은천동(銀川洞)에 있었다고 하며, 창건연대와 창건자는 미상이다. 신라 애장왕과 헌덕왕 때에 이 절의 승려였던 일념(一念)이 「촉향분예불결사문(觸香墳禮佛結社文)」을 지은 것으로 볼 때 헌덕왕 이전에 창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절...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김면 金沔
    내용 『해동역사(海東繹史)』인물고에 의하면 812년(헌덕왕 4) 7월 경오(庚午)에 당나라에 가 있던 신라의 질자 시위위소경사자금어대(試衛尉少卿賜紫金魚袋) 김면을 시광록소경(試光祿少卿)으로 삼아, 조제책립부사(吊祭冊立副使)에 충용하여 최릉(崔稜)을 따라 신라로 돌아가게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은...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분야 :
    역사/고대사
  • 백영 白永
    황해도 금천군)의 태수였다. 신라는 삼국통일 후 예성강 이북의 북방개척에 힘을 기울였다. 782년(선덕왕 3)에 패강진을 설치한 이래 군현을 증설하여 헌덕왕 때에는 취성군(取城郡 : 지금의 황해도 황주) 및 영현(領縣) 세 곳을 신설하였다. 우잠태수로 있었던 그는 826년(헌덕왕 18) 7월에 한산(漢山) 이북의 주민 1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태수
    유형 :
    인물
    직업 :
    지방관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숭례전 崇禮殿
    장소로 이용되었으며, 716년(성덕왕 15) 3월에는 큰 바람에 의하여 헐어지기도 하였다. 807년(애장왕 8) 2월에는 애장왕이 이곳에서 주악(奏樂)을 보고 들었다. 814년(헌덕왕 6) 3월에는 헌덕왕이 여러 신하들과 이곳에서 연회를 함에 기쁨이 대단하여, 왕은 가야금을 타고 이찬 충영(忠榮)은 일어나 춤을 추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궁궐건물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고대사
  • 동화사 桐華寺
    왕사가 중창했는데 사찰 주변에 오동나무꽃이 상서롭게 피어 있어 동화사라 고쳐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삼국유사〉 권4 심지계조조(心地繼祖條)에는 신라 헌덕왕의 아들이었던 심지가 갖은 고행 끝에 속리산의 영심대사(永深大師)가 진표율사로부터 받은 불골간자(佛骨簡子)를 전수받아 팔공산으로 돌아온 후 불골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대구 , 사찰
  • 김장여 金璋如
    생애 및 활동사항 태종 무열왕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주원(金周元)이며, 아버지는 김종기(金宗基)이다. 822년(헌덕왕 14) 반란을 일으킨 김헌창(金憲昌)과는 숙질간이다. 816년(헌덕왕 8) 1월 숙부인 헌창의 뒤를 이어 파진찬(波珍飡)의 관등으로 시중에 임명되었다가, 817년 1월 면직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시중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주왕산 석병산(石屛山), 周王山
    잎꿩의비름 · 바위채송화 등의 희귀식물과 대왕나비 · 도이땅딸보메뚜기 · 하늘나방 등의 희귀곤충 728종이 살고 있다. 형성 및 변천 882년(헌덕왕 14)에서 825년(헌덕왕 17)까지 김헌창과 김범문이 주왕산에 은거하기 위해 축성했다는 주방산성의 흔적이 있다. 임진왜란 전후하여 피난 왔던 사람들이 내원동 · 너...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패강진 浿江鎭
    패강 지역은 패강진을 중심으로 하여 군사적 성격이 강한 하나의 독자적 광역권으로 묶여져, 한주(漢州)와 구분되는 특수구역으로 편제되었으며, 822(헌덕왕 14)에 김헌창(金憲昌)의 난(亂)이 일어났을 때에는 거병자수(擧兵自守)하기도 했다. 한편 헌덕왕(憲德王) 때에 패강진의 관할 지역은 더욱 북쪽으로 확대되어...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지명
    분야 :
    역사/고대사
  • 혜륭 惠隆
    내용 헌덕왕 때 국통(國統)이 되었으며, 817년(헌덕왕 9)에 효원(孝園) 김상랑(金相郎)과 대통(大統) 녹풍(鹿風), 대서성(大書省) 진노(眞怒) 등과 함께 이차돈(異次頓)의 무덤을 수축하고 그의 순교를 기리는 큰 비를 건립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국통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김장렴 金張廉
    생애 및 활동사항 헌덕왕의 왕자이다. 817년(헌덕왕 9) 10월 조공사(朝貢使)로 당나라에 파견됐는데, 도중에 풍랑을 만나 표류하다가 명주(明州: 浙江省 寧波縣) 해안에 도착하여 절동(浙東) 관리의 도움으로 당나라 서울까지 갔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왕자
    분야 :
    역사/고대사
  • 국통 國統
    非常職)인 대국통(大國統)에 임명될 때까지 단 한 사람도 국통에 임명된 기사가 없다. 이는 아마 사료일실에 그 원인이 있을 듯하다. 신라 하대에 들어와서 헌덕왕 때와 정강왕 때에 다시 국통에 관한 기록이 보인다. 817년(헌덕왕 9)에 이차돈(異次頓)의 무덤을 수리하고 세운 비문에 국통 혜륭(惠隆)의 이름이 보이고...
    시대 :
    고대/삼국/신라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551년(진흥왕 12)
    분야 :
    역사/고대사
  • 원순 元順
    내용 성은 김씨이며, 진골(眞骨) 출신으로 관등은 각간(角干)이었다. 823년(헌덕왕 15) 정월 5일 각간 평원(平原)과 함께 나이 70세로 관직을 그만두매 헌덕왕(憲德王)으로부터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각간(角干)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경주 신라 헌덕왕릉 좌측면
경주 신라 헌덕왕릉
헌덕왕릉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