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리히텐슈타인의 자연환경산악지대에서 잘 자라지 않는 포도와 옥수수 재배가 가능하다. 이 나라에는 매우 다양한 식물들이 자란다. 갈대·새눈무늬앵초·난초류뿐만 아니라 수생 서양톱풀과 쇠뜨기말을 찾아볼 수 있다. 숲은 유럽산너도밤나무, 보통 단풍나무, 노르웨이단풍나무, 플라타너스, 참피나무, 느릅나무, 서양물푸레나무 등이 자라는...
-
식물에 붙은 어미 명칭 이야기선” 이라는 단어를 붙여 선괭이밥, 선토끼풀이라고 부릅니다. 그 외에 식물에 털이 있다고 털동자꽃, 털중나리, 잎 가장자리가 톱 모양이라고 이름을 지은 톱풀, 톨잔대, 톱바위취 등이 있습니다. 진위를 나타내는 이름 진짜라는 의미로 “참” 이라는 단어를 붙여 이름을 지은 참나리, 참바위취, 참개별꽃 등이 있고...
-
산톱풀 Discoid-involucre alpine yarrow작다. 총포는 종 모양, 총포편이 3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이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10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해설 기본종인 톱풀(A. alpine L.)에 비해서 주로 북부지방에 자라며, 남한에는 한라산 해발 1,300m 이상의 풀밭에 자란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약 4mm, 혀모양꽃은 길이 3mm 이하...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톱풀속
- 서식지 :
- 높은 산의 풀밭
- 학명 :
- Achillea alpina L. ssp. alpina L. var. discoidea (Regel) Kitam.
- 국내분포 :
- 함경남․북도, 평안남․북도, 경기도, 강원도, 제주도
- 해외분포 :
- 러시아(동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일본, 중국(북부)
-
거북점 ─占한다. 점치는 방법은 처음에는 거북 등의 껍데기를 불에 태워 그 금의 균열에 따라 점을 쳤는데, 나중에는 거북 형상을 만들어 시초(蓍草 : 점칠 때 쓰는 톱풀)나 막대를 꽂아두고 그것을 뽑아내어 길흉을 판단하게 되었다. 나무나 쇠로 거북모양을 만들어 속을 파내어 입을 통해서 점괘(占卦)를 쓴 종이와 막대, 또는...
- 성격 :
- 점법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법률, 규정, 약속 등에 따른 우리말, 점(占)을 가리키는 여러 가지 말등딱지나 소나 말의 뼈를 태워 이때 갈라진 금을 보고 길흉을 판단하는 행위다. 이 금을 조(兆)라고 한다. 길조, 징조는 복에서 나온 말이다. 서(筮) 시초(蓍草, 톱풀)나 서죽 따위로 《주역(周易)》의 괘를 뽑아 점사를 보는 것을 말한다. 점복(占卜), 복서(卜筮)로 쓰인다. 점치는 식물 시초 중국 후한 때 허신이 편찬...
-
생김새에서 비롯된 식물 이름선밀나물, 선사초, 선씀바귀, 선이질풀, 선제비꽃 : 줄기가 곧게 서서 ㆍ 우산나물, 우산잔대, 우산방동사니 : 잎이 우산처럼 생겨서 ㆍ 털계뇨등, 털딱지꽃, 털머위, 털별꽃아재비, 털사철난, 털여뀌, 털중나리 : 식물체에 털이 많아서 ㆍ 톱바위취, 톱분취, 톱잔대, 톱풀 : 잎 가장자리에 톱날 모양의 톱니가 있어서
-
허브의 용도별 분류범부채, 베르가못(모나르다 디디마), 병꽃풀(네페타), 부용, 부추, 산국, 삿갓나물, 서양배초향(아니스 히솝), 서양백리향(타임), 서양쐐기풀(네틀), 서양톱풀(아킬레아), 소리쟁이, 솔나물, 솜우단풀(램즈 이어), 식용 아스파라거스, 쑥, 아주가, 아킬레아(고사리잎톱풀), 애기똥풀, 애플 민트, 앵초, 약모밀(어성초...
-
허브 및 향신료 목록 List of culinary herbs and spices, ハー..수지) 매자나무속 멜레게타 민감초 바닐라 바질 박하 25개종 백겨자 백리향 (허브) 보리지 볼도 봉술 부추 붉나무속 브라질페퍼 사프란 살렙 생강 서양톱풀 세이보리 세이지 셀러리 소엽(들깨) 소엽풀 수영 (식물) 술오이풀 스피어민트 시슬리 아니스 아보카도 아지바인 안나토 애기수영 양귀비씨 (양귀비 (식물)) 여뀌...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