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
첸먼다제 100년 전통의 가게가 밀집한 거리정양문(正阳门)이라고 불렀다. 명 · 청대 때는 1년에 딱 2차례만 문이 열렸다고 한다. 음력 정월대보름과 동짓날 황제가 하늘에 제를 올리기 위해서 천단으로 행차할 때 어도(御道)로 사용했던 것이다. 청나라 때 첸먼은 내성과 외성을 가르는 경계였다. 내성에는 만주족 관료와 가족들이 거주하며 상업 행위가 금지...
- 위치 :
- 北京市 东城区 前门大街
- 요금 :
- 무료
- 가는 법 :
- 지하철 2호선 첸먼(前门) 역 하차, B · C출구에서 도보 3분.
- 이용 시간 :
- 09:00~22:00
-
한찬남 경서(景緖), 韓纘男좌우부승지·대사간을 거쳐 이듬해 재차 좌승지가 되어 이이첨(李爾瞻)의 사주를 받아 해주옥사를 일으켰다. 이에 앞서 부응교로 있을 때에 훈련도감의 일을 천단하고 거기에 소속되어 있던 공장(工匠)들을 사사로이 부렸다고 하여 언관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1617년 도승지로 승진하고, 1620년 대사헌을 거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60년(명종 15)
- 사망 :
- 1623(인조 1)
- 경력 :
- 호조참의, 좌우부승지, 대사간, 좌승지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인조반정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청주(淸州)
-
동학천진교 상제교, 東學天眞敎송정리로 이전, 교주제를 폐지하고 민주적 선거에 의한 통관제를 쓰고 있다. 현황 현재 약 6천 명의 신도가 있다. 신앙의 대상은 한울님(上帝, 天主)이다. 천단을 설치하여 여기에 제세주 수운, 대신사 해월, 대법사 구암의 영정을 안치하고 있다. 이 삼성(三聖)이 각기 역할을 분담하면서도 삼위일체가 되어 본교의...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13년
- 성격 :
- 종교, 신종교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연국(金演局)
- 분야 :
- 종교·철학/신종교
-
윤사흔 필보(弼甫), 尹士昕옹립하여 나라를 안정시킨 공으로 좌리공신(佐理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1473년 대사헌 서거정(徐居正)으로부터 훈척대신(勳戚大臣)으로 총병(摠兵)의 직에 있으면서 병권을 마음대로 천단하였다고 탄핵되었다. 1475년 우의정에 올랐으며, 1483년 파천부원군(坡川府院君)에 봉하여졌다. 시호는 양평(襄平)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22년(세종 4)
- 사망 :
- 1485년(성종 16)
- 경력 :
- 호조참판, 중추원사, 공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春川 淸平寺 高麗禪園부도 · 해탈문 등이 위치하고 있다. 선동구역에는 식암 · 적멸보궁 · 석대 · 선동암 · 나한전 · 척번대 등이 자리하고 있다. 견성암구역에는 견성암 · 천단 · 소요대 · 양신암 등이 입지하고 있다. 문화유산으로는 쌍지(雙池)로 개축된 대표적인 한국 전통 조경시설인 영지를 비롯해 청평사 회전문(보물...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유명천 사원(士元), 柳命天事)에 임금을 오도하였다는 죄목으로 파직불서용(罷職不敍用)의 명이 내려졌다. 이어 장령(掌令) 유집일(兪集一), 지평(持平) 김시걸(金時傑) 등이 권력을 천단하며, 악행과 음모로 백성을 병들게 한다고 상소하였다가 흑산도에 위리안치되었다. 1699년 전리로 방귀되었으나, 1701년 장희재(張希載)와 공모하여 인현왕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33년(인조 11)
- 사망 :
- 1705년(숙종 31)
- 경력 :
- 공조판서, 예조판서, 홍문관제학, 판의금부사, 판중추부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갑술옥사, 김기문옥사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진주(晋州)
-
박진명 朴振明풍경」으로 입선하였다. 1934년 제13회 서화협회전, 1935년 제14회 서화협회전에 입선하였다. 제14회(1935), 18회(1939)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정물」과 「천단(天壇)」으로 입선하였다. 1947년 5월 동화화랑에서 개최된 제2회 춘기 조선미술동맹전에 같은 해 사망한 윤희순과 함께 특별 유작전이 열렸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현대
- 출생 :
- 1915년
- 사망 :
- 1947년 5월 22일
- 경력 :
-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집행위원회 부위원장과 서기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화가, 서양화가
- 대표작 :
- 정물, 천단, 8월 16일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덕원민란 德源民亂李啓祚), 수리 김경순(金京順)은 본영(本營)으로 하여금 죄의 경중을 가려 처리하게 하였다. 탐관오리 김문제는 의금부로 하여금 나처(拿處)하게 하였으며, 김문제 밑에서 일을 천단하고 격변(激變)을 양성(釀成)한 겸인(兼人) 김재식(金載植)은 형조로 하여금 엄형한 뒤 강서현(江西縣)으로 유배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발생 :
- 1892년
- 성격 :
- 민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엄익조, 엄기태, 홍명조, 이도근, 조영달, 차남원, 강창호, 조기섭
- 관련 장소 :
- 함경도 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