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기년전

다른 표기 언어 Hall of Prayer for Good Harvest , 祈年殿

요약 중국 명대에서 청대까지(1368~1911) 황제가 풍년을 기원하던 축전(祝殿).

베이징[北京] 천단(天壇) 안에 있으며, 높이 3.5m, 면적 3만 2,000㎡의 토대 위에 세워져 있다.

주위에는 측백나무가 둥글게 에워싸고 있고, 벽돌로 쌓은 단 주위를 약 2m 높이의 낮은 담장이 에워싸고 있으며 주위에 정원이 있다. 동서남북 4면에 문이 하나씩 있으며, 남문(南門)과 단폐교(丹陛橋)가 서로 가까이 있다. 남문 안에는 기년문(祈年門)이 있고, 문의 북·동·서쪽에는 각각 대칭적으로 9칸짜리 곁채가 있다.

정원 중심에서 약간 북쪽으로 치우친 곳에 지름 91m, 높이 약 5m의 한백옥석으로 만든 3층짜리 둥근 토대가 있는데 이를 '기곡단'(祈穀壇)이라고 부른다. 기곡단 윗부분이 바로 기년전인데 기년전의 평면은 원형이며, 지름 30m, 높이 38m이다. 윗부분에는 3중 처마와 남색 유리기와로 된 원추형의 지붕이 있다.

기년전 본체는 12개의 처마기둥과 12개의 금기둥이 각각 아래층과 가운데층 처마를 떠받친다. 중심에는 높이 19.2m의 용정주(龍井柱) 4개가 있다.

기둥 사이에 유리가 빙 둘러져 있어 원형을 이루고, 제일 위층에는 8개의 버팀기둥이 세워져 있어 무늬가 새겨진 천장과 상층지붕을 떠받친다. 구조가 정교하고 외형이 소박하며 색깔이 화려한 기년전은 전체적으로 아름다우면서도 장중함을 느끼게 한다. 외형과 실내공간이 모두 층층이 안쪽을 향해 수축되는 꼴로 설계되어 강렬한 향상 운동감을 빚어내고 있으며, 지면에서 높이 솟아올라 있어서 숲 꼭대기에 떠서 하늘과 서로 맞닿은 듯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1420년 건축될 당시에는 직4각형이었으나, 1540년에 현재의 모양으로 다시 지어졌다. 1889년 번갯불에 피해를 입어, 1890년 재건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기년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