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시복 고일명(高一鳴), 高時福특파단원(軍事特派團員)으로 시안[西安] 지방에 가서 독립투쟁에 앞장섰다. 1940년 9월 17일 충칭[重慶]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인 한국광복군이 창군되자 광복군 총사령부 전령 장교로 임명되어, 중국 각지를 돌며 수십 명의 청년을 모집하는 등 광복군 병사 모집에 힘을 쏟았다. 1941년 광복군 제2지대의...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1년
- 사망 :
- 1953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UAE 아크부대 아크부대, UAE Akh部隊特戰士) 대원들의 파견을 공식적으로 요청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 정부는 양국 간 협력 및 우호 증진을 위해 2010년 12월 8일 국회의 의결을 거쳐 대한민국 창군 최초의 군사 협력 파견 부대(派遣部隊)인 ‘아크부대(Akh部隊)’를 창설하여 파견하였다. ‘아크’는 아랍어로 ‘형제’라는 의미로 아크부대와...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익정 명숙(明叔), 李益炡明叔).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현손이며, 해양군(海陽君) 이희(李僖)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가덕대부 화산군(化山君) 이곤(李滾)이고, 아버지는 밀창군(密昌君) 이직(李樴)이며, 어머니는 오시적(吳始績)의 딸이다. 영조 때 공조판서를 지낸 이성규(李聖圭)의 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23년(경종 3) 생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99년(숙종 25)
- 사망 :
- 1782년(정조 6)
- 경력 :
- 공조판서, 지돈녕부사, 판돈녕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전주
-
임용상 충서(忠瑞), 林龍相진 성립에 기여하였다. 그 해 4월 산남의진은 청하읍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정용기가 투옥되고 전력이 약화되어 7월경 해산되었으나, 이듬해 4월 다시 의진이 창군되자 동해지구 유격장에 임명되어 청송·영천 등지에서 항쟁하였다. 그 해 7월 산남의진이 동해방면으로 진출할 때 본진에 합류, 좌포장이 되었다. 9...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77년(고종 14)
- 사망 :
- 1958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의병장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나주(羅州)
-
강건 姜健길동군구(吉東軍區) 사령원 등으로 활약하다가 1946년 여름에 귀국하여 나남에 소재하고 있던 인민군 제2사단 사단장이 되었다. 1948년 2월에는 조선인민군이 창군되면서 총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1948년 3월에 열린 북조선노동당 제2차 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민족보위성 부상 겸 군 총참모장으로...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홍계유 洪啓裕直赴殿試)되는 영광을 누렸고, 이듬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1734년에는 정언(正言)에 올라 이양제(李亮濟)의 옥사(獄事)와 관련된 남태적(南泰績)·밀창군(密昌君) 등을 탄핵하였으나 오히려 대신(臺臣) 신만(申晩)을 신구(伸救)한 이유로 파직되었다. 이듬해 초 정언으로 복귀하였으나 대론(臺論)의 문제로...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95년(숙종 21)
- 사망 :
- 1742년(영조 18)
- 경력 :
- 이조좌랑, 헌납, 부교리, 이조정랑, 응교, 사간(司諫)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
화산군 이연 신도비 花山君 李渷 神道碑두전(頭篆)은 아들 낙창군(洛昌君) 이당(李檔)이 썼다. 비문에는 화산군의 가계(家系)와 성장과정 및 효성과 우애가 깊은 성품과 그의 행적이 적혀 있으며, 뒤쪽에는 세 아들 밀창군(密昌君) 이직(李樴) · 낙창군((洛昌君) 이당(李樘) · 능창군(綾昌君) 이숙(李橚)을 비롯한 자손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서예
-
군무원 軍務員직렬 체계를 군 환경 변화 및 군 구조 개혁과 연계하여 통·폐합하였다. 이때 일반직과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는 기능직렬을 일반직렬로 통합함으로써 직무 효율성과 전문성을 향상시켰다. 의의와 평가 군무원은 창군 이래 군무전반에 걸쳐 현역군인과 함께 국방의 일익을 담당함으로써 국가방위에 기여하고 있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성격 :
- 공무원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948년 11월 20일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보반 步班내용 초군(抄軍)·좌군·우군·보창군(保昌軍)·영새군(寧塞軍)·신기(神騎)·백정(白丁) 등과 함께 주진군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신기·백정과 마찬가지로 상비군이 아니었던 듯하며, 위급한 일이 있을 때 동원되는 예비부대로 추측된다. 따라서, 각 주·진에 거주하는 장정들로 이루어졌으며, 그 신분은 양반으로부터...
- 시대 :
- 고려
- 성격 :
- 군사조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고려시대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갑번 匣燔많이 띠는데, 『승정원일기』 숙종 3년(1677) 11월 21일조에 보면, 갑기는 바로 어용의 그릇이므로 갑에 넣어 번조하는 것임을 말하면서, 사옹원제조 화창군(花昌君)이 어용 사기를 번조할 때 사번을 하여 이로 인한 폐단을 임금에게 아뢰고 있는 내용이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17세기 후반에 사사로운 갑번이 공공연히...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공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