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산굴뚝나비 천연기념물 제458호, Russian grayling butterfly
    나비에 속하는 곤충. 날개 편 길이는 56~60㎜이다. 날개 윗면은 짙은 흑갈색, 아랫면은 노란색을 조금 머금은 흑갈색 바탕이다. 날개의 바깥쪽에는 검은 뱀눈모양 무늬가 2개가 있고, 그 안쪽으로 흰 띠가 앞뒤날개에 이어진다. 날개 아랫면은 윗면보다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암컷은 수컷보다 더 크고, 배가...
    분류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나비목 > 네발나비과 > 산굴뚝나비속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458호
    서식지 :
    고산지대의 암석이 노출된 풀밭
    먹이 :
    김의털, 꿀풀, 솔체꽃 등의 꽃 꿀
    크기 :
    날개 편 길이 56~60㎜
    학명 :
    Hipparchia autonoe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국내분포 :
    제주도 한라산의 1,300m 이상 고지
    분포지역 :
    한국, 유라시아 동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김속 Porphyra, 紫菜属
    글리신과 알라닌의 함량이 높아 감칠맛을 낸다. 식용으로 먹는 김은 원래 조릿대 잎 같은 모양이며 1층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늦가을에서 겨울이 끝날 무렵...생식기관을 만든다. 자성 생식 기관은 영양 세포가 변한 성란기로서 그 에 1개의 난자가 생기는데, 홍조식물에서는 생란기를 특히 '조과기'라고도 한다...
    도서 위키백과
  • 갓대 Jirisan bambo
    익는다. 줄기 높이 1-3m로서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중앙 윗부분에 2-3회 갈라지고 마디사이의 윗부분이 거센털과 백분으로 덮임. 생육환경 • 숲 에 자란다. 용도 • 조리나 대바구니 등의 죽세공 재료로 이용된다. 보호방법 •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 특징 • 조릿대와 비슷하지만 영(穎...
    분류 :
    화본목 > 벼과 > 조릿대속
    꽃색 :
    자주색
    학명 :
    Sasa chiisanensis (Nakai) Y.N.Lee
    개화기 :
    4월
  • 맥각균 麥角菌, Claviceps purpurea
    자낭균류의 핵균강 Claviceps의 균류. 대부분의 벼과식물(호밀, 보리, 밀 등의 작물 및 갈대, 참새귀리, 꼬리새, 개밀, 조릿대 등)의 작은 이삭에 기생하며, 맥각(ergot)이라고 하는 균핵은 생약으로 쓴다. ( ⇨ ergot alkaloid)
    도서 생명과학사전 | 태그 균류 , 미생물
  • 광대싸리 구럭싸리
    했다. 광대싸리는 이른 봄 어린 싹을 나물로 먹기도 했지만 화살 재료로 쓰였던 기록이 더 많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쓰는 전통 화살은 흔히 산죽으로 불리는 조릿대, 신이대, 이대로 만들었다. 이른바 대나무 화살이다. 산죽은 종류에 따라 북한지역에도 분포하지만 추운지방으로 갈수록 분포지도 적어지고 품질도...
    시대 :
    현대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무룬나무 넓은잎사철나무
    var. macrophylla Regel이다. 천연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미조리의 상록수림에는 광나무, 돈나무, 사스레피나무, 이대, 자금우, 조릿대, 팔손이 등 40여 종의 식물과 함께 무룬나무가 자생하고 있다. 생태 사철나무는 잎의 모양이 거꿀 달걀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가 2∼8㎝이지만...
    시대 :
    현대
    분류 :
    노박덩굴과 사철나무속
    원산지 :
    한국, 중국, 일본
    서식지 :
    중부 이남
    꽃색 :
    백록색
    성격 :
    식물, 나무
    유형 :
    동식물
    크기 :
    지름 6∼15㎝, 높이 6∼9m
    학명 :
    Euonymus japonica var. macrophylla Regel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6∼7월
  • 제우기테스족 Zeugiteae
    생물 분류 제우기테스족 조릿대(Lophatherum Brongn.) Chevalierella A.Camus Orthoclada P.Beauv. Pohlidium Davidse, Soderstr. & R.P.Ellis 벼과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고유성 Endemism, 特有现象
    있는데, (屬)으로서도 한국의 고유속이며, 종이 단 1종뿐인 희귀한 식물이다. 이에 문화재청은 충청북도의 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 외에 4건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제주도의 한라송이풀, 한라솜다리, 제주고사리삼, 울릉도의 섬시호, 섬현삼 등이 환경부의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도서 위키백과
  • 대나무 Bamboo, タケ亜科
    특별자치도 제주조릿대 여러해살이 상록 식물이다. 대나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자라는 식물이다. 지역 토양과 기후에 따라 성장 속도가 다르지만 대나무...벼과 대나무아과에 속하며 키 큰 잡초 중 하나다. 대나무 싹을 죽순(竹筍)이라고 하며 죽순을 감싼 잎을 죽피라고 한다. 대나무 줄기 특징은 나무 이 빈...
    도서 위키백과
  • 오민혁 (성우)
    지구 <조릿대의 난 - 한라산 생태탐방기> - 해설 2016.04.30 EBS 세계의 눈 <의학 혁명 알레르기> 2016.06.17 EBS 하나뿐인 지구 <내성천은 자연이고 싶다> - 해설 2016.06.18 EBS 세계의 눈 <진화의 역사, 지능이 생기기까지 제1장 생각하는 공룡> 2016.06.26 EBS 세계의 눈 <해마, 생사의 기로에 서다> 2016.07.15 EBS...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