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구 군미, 申球상소자의 우두머리)가 되어 윤선거(尹宣擧)와 아들 윤증(尹拯)을 논핵하여 그들의 관작을 추탈하고 윤선거의 문집을 훼판하게 하였다. 1722년 신임사화로 거제에 유배되었다가 영조가 즉위하자 방환되어 영릉(英陵)·희릉(禧陵)의 참봉을 지냈으나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다시 쫓겨나 고향으로 은퇴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66년(현종 7)
- 사망 :
- 1734년(영조10)
- 경력 :
- 영릉참봉, 희릉참봉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기사환국, 신임사화
- 직업 :
- 유학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평산(平山)
-
오명항 사상(士常), 吳命恒지냈다. 1716년 승지에 이어 경상도와 강원도·평안도의 관찰사 등을 거쳐 사직으로 있다가 1724년(영조 즉위년)에 소론이 실각하자 사직하였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등용될 때 지중추부사로 기용되어 이조와 병조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판의금부사로 4도도순무사를...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3년(현종 14)
- 사망 :
- 1728년(영조 4)
- 경력 :
- 교리, 부수찬, 이조좌랑, 승지,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우찬성, 우의정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정미환국, 이인좌의 난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해주(海州)
-
민응수 성보(聲甫), 閔應洙즉위하자 다시 정랑이 되고, 이듬해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정랑·정언 등을 거쳐, 1726년 헌납(獻納)·사간이 되고, 이듬해 교리(校理)를 지냈다.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호서안무사(湖西安撫使) 김재로(金在魯)의 종사관(從事官)으로 군기를 엄정히 하는 등 공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84년(숙종 10)
- 사망 :
- 1750년(영조 26)
- 경력 :
- 부제학, 대사간, 형조참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조태억 대년(大年), 趙泰億대제학을 겸임하였다. 1725년(영조 1) 사간 이봉익(李鳳翼), 지평 유복명(柳復明) 등의 청으로 판중추부사로 전직되었다가 이어 삭출(削黜)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다시 좌의정에 복직되었다가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에 전임하였다. 1755년 나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1768년 8월 복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김유경 덕유(德裕), 金有慶1725년(영조 1) 노론이 집권하자 풀려나 호조참의가 되고, 도승지 · 대사헌을 거쳐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이듬해 이조참판이 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 때 부사직으로서 『숙종실록(肅宗實錄)』의 보수에 반대한다는 소론의 탄핵으로 제주도의 대정(大靜)에 유배되었다. 그러다가 곧 영광에 옮겨졌고 1729...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단장 상보(相甫), 李端章에 의해 파직되었다. 1724년(경종 4)에 장령이 되었으나 다시 파직되었다. 1725년(영조 1) 필선·헌납이 되었다가, 사간·집의에 임명되었다. 1726년(영조 2)에 다시 사간이 되었다가 이듬해에 승지가 제수되었으나, 1727년(영조 3) 정미환국(丁未換局) 때에 영부사 민진원(閔鎭遠) 등 101인과 함께 파직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64년(현종 5)
- 사망 :
- 1727년(영조 3)
- 경력 :
- 정언, 함평현감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정미환국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경주(慶州)
-
박문수 성보(成甫), 朴文秀정7품 세자시강원 설서(世子侍講院說書)를 역임하고 정5품 병조정랑에 올랐으나, 1724년(영조 즉위년) 노론이 집권할 때 삭직되었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으로 다시 등용되어 그해 10월 1차 영남별견어사(嶺南別遣御史)로 나가 흉년 중 구휼과 탐관오리에 대한 징계 등을 아뢰었다. 이듬해인 1728년(영조 4) 3...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조영복 석오(錫五), 趙榮福뒤에 영춘(永春)에 이배되었다. 1725년 노론의 집권으로 풀려나 공조참의·참찬관·승지·경상도감사·도승지를 역임하였다. 1727년 개성유수로 있을 때 정미환국이 일어나자, 네 번이나 소를 올려 전일의 죄인들을 이제 등용시켜서는 아니 되며 그들과 함께 정치를 할 수 없다고 극언하다 파직당하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2년(현종 13)
- 사망 :
- 1728년(영조 4)
- 경력 :
- 도승지, 한성부우윤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함안(咸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