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주 경기전 정전 全州 慶基殿 正殿역사적 변천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기전은 1410년(태종 10)에 창건되었다. 1409년(태종 9)에 태조의 관향인 완산부(전주)에서 태조 어진을 봉안하기를 청함에 따라 경주 어용전(집경전)의 어진을 모사하여 이듬해 경기전을 완공하고 정전에 어진을 모셨다. 경기전의 본래 이름은 어용전(御容殿)이었다. 1412년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3가 102번지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전주시 유물·유적·관광기념물 1, 중요민속자료 1, 중요무형문화재 1),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8, 기념물 10, 무형문화재 26, 민속자료 2), 문화재자료 14점이 있다. 조선을 세운 전주이씨의 발상지로 알려져 조선시대의 유물·유적이 비교적 많다. 보물로는 풍남문(豊南門:보물 제308호)·전주객사(全州客舍:보물 제583호)·전주이씨고림...
-
전주지도 全州地圖개설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종이 바탕에 수묵채색. 세로 150㎝, 가로 9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조선 후기 전주부성 내외의 경관과 지리적 형세를 옮겨 그린 회화식 지도이다. 주요 관청 건물과 태조어진(太祖御眞)이 봉안된 경기전(慶基殿)을 비중 있게 처리해 전라도 감영 소재지이자 태조...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전주예수병원역사 전주예수교회는 1898년 미국 남장로교의 선교사 마티 잉골드(Mattie Ingold)가 전주 외곽 은송리의 작은 집에 어린이·부인 환자만을 진료하는 외래진료소를 설치한 데에서 비롯되었다. 이 진료소는 1902년 해리슨(W. B. Harrison) 선교사에 의해 서양식 건물로 건축되었고, 1912년 30병상 규모의 병원으로 확장...
- 설립 :
- 1897년
- 국가 :
- 대한민국
- 소재지 :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365
- 사이트 :
- http://www.jesushospital.com/
-
전주기전대학 全州紀全女子大學, Jeonju Kijeon Women's Col..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에 소재하는 학교법인 전주기독학원 소속의 사립 전문대학. 1973년 기전여자전문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았고, 1979년 3월 기전여자전문대학으로 승격되었다. 1998년 전주기전여자대학으로 교명을 바꾸었다가, 2005년 12월 남녀공학으로 전환하고 전주기전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했다. 설립 이념...
- 설립 :
- 1973년
- 유형 :
- 사립 전문대학
- 설립자 :
- 조세환
- 소재지 :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전주천서로 267
- 사이트 :
- http://www.kijeon.ac.kr
-
산청 전주최씨 고령댁 상여 생이, 山淸 全州崔氏 高靈宅 喪輿연원 및 변천 이 상여는 1856년(철종 7) 경남 산청군 단성면 남사리에 거주하던 전주최씨 통덕랑공파(通德郞공파) 21대손 최필주(崔必周, 1796~1856) 공의 초상(初喪) 때 운구(運柩)하고자 특별 제작한 상여이다. 당시 산청 만석꾼이었던 최필주의 아들 동한(東漢)이 300냥을 주고 통영에 있는 김씨라는 조각공을 초청...
- 시대 :
- 근대/대한제국기
- 유형 :
- 물품
- 분야 :
- 사회/가족
-
전주 남고산성 견훤산성(甄萱山城), 全州 南固山城발굴 경위 및 결과 전주 남고산성은 해발 274m의 남고산 정상부와 그 남쪽의 계곡부를 에워싼 석성이다. 전주시의 요해처(要害處)에 해당된다. 따라서 산성의 정비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서문지와 남벽 암문지, 그리고 남동우 성벽과 건물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성문의 구조와 규모, 그리고 성벽의...
- 시대 :
- 고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전주대학교 全州大學校연원 및 변천 1964년 1월에 강홍모(康弘模)가 운영하는 학교법인 영생학원(永生學園)에서 전주영생대학(全州永生大學)으로 설립하였다. 설립 당시에는 야간으로 운영하여 직장인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구실을 담당하였으며, 국어국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가정학과 · 법학과 · 상학과를 설치하였다. 초대...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
-
전주사범학교 全州師範學校개설 전주사범학교는 전라북도 공립사범학교(1923∼1931), 관립전주사범학교(1936∼1945), 전주사범학교(1945∼1963) 등으로 변천되었다. 연원 및 변천 조선총독부는 1922년에 제2차 조선교육령을 제정하고, 사범학교 규정을 제정하여 각 도에 공립특과사범학교를 설치하여 한국인 초등교원을 양성하도록 하였다. 이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
-
전주시 교육과 문화전주향교·황강서원·반곡서원·청하서원 등을 중심으로 전통교육이 이루어졌다. 근대 교육기관으로 1897년 전북공립소학교(지금의 전주초등학교), 1913년 전주제이공립보통학교(지금의 완산초등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중등교육기관으로는 1900년 전주신흥학교(지금의 전주신흥중고등학교), 1907년 기전여자고등학교...
-
전주성심여자중학교 全州聖心女子中學校연원 및 변천 본교는 천주교 신앙을 바탕으로 문맹퇴치와 인간중심 교육을 중심으로 명실상부한 여성교육의 전당을 실현한다는 취지하에 설립되었다. 전주성심여자중학교의 뿌리 찾기는 18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천주교 전주 본당(전동천주교회) 초대 주임 보두네 신부가 학교 설립 인가를 추진하면서 천주교 소속...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
-
전주콩나물잡채 콩나물겨자채, 全州—雜菜연원 및 변천 전주콩나물잡채는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에서 유명한 향토음식으로 고춧가루, 파, 마늘 등의 갖은 양념을 넣어 담가 김치류와 비슷하다. 그러나 오늘날 잡채라고 하면 주재료가 당면이나, 전주콩나물잡채는 당면 없이 콩나물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다. 조리법 전주콩나물잡채를 전북특별자치도 전주 지역에서...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음식·약/음식
- 분야 :
- 생활/식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