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비봉산 봉곡사 飛鳳山 鳳谷寺태조 5)에 승려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내용 전설에 의하면, 도선이 산 너머에 있는 구성면 연곡(燕谷)에 절터를 닦고 목수를 불러 재목을 다듬는데, 까마귀들이 날아와서 재목을 다듬고 난 조각들을 자꾸 물어가기에 신기하게 생각하고 따라가 보니 지금의 봉곡사 터였다. 그 자리가 더 훌륭한 곳임을 판단한 도선은...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비천당 丕闡堂비천당기(丕闡堂記)」에 의하면 1661년(현종 2) 도성 안에 있던 인수원(仁壽院)·자수원(慈壽院) 등 두 사찰을 훼철하고, 우참찬 송준길(宋浚吉)의 제안으로 그 재목을 북학(北學)의 진흥사업에 사용하려 하였으나 성사되지 못하다가 그뒤 대사성(大司成) 민정중(閔鼎重)이 진언하여 1664년 그 재목과 기와로 비천당을...
- 시대 :
- 조선
- 건립시기 :
- 1664년
- 성격 :
- 별당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덕고산 봉복사 德高山 鳳腹寺여왕 16)에 자장(慈藏)이 창건하였으며, 당시의 절터는 삼층석탑이 있는 곳이다. 669년(문무왕 9)에 화재로 소실되자 671년에 원효(元曉)가 중건하기 위해서 재목을 구하여 공사를 시작하려 하였다. 그러나 장소가 마땅하지 않아서인지 어느 날 밤사이에 부처님이 재목 등을 옮겨 현재의 절터를 계시하였다고 한다. 원효...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남양주 궁집 南楊州 宮집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영조의 막내딸 화길옹주(和吉翁主)가 능성위(綾城尉) 구민화(具敏和)에게 시집가자 왕이 그를 위하여 지어준 집으로, 나라에서 재목과 목수를 보내 완성하게 하였기 때문에 궁집이란 별호가 생기게 되었다. 안채는 □자형으로 네 칸의 부엌, 네 칸의 대청과 세 칸의 방과 한 칸의 앞퇴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생활/주생활
-
송백당집 松栢堂集내용 4권 2책. 목판본. 1930년 친척 택주(宅疇)·재목(在穆)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익용(金益容)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택주·재목의 발문이 있다. 권1은 시·만사 44수, 권2·3은 서(書) 54편, 제문 24편, 서(序) 3편, 기(記) 2편, 발(跋) 9편, 상량문·묘갈명·묘지명·묘표 각 1편, 잡저 8편, 권4는 부록...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홍우정
- 창작/발표시기 :
- 1930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홍택주, 홍재목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계명대학교 도서관
-
월악산 덕주사 月岳山 德周寺시대의 부도(浮屠) 4기가 있으며, 우탑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 이 절의 승려들이 건물이 협소하여 부속건물을 지으려고 걱정할 때 어디선가 소가 나타나서 재목을 실어 날랐다. 소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니 현재의 마애불 밑에 서므로 그곳에다 부속건물을 지었고, 소는 재목을 모두 실어다 놓은 다음 그 자리...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
순화궁 길안현주의 궁, 順和宮증손자 사안은 1533년 중종과 문정왕후의 딸 효순공주와 혼인하여 능원위가 되었다. 중종은 효순공주의 집을 지어줄 때 “새로운 저택을 짓자면 새 재목을 쓰지만 헌 집을 헐어서 고칠 때는 헌 재목을 가려 쓰는 것이 관례(慣例)”라며 구태여 새 재료만을 고집하지 않음으로써 집 짓는 노고를 줄이도록 했다. 1538...
- 위치 :
- 중부 견평방(조선시대)
- 소재지 :
- 종로구 인사동 25길, 29길 태화빌딩, 하나로빌딩
-
초연곡 初筵曲하되, 당대의 현실정치가 올바른 지향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우의적 수법으로 노래한 것이다. 제1수에서는 집이 이루어지는 데에 대장(大匠)의 공과, 재목이 곧아지기 위하여 먹줄의 기능이 중요하듯이, 바른 정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훌륭한 신하들의 충간(忠諫)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여기서...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윤선도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연시조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