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한전통불교연구원 大韓傳統佛敎硏究院
    못하고 있다. 주로 연구사업에 중점을 두어, 학술대회를 통하여 결집된 ≪균여대사와 화엄사상≫·≪신라 의상의 화엄사상≫·≪화엄사상과 선문형성≫·≪육조단경의 세계≫·≪도선국사와 한국≫ 등의 보고서를 10여 종 이상 간행하였다. 또한 ≪경허화상행장 鏡虛和尙行狀≫·≪매월당법계도주병서≫·≪매월당화엄경...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설립 :
    1976년
    성격 :
    불교연구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지견(金知見)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육조대사법보단경 六祖大師法寶檀經
    2) 평안도 상원의 해탈사(解脫寺)에서 개판(改版)하고, 다시 심곡사(深谷寺)로 옮겨 간행한 것을 알 수 있다. 구성과 내용 표지의 제목인 표제(表題)는 '육조단경(六祖壇經)'이다. 이 불경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오법전의제1(悟法傳衣第一), 석공덕정토제2(釋功德淨土第二), 정혜일체제3(定慧一體第三), 교수좌선제4...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합천 법연사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법집절요사기, 陜川 法然寺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저자 및 편자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은 『육조단경』, 『신화엄경론』, 『대혜어록』을 통해 큰 깨달음을 얻고, 불교 교학과 수행이 둘이 아닌 ‘선교융회(禪敎融會)’를 정혜결사(定慧結社)를 통해 실천하였다. 이는 원효의 화쟁사상(和諍思想)과 더불어 우리나라 불교의 사상적 전통을 확고하게...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홍변 청우(靑牛), 洪辯
    靑牛). 지눌(知訥)의 제자로서 당시 유행하였던 담선법회(談禪法會)를 주도하였다. 1215년(고종 2) 창복사(昌福寺) 담선법회에 주맹(主盟)이 되었고, 『육조단경(六祖壇經)』·『대혜어록(大慧語錄)』 등을 설하여 그 심요(心要)를 얻게 하였다. 법회는 28일 동안 계속되어 각 종의 대표적 인물들에게 지눌의 선을...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좌선 坐禪
    의 모든 일상생활이 선수행으로 간주되었다. 그리하여 소극적 형식주의적인 좌선이 아니라 적극적 자유주의적 좌선이 선양되었다. 중국의 6조 혜능(慧能)은 《육조단경 六祖壇經》에서 “주심관정(住心觀靜)은 병일 뿐 선이 아니다. 오래 좌정하여 몸을 괴롭게 한다면 도리어 어떤 이익이 있겠는가. 바깥의 일체 선악...
    성격 :
    용어, 불교수행법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선문수경 禪文手鏡
    운문암(雲門庵)에서 개정판을 간행했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은 선종의 주요 주제를 다루며 그에 대한 해설을 붙이고 있다. 당나라 승려 혜능(慧能)의 『육조단경』, 송나라 승려 도원(道源)의 『경덕전등록』, 고려 진각 혜심(眞覺慧諶, 1178∼1234)의 『선문염송집』, 고려 진정 천책(眞靜天頙)의 『선문강요집』, 조선...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한국불교연구원 韓國佛敎硏究院
    출판부를 설립하면서 불교경전의 번역 및 주해사업으로 ≪불전해설 佛典解說≫·≪종교사화 宗敎史話≫·≪반야심경 般若心經≫·≪금강경 金剛經≫·≪육조단경 六祖壇經≫·≪선사상 禪思想≫·≪華嚴經의 世界≫ 등을 간행하였다. 이 밖에 단행본으로 ≪한국불교연구≫·≪불교와 사회≫ 등 17종을 간행하였다. 교육...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
    설립 :
    1974년
    성격 :
    연구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기영(李箕永)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몽산화상육도보설 육도보설(六道普說), 蒙山和尙六道普說
    머물고 있던 덕이를 찾아가 가르침을 받았다. 그 후 덕이의 저술과 사상은 고려에 전해져 크게 유행하게 되었다. 1300년(충렬왕 26)에는 덕이가 편찬한 『육조단경(六祖壇經)』이 강화도 선원사에서 간행되었고, 1357년에는 덕이의 법어(法語) 일부를 모은 『몽산화상법어약록(蒙山和尙法語略錄)』이 필사되기도 하였다...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택성 간산(艮山), 宅成
    받았다. 1953년월정사(月精寺) 조실, 1955년강원도 종무원장을 역임하였다. 같은 해 월정사에 수도원(修道院)을 창설, 불교 신도 교육에 힘썼다. 1959년『육조단경(六祖壇經)』을 현토 · 역해하고 이어서 각 편으로 흩어진 보조국사 어록을 『보조법어(普照法語)』라는 한권의 책으로 결집하고 현토 · 역해하여 간행...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혜서장 대혜보각선사서(大慧普覺禪師書), 大慧書狀
    강조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대혜의 사상은 고려시대 이후 한국 선종의 전개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고려 후기 수선사를 개창한 보조 지눌은 『육조단경(六祖壇經)』‚ 『화엄론(華嚴論)』을 통해 두 차례에 걸쳐 깨달음을 얻은 뒤 마지막으로 『대혜어록』을 통해 그의 깨달음을 완성하였다. 또한 조선 후기 이력...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여여선원 如如禪院
    기초 교리, 불교 예절, 기도 방법[참회], 독영, 사경, 사불, 참선, 천수경(千手經) 이해, 고찰 탐방 및 현장 학습을 실시한다. 경전반은 금강경(金剛經)과 육조단경을 강의하고 있다. 선불교대학원은 선 실천 육조단경, 선문촬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돈오입도요문론, 유마경(維摩經), 선종사 등의 강좌를 개설...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 돈오점수
    무명이었던 자신의 스승 육조혜능을, 죽고나서 엄청나게 유명하게 만들었다. 오늘날 한국불교는 조계대사인 육조혜능의 이름을 따 조계종이라고 하며, 육조단경을 매우 중시하는데, 하택신회가 돈오의 남종선과 점수의 북종선을 구분하여 북종선이 매우 삿되다고 배격하면서, 당시 황제가 아꼈던 북종선의 신수대사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