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현리왜가리번식지벽성읍에서 북쪽으로 약 9㎞되는 곳에 있다. 주변은 앞이 트여 있으며 주변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곳에는 소나무·오리나무·굴참나무가 자라고 있다. 왜가리는 머리와 목은 흰색, 등은 재색, 가슴 옆과 배는 검은 색이다. 부리는 누런색이며 다리는 갈색을 띠고 있다. 왜가리는 이곳에 5월 초순에서 하순경에 4...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128호
- 성격 :
- 번식지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황해남도 벽성군 사현리
- 분야 :
- 과학/동물
-
덕인리왜가리번식지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01호. 업억역으로부터 세천천을 따라 북쪽으로 약 8㎞에 있다. 이곳에서 남동방향으로 400m 지점에 덕인리왜가리번식지가 있다. 번식지 주변은 소나무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간간히 참나무가 들어차 있다. 매년 이 소나무 군락에서 150여 쌍의 왜가리가 찾아와 번식을 한다. 번식지 앞...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301호
- 성격 :
- 번식지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함경북도 김책시 덕인리
- 분야 :
- 과학/동물
-
서목리왜가리번식지있다. 서목리 북쪽은 백산 줄기에 의해 둘러 싸여 있고 백산의 다른 줄기는 남쪽으로 뻗어 시루봉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서목리 서쪽을 둘러싸고 있다. 이곳에는 종비나무·이깔나무·잣나무 등이 숲을 이룬다. 왜가리는 종비나무에 3∼7쌍씩 둥지를 틀고 있으며, 매년 4월초에 500여 마리의 왜가리가 이곳을 찾아온다.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263호
- 성격 :
- 번식지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함경남도 장진군 서목리
- 분야 :
- 과학/동물
-
의성 왜가리생태마을의성 왜가리생태마을은 자연생태계를 보전·관리하여 자연과 사람이 공존하기 위하여 조성되었다. 의성 청학마을은 1900년 초부터 여름철새인 왜가리(청학)와 백로(백학)가 찾아오는 곳으로 우리나라 최대 왜가리 서식지였던 곳이다. 이에 따라 민가와 떨어진 곳에 생태 체험이 가능한 관광지로 조성되었다. 또한 왜가리...
- 위치 :
- 경상북도 의성군 신평면 왜가리길 1185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 -
용흥리백로왜가리번식지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45호. 판교역에서 판교읍 방향으로 4㎞ 지점에 있다. 번식지는 이미 수백 년의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데, 이곳에는 소나무·신갈나무·떡갈나무 등이 자라고 있고, 오래된 20여 그루의 참나무와 신갈나무에서 1,000여 마리의 새가 무리를 지어 번식하고 있다. 나무 하나에는 보통 둥지수가 10...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245호
- 성격 :
- 번식지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강원도 판교군 용흥리
- 분야 :
- 과학/동물
-
왜가리[형태] 왜가리의 몸길이는 93㎝ 정도이고, 전체적으로 회색으로 보인다. 흔하게 볼 수 있는 야생 조류 중 가장 큰 종이라 할 수 있다. 머리 꼭대기는 흰색이고 눈앞은 나출(裸出)되어 있으며 노란색이다. 눈 위에서 뒷머리까지는 검은색이며 2~3개의 검은색 댕기가 있다. 앞 목의 중앙에 검은색 줄무늬가 있으며 어깨 깃...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여주 신접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문화재 정보 여주 신접리 백로와 왜가리 번식지(驪州 新接里 白鷺와 왜가리 繁殖地)는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신접리에 있다. 1968년 7월 24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209호로 지정되었다. 백로는 열대에서 온대에 이르는 전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 지역을 제외한 전지역에서 번식한다. 하천·호수...도서 위키백과
-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문화재 정보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鎭川 老院里 왜가리 繁殖地)는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에 있다. 1962년 12월 7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3호 '진천의 왜가리 번식지'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명승) 지정명칭 변경》, 문화재청장, 관보 제...도서 위키백과
-
가례마을 왜가리 서식지정리 필요 의령군 가례면에 위치한 가례마을에는 약 1940년대부터 찾아온 왜가리로 인하여 왜가리 서식지가 조성되었다. 왜가리는 황새목 백로과에 속하는 여름철새로 보통 한반도에는 4월경에 도래하여 여름을 지내고 9월이 지나면 다시 따뜻한 남쪽나라로 떠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례마을에는 해마다 2월 초중순...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