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경주 나정 慶州 蘿井같은 팔각건물지의 특이한 배치 구조는 종교 의식을 행하는 상징처로서 특별한 권위를 지니기 위해 조성되었을 것이다. 출토 유물[1390여점의 출토 유물 중 와전류가 918점, 토기류가 375점, 특히 시조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생(生)’자명 명문와 90여점 출토]의 양상도 신라 왕실과 연관된 의식을 담당...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안압지 출토 조로2년명 전 雁鴨池 出土 調露二年銘 塼조로이년’은 680년(문무왕 20)에 해당된다. 의의와 평가 명문 벽돌은 신라 6부에 대한 문제를 비롯하여 벽돌을 제작하는 기술자 문제 등 신라의 정치 · 경제 · 사회 문제의 해결에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신라 와전류의 양식과 문양을 편년하는데 결정적인 자료로서 미술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 유형 :
- 유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림대학교 중앙박물관 翰林大學校 中央博物館백자가마터의 자기류와 강화 외규장각지의 기와류 및 자기류 등이 있다. 제2전시실에는 수집한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데, 가야, 신라의 고대 토기 및 와전류와 조선시대 민속품 및 백자 그리고 민속품 등이다. 야외전시실에는 주로 조선시대의 석등, 문인석 등 석조물이 전시되어 있다. 한편 지속적인 지표조사 및...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부여 능산리 사지 부여능사, 扶餘 陵山里 寺址저습지 구간에서는 나뭇가지를 깔아 지반의 침하를 완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출토된 유물은 백제금동대향로,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을 비롯하여 와전류, 토기류, 금속류, 목제류 등 다수의 유물이 출토되다. 특히 30여 점의 목간이 출토되었는데, 목간은 현재까지 백제유적에서 가장 많은 수량이 확인되었을...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
섭동전계 또는 자계 perturbed electric or magnetic field③을 참조). 일반적으로는 상용 주파수하에서는 자계는 자성체가 아닌 한 물체의 존재에 의한 섭동을 받지 않는다. 이것의 예외는 B계의 시간 변화에 의하여 와전류를 발생하는 비자성전도체의 표면 가까운 영역이다. ② 중 섭동계. 물체가 근접했을 때에 크기가 5~30%의 변화를 하거나, 방향이 5~30도의 변화를 하는 계...
-
영구 자석식 리타더 permanent magnet type retarder코일을 이용한 전자식 리타더와 같이, 회전하는 철제(강자성체)로터에 자석을 가까이 대면, 자석의 자계에 의해 플레밍(Fleming) 법칙에 따라서 로터에 와전류(渦電流)가 발생한다. 동시에 로터에 회전방향과 역방향의 제동력(로렌츠 힘(Lorentz force))이 작용. 이스즈는 스미토모 금속과 공동으로 네오짐계 희토류...
-
상주 복룡동 유적 尙州 伏龍洞 遺蹟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발굴 조사 결과 통일신라시대와 고려 · 조선시대의 적심건물지, 우물, 수혈, 배수로 등 1,005기의 유구(遺構)와 도기류, 토기류, 와전류, 명문이 새겨진 자기류 등 총 2,187점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사벌주(沙伐州), 답리(沓里)외 다수의 명문이 새겨진 납석제품이 출토되어 학계의 주목을...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