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장 Warrant (law), 令状
    라는 내용의 영장(체포영장) 발부를 판사에게 청구하여야 하며, 이때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판사로부터 영장을 발부 받지 않으면 안 된다는 규칙을 말한다. 영장주의의 예외로는 체포를 하고, 스스로 저지른 범죄에 대해 밝히는 현행범 체포의 경우에는 체포영장이 필요하지 않다. 마찬가지로 자택수색에 대해서는 압수...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216조
    법학연구, 59(2), 83-112. 나기업. (2020). 형사소송법 제216조 제1항 제2호의 ‘체포현장’ 요건 해석 고찰. 외법논집, 44(2), 57-84. 신이철. (2020). 영장주의 예외인 형사소송법 제216조 제1항 제2호의 적용 요건과 효과. 사법, 1(53), 589-628. 신이철. (2021). 영장주의 예외인 형사소송법 제216조 제3항의 적용...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115조
    문서출력 또는 파일복사의 대상 역시 혐의사실과 관련된 부분으로 한정되어야 함은 헌법 제12조 제1항, 제3항, 형사소송법 제114조, 제215조의 적법절차 및 영장주의의 원칙상 당연하다. 그러므로 수사기관 사무실 등으로 옮긴 저장매체에서 범죄 혐의와의 관련성에 대한 구분 없이 저장된 전자정보 중 임의로 문서출력...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헌법 제12조
    내용이 합리성과 정당성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적용된다. 헌법 제12조 제1항의 처벌, 보안처분, 강제노역 등 및 제12조 제3항의 영장주의와 관련하여 각각 적법절차의 원칙을 규정하고 있지만 이는 그 대상을 한정적으로 열거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적용대상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다. 헌법이...
    도서 위키백과
  • 임의동행 任意同行
    일단 그 장소에 유치되는 사람은 그 의사에 기하지 아니하고 일정장소에 구금되는 결과가 되므로, 구속영장을 발부받음이 없이 피의자를 보호실에 유치함은 영장주의에 위배되는 위법한 구금으로서 적법한 공무수행이라고 볼 수 없다 임의동행이 불법인 경우 불법감금죄가 성립할 뿐 아니라 만일 피의자가 도주한 경우...
    도서 위키백과
  • 신체의 자유
    앞서 영장을 발부받기 어려운 긴급한 사정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도 영장 없이 피의자 수색을 할 수 있다는 것이므로, 헌법 제16조의 영장주의 예외 요건을 벗어나는 것으로서 영장주의에 위반된다. 헌법 제12조 제4항 본문의 문언 및 헌법 제12조의 조문 체계, 변호인 조력권의 속성, 헌법이 신체의 자유를 보장하는...
    도서 위키백과
  • 압수수색 Search and seizure
    찾는 처분인 수색을 말한다. 많은 국가에서 압수 수색을 위해 영장을 요구하고 있으며 불법적인 압수수색으로부터 보호받을 헌법적 권리를 보장받고 있다. 영장주의가 원칙이며 당사자의 동의가 있을 경우 임의수사의 형태로 압수 수색이 가능하다. 압류, 영치 및 제출명령의 세 가지를 내용으로 한다. 현행범인 경우...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308조의2
    형사소송법제308조의2는 위법수집증거의 배제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조문이다. 2007년 6월 1일에 신설되었으며 대한민국 헌법 제12조에서 규정한 적법절차와 영장주의 원칙을 구체화하였다. 압수물의 사진 및 압수조서가 위법한 수색에 의한 압수물을 직접 이용해서 촬영되거나 작성된 경우 그 형태 등에 관한 증거가치...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212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212조는 현행범인의 체포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조문이다. 형사소송법상 영장주의의 예외이며 사인이 현행범 체포를 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현행범인은 누구든지 영장 없이 체포할 수 있는데(형사소송법 제212조), 현행범인으로 체포하기 위하여는 행위의 가벌성, 범죄의 현행성·시간적 접착성...
    도서 위키백과
  • 검증 Verifying, 検証
    물적 증거는 수사시 검증하여 그 기록물을 증거로 보존할 필요성이 있음(상해사진, 부검결과, 교통사고현장 등) 신체검사, 강제촬영, 분묘발굴, 부검 등 영장주의 적용대상 동의에 의한 신체, 주거 사진촬영, 공공현장 사진촬영 등 압수수색에 부수한 현장, 물건 사진촬영(침해 자체는 압수수색요건, 절차에 의해 정당화...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217조
    대한민국 형사소송법 제217조는 영장에 의하지 아니하는 강제처분에 대한 형사소송법의 조문이다. 현실적으로 '긴급체포된 자'이다 신이철. "영장주의 예외인 형사소송법 제217조의 적용요건과 입법적 개선." 법학연구 64.- : 205-230. 박정난. "형사소송법 제217조의 영장 없는 압수수색에 있어서 요급처분 인정 여부...
    도서 위키백과
  • 마약류 관련 수형자에 대한 소변채취 사건
    대구교도소장)이 마약류반응검사를 위하여 소변을 제출하게 한 행위는 헌법에 의하여 보장되는 인간의 존엄성과 행복추구권, 신체의 자유를 침해하고, 영장주의에 반하는 것이라며 그 위헌확인을 구한다고 주장한다. 기각 마약류반응검사를 실시하게 한 주체는 대구교도소장이고, 법무부장관은 그 주체가 아니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영장주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