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네트워크 아키텍처 network architecture통합을 기능계층(layer)으로서 정의하고 있다. ISO와 CCITT의 표준인 OSI 참조 모델은 7계층으로 이루어진다(그림 1). 각 계층에는 기능의 실행주체인 엔티티(entity)가 있는데, 그 동작을 통해서 상위의 계층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위의 계층에 서비스를 이용하는 창구를 서비스 액세스 포인트(SAP ; service access...
- 분야 :
- 정보통신, 시스템 프로그램
-
프로토콜 protocol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계층에 정의된 통신기능을 표현하기 위해, 시스템간의 서로 대응하는 계층에 존재하는 엔티티(peer-entity) 사이에서 실행하는 통신 규약. 7계층으로 이루어진 OSI참조 모델에서는 모든 계층에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이들은, 예를 들면, 트랜스포트층에서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이라고 부르는 식...
- 분야 :
- 정보통신, 시스템 프로그램
-
기술적 속성 記述的屬性, descriptive attribute데이터베이스의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엔티티의 성질을 기술하는 속성. 엔티티 정보 구조를 결정하는 데 있어 먼저 엔티티를 결정하며 각 엔티티 실례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키 속성을 결정한다. 엔티티 간의 관계를 결정한 다음, 엔티티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적 속성이 추가된다.
-
설계 대안 design alternative중복을 최소화하면서 데이터 처리의 효율성이 높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설계 대안. 예를 들면, 두 엔티티간의 관계를 나타낼 때, 두 엔티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별도의 관계 엔티티로 표현하거나 연관된 두 엔티티가 공통 애트리뷰트를 갖게 함으로써 묵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설계 대안들은 성능 평가 기준에...
- 분야 :
- 데이터 베이스
-
부분형 部分型, sub-type페어런트 자료형과 범위의 경계로 규정한다. 예를 들어, 어떤 변수가 수를 나타내는 자료형일 경우 그 수의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므로 다음과 같이 부분형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type CENT is range 0…99. ②엔티티형 X의 모든 사례가 반드시 Y의 엔티티형 내의 한 사례여야 한다면, 엔티티형 X는 엔티티형 Y의 부속형.
-
존재 종속성 existence dependency어떤 엔티티가 다른 엔티티의 존재에 의존하는 경우, 즉 엔티티 x가 엔티티 y의 존재에 의존한다면 x는 y에 존재 종속적이라 한다. 이런 경우에는 y가 삭제되면 x도 삭제되어야 한다.
- 분야 :
- 데이터 베이스
-
양방향 핸드셰이크 two-way handshake2개의 전송 엔티티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신호를 주고 받는 절차. 예를 들면, 전송 엔티티 a는 전송 엔티티 b로 연결 요구 신호(request for connection ; RFC)를 보낸 다음, b로부터의 연결확인 신호를 기다린다. 이때 a의 연결 요구 신호나 b의 연결 확인 신호가 유실될 수가 있는데, a는 주기적으로...
- 분야 :
- 정보통신
-
부자료형 sub-type자료형과 범위의 경계로 규정한다. 예를 들어, 어떤 변수가 수를 나타내는 자료형일 경우 그 수의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므로 다음과 같이 부분 자료형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type CENT is range 0 … 99; [2] 엔티티 형 X의 모든 사례가 반드시 Y의 엔티티형 내의 한 사례이어야 한다면 형 X는 엔티티형 Y의 부속형이다.
- 분야 :
- 프로그래밍
-
데이터 구조도 DSD, data structure diagram방향성 관계 그래프를 사용하여 데이터 베이스 구조를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도표. 관계 그래프에서 엔티티를 나타내는 노드는 사각형으로 표시하고, 엔티티 관계는 방향을 가진 링크에 의해 나타내며 특정 엔티티 관계의 이름은 링크 테이블로써 표현된다. 이 자료 구조도는 바흐만이 처음 제안했기 때문에 바흐만 도표...
- 분야 :
- 데이터 베이스
-
성질 상속 property inheritance구성되는 형 B가 있을 때, A가 가지는 성질들이 B에서도 적용되는 것. Pascal에서 정수형의 subrange로 선언된 형의 변수들이 정수에 대한 연산을 행할 수 있는 것이 그 예이다. [2] 엔티티 형은 그 유형에 따라 계층적 구조를 구성하는데, 이 구조에서 상위 엔티티 형의 성질들이 하위 엔티티의 성질로 적용되는 특성.
- 분야 :
- 데이터 베이스
-
정보 구조 information structure정보 모델링으로 얻는 결과로서 엔티티형 또는 엔티티 집합으로 구성된다. 각 엔티티 집합은 몇 개의 애트리뷰트들로 표현되며, 각 애트리뷰트는 현실 객체들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이름을 말한다.
- 분야 :
- 정보기초
-
관계성 집합 relationship set여러 관계성 중 같은 타입의 관계성들을 모아 둔 것. 엔티티 관계성 데이터 모델에서 엔티티는 실세계에서 구별될 수 있는 객체이고 관계성은 이 엔티티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 분야 :
- 데이터 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