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하마드 알리 Muhammad Ali, モハメド・アリ
    예견한 것이기도 하다. 혼자 있을 때에는 과묵했다고 회상하였다. 그리고 상당한 달변가이기도 했는데, 일례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기를 거부하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로서의 발언은 당시 미국의 사회문제로 대두된 인종차별을 명확하게 비판했다. 그는 자신이 "나비처럼 날아서 벌처럼 쏜다(Float like a butterfly, and...
    도서 위키백과
  • 여호와의 증인 Jehovah's Witnesses, エホバの証人
    자유가 인격 발현과 존엄성 실현에 매우 중요한 기본권이나 그 본질이 법질서에 대한 복종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니다'라는 결정문과 함께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처벌하는 것이 합헌이라고 결론내렸다. 대법원은 종교적 이유로 병역을 기피한 이 종교 신도에게 유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헌법상 기본권의 행사가...
    도서 위키백과
  • 미국 대 시거 사건 United States v. Seeger
    미국 대 시거 사건(United States v. Seeger, 380 U.S. 163 (1965))은 미국 연방대법원 판례로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유명 판결이다. 양심적 병역거부는 종교적 신념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신에 대한 정통적 믿음으로 꽉 차 있는 신념에 비견되는 정도로 그 신념의 소유자의 삶에서 자리잡고 있는" "진지하고...
    도서 위키백과
  • 징병제에 대한 반대 徴兵制度に対する反対
    일본 제국의 징병제를 반대하기 위한 조직화된 단체 정도가 대부분이다. 광복과 분단 이후 38선 및 휴전선 이남의 실효 통치국인 대한민국에서의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대체복무 도입 요구 정도가 대부분이다. 또한 38선 및 휴전선 이북의 실효 통치국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에서는 징병제에 대한 반대활동이...
    도서 위키백과
  • 국제앰네스티 國除─, Amnesty International
    다섯 명의 후보에게 한국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8대 인권 의제를 전달하고, 이에 대한 후보자의 의견과 공약 반영 여부를 묻고 답변을 받았다.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자 처벌 중단과 대체복무제 도입을 촉구하는 ‘옥중 기자회견’, 퀴어 토크, 난민을 위한 콘서트를 진행하고 한국에서 경찰의 집회 대응에 대한...
    시대 :
    현대
    설립 :
    1961년 5월
    성격 :
    국제 비정부 기구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외교
  • 도러시 데이 Dorothy Day, ドロシー・デイ
    양심적 병역거부로 징역을 받거나 대체복무를 실천함.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가톨릭 교회는 사회선교 헌장에서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선언함으로써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의 신념을 존중함. 1970년 :캘커타를 방문해 마더 테레사와 만나다. 1973년 : 일흔다섯의 나이로 농장노동자연합 시위에...
    도서 위키백과
  • 체대역 替代役 (中華民國)
    체대역이며, 체대역을 신청한 징병 적령자는 유럽의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대한 사회역을 모델로 하였다. 이 제도는 2000년에 실시 시작, 2001년에 운용을 시작하였다. 체대역은 다음의 이유에 의해 신청 자격을 획득할 수 있다. 체대역이 인가된 조직에 의한 신청 상사에 의한 신청 가정사정에 의한 신청 종교상의...
    도서 위키백과
  • 2011년 7월 Portal:最近の出来事/2011年7月, 2011年7月
    되었던 168년 된 영국의 대표적인 타블로이드판 신문 뉴스 오브 더 월드(News of the World)의 폐간이 발표되었다. 유럽인권재판소는 여호와의 증인 양심적 병역거부자에게 유죄 선고를 하고 투옥시킨 아르메니아 정부에 대해, 유럽 인권 협약 즉 종교와 양심의 자유와 권리 보호 의무를 명백히 위반했다고 역사적인...
    도서 위키백과
  • 이강국 (법조인)
    강구하라”는 보충의견을 제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양심적 병역거부 사건 판결에서는 “서구와 동구의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는 25개국에서도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대체복부를 인정하고 있다. 대체복무제의 도입 시기와 기준 및 절차와 방법 등을 논의해야 할 시기가 됐다, 양심의 자유와 국방의 의무가 충돌할...
    도서 위키백과
  • 유남석 (법조인) Yoo Nam-seok, 劉南碩
    수료하여 판사가 되었다. 1985년 육군 법무감실 법제장교로 복무 중 군사법연구회 3집에 ‘양심병역거부에 관한 법적 고찰’이라는 논문을 통해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처벌하지 말고 대체복무를 허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거쳐 2016년 2월에 방극성 법원장의 후임으로 제35대 광주...
    도서 위키백과
  • 마르티누스 투로넨시스 Martin of Tours, トゥールのマルティヌス
    걸인에게 자신의 외투 절반을 잘라 주었다는 것이다. 본래 로마 제국의 군인으로 징집되었던 그는 자신의 기독교 신앙과 맞지 않는다고 여겨, 최초의 양심적 병역 거부자가 되었다. 마르티노는 서기 316년 오늘날 헝가리의 솜버트헤이에 해당하는 로마 제국의 판노니아 속주의 사바리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도서 위키백과
  • 2011년 4월 Portal:最近の出来事/2011年4月, 2011年4月
    강진이 발생하였다. 카이스트의 서남표 총장이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였다. 유엔 자유권규약위원회(UN Human Rights Committee)는 "한국 정부가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대체복무없이 무조건 형사처벌하는 것은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대한 국제 규약'(B규약)을 위반한 것"이라고 판단하였으며, 한국 정부에 '이들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양심적 병역거부자(conscientious objector)
'2016 세계병역거부자의 날'을 맞아 열린 교도소에 수감된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알리는 퍼포먼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