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종성 자고(子固), 李宗城
    하였다. 그 뒤 부수찬·헌납·수찬·교리 등을 거쳐 1729년(영조 5) 불법 수령 적발의 사명을 띠고 다시 영남어사로 파견되었고, 함경남도에 이어 북도안집어사(北道按集御史)로 다녀와 응교가 되었다. 1731년(영조 7) 관서어사로 파견되어 양덕현감 남윤관(南胤寬)을 파직시키고, 개천군수 홍태평(洪泰平), 맹산현감...
    시대 :
    조선
    출생 :
    1692년(숙종 18)
    사망 :
    1759년(영조 35)
    경력 :
    부수찬, 교리, 승지, 이조참의, 홍문관부제학, 이조참판, 예조판서, 좌의정, 영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오천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경주(慶州)
  • 오유권 吳有權
    일관한 반문명적 자연주의·전원주의의 정신을 담고 있었다. 1981년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에도 끈질긴 집념으로 재기해 1988년 〈병상일기〉·〈놉〉, 〈샘안집과 시누이〉(동서문학, 1997. 가을), 〈산촌자매〉(현대문학, 1997. 12) 등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다. 소설집으로 〈방앗골 혁명〉(1962...
    출생 :
    1928. 8. 18, 전남 나주
    사망 :
    1999. 3. 14, 수원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김중일 사순(思純), 金重一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순(思純). 아버지는 한성판윤 김세익(金世翊)이며, 어머니는 첨지중추부사 안집(安緝)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문필에도 뛰어났으나 아버지를 따라 무반을 택하였다. 1712년(숙종 38) 음서로 선전관이 되었으나 내시사(內試射)에서 부정을 저지르다 발각되어, 그 뒤 여러 차례 탄핵...
    시대 :
    조선
    출생 :
    1685년(숙종 11)
    사망 :
    1728년(영조 4)
    경력 :
    훈련원판관
    유형 :
    인물
    직업 :
    무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 어세공 魚世恭
    흩어지자 농량(農粮)을 나누어주고, 주모자를 처형하는 외에 반란에 참가한 사람들은 그 명단을 적어오더라도 종이를 불태워버려 안심시키는 등 백성을 안집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으로 아성군(牙城君)에 봉해졌다. 1469년(예종 1) 사은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한성부판윤...
    출생 :
    1432(세종 14)
    사망 :
    1486(성종 17)
    국적 :
    조선, 한국
  • 안성빈 질부(質父), 安聖彬
    개설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질보(質父). 안승(安陞)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안수함(安壽咸)이고, 아버지는 공조판서 안집(安集)이다. 어머니는 신천군(信川君) 이정(李濎)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63년(영조 3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66년 정언(正言)·지평(持平)을 역임하고 이듬해 예문관검열을...
    시대 :
    조선
    출생 :
    1732년(영조 8)
    사망 :
    미상
    경력 :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함평현감, 승지, 대사간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순흥(順興,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
  • 유종선 택중(擇仲), 柳從善
    진사시에 합격하고, 1546년(명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이어 승문원부정자·박사를 거쳐 감찰이 되고, 양구현감으로 나아가 백성들을 구휼하고 안집(安集)하여 치적을 쌓았다. 그 뒤 예조정랑을 거쳐 1555년에 성절사를 따라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지평·종부시첨정을 역임하였다. 1557...
    시대 :
    조선
    출생 :
    1519년(중종 14)
    사망 :
    1578년(선조 11)
    경력 :
    지제교(知製敎), 시강원문학, 장령, 사간, 응교, 직제학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진주(晉州)
  • 이사영 신보(愼甫), 李思永
    송시열(宋時烈)·김익훈(金益勳)의 당으로 지목되어 창성(昌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698년 승지로 있을 당시 유망(流亡)하는 백성들의 안집책을 건의하기도 하였으며, 1701년에는 마천령(摩天嶺)·철령(鐵嶺)·성진(成津) 등을 요새화하여 북방수비에도 힘쓸 것을 주장하였다. 1702년(숙종 28) 강화유수...
    시대 :
    조선
    출생 :
    1634년(인조 12)
    사망 :
    1710년(숙종 36)
    경력 :
    황해감사, 평안감사, 함경감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기사환국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全州)
  • 오원경 오산준(吳山俊), 吳元卿
    후관(樞密院堂後官)·권지각문지후(權知閣門祗候), 1178년 북로감창사(北路監倉使)·지승평군사(知昇平郡事)를 역임하였다. 성품이 강직하고 날카로웠으며 행정업무에 밝아 영광의 행정을 맡았을 때 수리시설에 주력, 유망민(流亡民)의 안집(安集)에 큰 성과를 거두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묘지명(墓誌銘)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출생 :
    1128년(인종 6)
    사망 :
    1180년(명종 10)
    경력 :
    내시, 식목녹사, 동로병마녹사, 북로감창사, 지승평군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해주(海州)
  • 안종해 조경(朝卿), 安宗海
    에 보임된 뒤, 여러 직을 거쳐 공산현감(公山縣監)으로 나갔다. 이 때에 흉년과 질병으로 굶주린 백성과 여러 가지 질병과 기아로 죽은 자가 속출하자, 구휼·안집(安集)에 진력하여 선정을 베풀었다. 그 뒤 공조좌랑에 이어 1734년 옥천군수로 있을 적에 청렴하지 못하다는 혐의를 받고 삭직되었다가 사도시첨정(司導...
    시대 :
    조선
    출생 :
    1681년(숙종 7)
    사망 :
    1754년(영조 30)
    경력 :
    공조좌랑, 옥천군수, 사도시첨정(司導寺僉正), 면천군수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죽산(竹山, 지금의 경기도 안성)
  • 한계미 韓繼美
    수양대군을 따라 명에 다녀와 군자판관이 되었다. 1455년(세조 1) 세조가 즉위하자 좌익공신 3등에 책록되었으며, 1458년에는 서원군에 봉해졌다. 1461년 안집도순찰사로서 진전개간 등을 통해 북방 개척에 공을 세웠고, 이조판서·오위도총부도총관을 거쳐 1467년 평안도병마수군절도사 겸 영변대도호부사가 되었다...
    출생 :
    1421년(세종 3)
    사망 :
    1471년(성종 2)
    국적 :
    조선, 한국
  • 유순정 지옹(智翁), 柳順汀
    이어 좌의정이 되어 박영문(朴永文)·유담년(柳聃年)을 포도대장으로 삼아, 당시 경기도 인천·김포·통진 일대에 횡행한 강도를 처리하고 유민의 안집책(安集策)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1510년 경오왜변이 일어나자 도체찰사가 되어 병사를 총괄했으며, 다시 도원수로서 현지에 출동해 삼포(三浦)의 난을 평정하고, 각...
    시대 :
    조선
    출생 :
    1459년(세조 5)
    사망 :
    1512년(중종 7)
    경력 :
    사헌부헌납, 홍문관교리, 평안도절도사, 숭정대부, 우의정, 영의정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경오왜변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진주(晉州)
  • 신초 우수(友叟), 辛礎
    단신으로 그의 진영에 잠입하고, 계략을 써서 사로잡았다. 1592년 7월의 영산전투에서도 공을 세워 곽재우의 천거로 현풍현감이 되어 선정을 베풀고, 백성을 안집하여 목민관으로도 영남에 명성을 떨쳤다. 정유재란 때는 창녕의 화왕산성(火旺山城)에 주둔하고 있던 곽재우군에 합류하여 화왕산성전투에서 조전장(助戰將...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