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소련의 해체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등의 개혁 정책(고르바초프 소련공산당 서기장 취임 참조)에도 불구하고, 1990년 들어 소련의 위기는 더욱 심화됐다. 경제 성장은 1990년 마이너스 8퍼센트, 1991년 마이너스 20퍼센트를 기록했다. 생산과 분배 시스템은 사실상 붕괴했고, 물가는 급등했으며, 만성적인 물자 부족 상태가...
- 시대 :
- 1991년
- 국가/대륙 :
- 유럽
-
라데크 카를 소벨손, Karl (Bernhardovich) Radek실패하자 레온 트로츠키를 강력히 지지해온 것에 반감을 가진 러시아의 동료들(특히 스탈린)은 혁명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물어 라데크를 코민테른 서기 및 소련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직에서 해임시켰다(1924. 5). 1927년 트로츠키파(派)로 몰려 당에서 제명된 그는 우랄 산맥 지역으로 유형되었다. 라데크는 1929...
- 출생 :
- 188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갈리치아 렘베르크(지금의 우크라이나 리보프)
- 사망 :
- 1939(?)
- 국적 :
- 소련
-
우크라이나의 정치와 사회1991년말 소련의 붕괴로 독립하게 된 우크라이나는 1990년대초 정치체계의 급속한 변화를 겪었다. 1922∼91년 소련하에서 소련 공산당의 지배를 받은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우크라이나를 통치했다. 어떤 법안이든 만장일치로 가결되었던 입법부 최고소비에트는 의회의 기능을 가진 최고회의로 바뀌었다. 최고회의 의원은...
-
인류 역사상 가장 참혹했던 전쟁, 제2차 세계 대전국가주의자들을 도왔고, 영국·프랑스·미국 등에서 온 의용군(국가나 사회의 위급을 구하기 위하여 민간인으로 조직된 군대)과 소련은 공화파를 지원하고 나섰다. 11월에는 소련 공산당의 국제 조직인 코민테른에 맞서, 독일과 일본이 반(反)코민테른 협정을 맺었다. 이듬해 세 나라는 서로 합쳐 적을 막아 내자는 3국...
-
소련의 5개년계획과 농업집단화10월 8일, 이오시프 스탈린이 이끄는 소련공산당이 점진적인 사회주의 건설을 지향하는 신경제정책(러시아 신경제정책 도입 참조)을 폐기하고, 국가 주도의 공업화 정책인 5개년 계획을 전격적으로 도입했다. 급속한 공업 발전을 위해 국가가 사회 전체의 인적, 물적 자원을 총동원하는 정책으로, 서유럽과 미국의...
- 시대 :
- 1928년 10월 8일
- 국가/대륙 :
- 유럽
-
러시아와 한국과의 관계합의를 이뤄 1904년 러일전쟁 패권으로 러시아 공사관이 폐쇄된 이후 86년만에 공식외교관계를 복원시켰다. 1990년 6월 4일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워싱턴의 미·소 정상회담을 마치고 샌프란시스코에서 노태우 전 대통령과 담화를 가졌고 수교원칙에 합의했다. 이어 9월 30일 셰바르드나제 소련 외무...
-
-
-
역대 소련의 지도자는 모두 몇 명인가? 세계대전 이후의 소비에트 연합1985)가 서기장에 올랐다. 체르넨코 역시 1985년 3월에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고, 그의 뒤를 이어 고르바초프(Mikhail S. Gorbachev, 1931~ )가 공산당의 수령 겸 소련의 새로운 서기장으로 떠올랐다. 고르바초프가 정권을 잡으면서 스탈린이 키운 인물들은 모두 공직을 떠나야 했다. 고르바초프는 서부 민주주의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