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각성 징원(澄圓)벽암(碧巖), 覺性
    碧巖). 법명은 각성(覺性). 충청북도 보은 출신. 어머니는 조씨(曺氏)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승군(僧軍)을 이끌었으며, 남한산성을 완성시키고 사고(史庫)를 보호하였다. 생애와 활동사항 10세에 설묵(雪默)에게서 출가하였으며, 14세에 보정(寶晶)에게서 구족계를 받은 뒤 선수(善修)의 제자가 되어 속리산...
    시대 :
    조선
    출생 :
    1575년(선조 8)
    사망 :
    1660년(현종 1)
    경력 :
    판선교도총섭 규정도총섭 팔도도총섭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선승(禪僧)
    대표작 :
    선원집도중결의 참상선지 간화결의 석문상의초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본관 :
    김해(金海)
  • 어제수덕전편 御製樹德全編
    의 크기는 22.4×16㎝이다. 계선이 있으며 1면의 행자수는 6행 12자이다. 판심(版心)은 상화문어미(上花紋魚尾)이다. 표지 다음 면에 ‘운관간인 사고장판(芸館刊印 史庫藏板)’의 기록이 있어 이 책이 운관(교서관)에서 간행되었고, 그 목판은 사고(史庫)에 보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에 앞서 영조의 친필 ‘덕...
    시대 :
    조선
    저작자 :
    영조 (찬), 김상복(金相福) (교정)
    창작/발표시기 :
    1771년
    성격 :
    어제(御製), 교훈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14장)
    간행/발행 :
    교서관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 어제화산용주사봉불기복게 御製花山龍珠寺奉佛祈福偈
    필사본은 현재 3종이 있는데, 정족산성본(鼎足山城本)‚ 오대산성본(五臺山城本)‚ 태백산성본(太白山城本)이 있다. 이 세 곳은 조선왕조의 실록을 보관하는 사고(史庫)가 있던 지역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맨 뒤의 간기(刊記)에 ‘여즉조이십년을묘중하(予卽阼二十年乙卯仲夏)’라고 되어 있어 1795년에 이 기복...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정조(正祖)
    창작/발표시기 :
    1795년(정조 19)
    성격 :
    어제(御製), 게송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실록형지안 實錄形止案
    내용 실록을 사고(史庫)에 봉안(奉安)한 사실을 기록한 봉안형지안을 비롯해 포쇄(曝曬 : 먼지나 습기 등을 털거나 말림) 때마다 점검한 내용을 기록한 것, 고출(考出 : 참고로 살펴보기 위해 내어 봄) 때의 것 등 여러가지 사례별로 형지안을 작성하였다. 일반적으로 형지안에는 어떤 이유로 형지안을 작성했는의 목적...
    시대 :
    조선
    저작자 :
    미상
    성격 :
    문서, 관문서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포쇄 曝曬
    실록의 포쇄를 매우 엄격히 하였으며, 포쇄하면서 점검하고 그 기록을 남기기도 하였다. 그 기록이 『실록포쇄형지안(實錄曝曬形止案)』이며, 해당 사고(史庫)와 춘추관(春秋館)에 각각 보관되었는데 임진왜란 전후부터 조선 말까지 포쇄를 위하여 사관이 파견된 경우는 외사고(外史庫)가 모두 234회나 된다. 조선시대의...
    유형 :
    개념
    분야 :
    언론·출판/출판
  • 박학사포쇄일기 朴學士暴曬日記
    역임한 죽천(竹泉) 박정양(朴定陽, 1841∼1905)이 31세 때인 1871년(고종 8) 8월 별겸춘추(別兼春秋)로 포쇄관에 임명되어 무주 적상산 사고(史庫)와 봉화 소백산 사고의 포쇄(暴曬) 임무를 마치고 같은 해 10월 돌아와 복명하기까지의 전 과정을 상세히 기술한 장편 기행가사이다. ‘포쇄’란 사고에 소장된 실록이나...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성종실록 成宗實錄
    일어났다. 이로 인해 신진사림들이 큰 화를 당하기도 했으나, 실록 편찬 작업은 별다른 지장이 없이 진행되어 이듬해인 1499년 3월에 인쇄까지 완료하고 4사고(史庫)에 봉안하였다. 실록 편찬에는 영의정 신승선(愼承善)과 우의정 성준(成俊)이 총재관(總裁官), 지관사(知館事) 이극돈(李克敦)이하 동지관사 안침(安琛...
    시대 :
    조선
    저작자 :
    신승선, 성준, 이극돈, 안침 외
    창작/발표시기 :
    1499년
    성격 :
    역사서, 실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97권 47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실록 實錄
    편찬된 『명종실록』은 분년병필(分年秉筆: 연도를 나누어서 집필함)의 방법으로 작업량을 나누어 담당했고, 또 이때에 이르러 처음으로 실록을 보관하는 사고(史庫)를 지방에도 설치해 해인사가 최초의 외사고(外史庫)가 되었다. 충렬왕 때의 기록에는 태조에서 고종까지의 실록이 모두 185책이었다고 한다. 고려 후기...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사고 (역사)
    사고(史庫)는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실록 및 중요 서적의 산실(散失)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를 수장(收藏)·보관하던 곳이다. 임진왜란 이전에는 서울의 춘추관, 충주(忠州)·성주(星州)·전주(全州)의 3사고(三史庫)에 실록을 봉안하였는데, 1592년(선조 25년)의 임진왜란으로 전주사고본만이 묘향산으로 이장(移藏...
    도서 위키백과
  • 광해군일기 光海君日記
    한달 동안 광해군 즉위년 2월에서 6월까지의 5권과 그 해 7월과 8월의 일부만을 인쇄하는 데에 그쳤다. 이에 정부에서는 정초본을 여러 벌 등사해 각 사고(史庫)에 나누어 분장(分藏)하기로 하였다. 1634년 정월부터 등록관(謄錄官) 50인을 임명하고 4반으로 나누어 정서하기 시작하여 그 해 5월에 2부의 정초본을 작성...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정족산 전등사 鼎足山 傳燈寺
    4월 지경(志敬) 등이 중심이 되어 재건을 시작해서 1625년(인조 3) 2월 옛 모습을 되찾았다. 1678년(숙종 4) 조정에서 실록을 이곳에 보관하기 시작하면서 사고(史庫)를 지키는 사찰로서 조선왕실의 비호를 받게 되었으며, 1707년 유수(留守) 황흠(黃欽)이 사각(史閣)을 고쳐 짓고, 다시 별관을 지어 취향당(翠香堂)이라...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강화 삼랑성 정족산성(鼎足山城), 江華 三郞城
    보아 13세기에는 이미 산성이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에 산성으로서 기능을 잃었던 것을 1660년(현종 1)에 다시 쌓았다. 같은 해 성 안에 사고(史庫)를 지어 마니산에 있던 실록을 옮겨 왔고, 이때 왕실 족보를 보관하는 선원 보각(璿源譜閣)도 세웠다. 1739년(영조 15)에 성을 중수하고 남문 문루를...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