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여 정림사 扶餘 定林寺
    瓦銘)에 ‘太平八年戊申定林寺大藏堂草(태평팔년무신정림사대장당초)’라고 씌어 있어 정림사임을 알게 되었다. 현재 절터에는 부여 정림사지 석탑(국보, 1962년 지정)과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이 있다. 이 불상은 고려시대의 사찰 중수 때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람배치는 강당...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구미 낙산리 삼층석탑 龜尾 洛山里 三層石塔
    뚜렷이 오목새김되었지만, 3층 지붕돌에는 낙수골 없이 합각의 표현만 뚜렷하다. 또한 지붕돌 받침은 직각이 아닌 약간의 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부여 정림사지 석탑(국보, 1962년 지정)의 지붕돌 받침과 비슷한 인상을 주고 있다. 특히 아래 받침돌 면석에 3개의 가운데 기둥이 새겨진 것은 초기 양식이지만, 몸...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정림사지박물관 定林寺址博物館
    소장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1983년 사적으로 지정된 정림사지와 1962년 국보로 지정된 정림사지석탑,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을 관리하고 있다...관람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백제 문화 재조명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부여 지역의 전통문화에 관한 종합 사회교육시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익산 왕궁리 석탑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의 발굴과정에서 지금의 석탑에 앞서 목탑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흔적이 이 탑 밑부분에서 발견되어 다시금 주목을 끌고 있다. 전설에는 이곳에 한 노인이 아들과 딸을 데리고 살았는데 하루는 관상가가 아들과 딸 중 한 명만 데리고 살아야 큰 화를 면할 수 있다고 했다. 노인은 아들과 딸...
    도서 위키백과
  • 정읍 은선리 삼층석탑 井邑隱仙里三層石塔
    받침돌을 놓았는데 특별한 장식은 없다. 가운데받침돌도 4장의 돌로 짜여져 있으며, 덮개돌[甲石] 역시 2장의 돌을 사용했다. 이러한 기단 형식은 부여 정림사지 석탑(국보 제9호)과 같은 양식이다.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여러 장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1층 몸돌 높이는 약 2m로 대단히 높은 반면 2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강진 금곡사 삼층석탑 康津 金谷寺 三層石塔
    짜임새 있게 구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이처럼 기둥과 면석을 각각 다른 돌로 만들어 일정한 수를 규칙으로 삼아 짜맞춘 방식은 백제시대에 건립된 부여 정림사지 석탑(국보, 1962년 지정)에서 시도되었던 것이어서, 이 석탑은 백제계 석탑이라고 할 수 있다. 덮개돌은 경사가 없는 평평한 2장의 돌로 구성하였는데...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장암면 장하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84호로 지정되었다. 백제의 옛 땅이었던 충청·전라도에는 부여 정림사지 석탑(국보 제9호)의 양식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 이 탑 역시 그런 계열에 속하는 탑이다. 땅 위에 자연석에 가까운 바닥돌을 깔고...
    도서 위키백과
  • 탑동 삼층석탑 평창탑동리삼층석탑, 塔洞 三層石塔
    있다. 이 석탑은 옥개석이 넓어 상당히 안정감을 주고 있으며 그 형식은 옥개석의 층급 받침이 별석으로 처리되고 기단의 1층기단으로 된 점 등이 부여정림사지석탑을 연상하게 한다. 그러나 갑석의 낙수면(落水面)이 완만하고 반전이 미미한 점에서 예술미에 있어서 석탑보다 뒤지나 그 양식에 있어서는...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국립부여박물관 백제 문화 황금기로의 초대
    이해를 도와주자. 3000송이의 꽃이 떨어진 슬픈 바위, 낙화암 발길 닿는 곳이 곧 박물관인 '부여'라는 도시는 그래서 봐야 할 것들이 참 많다. '정림사지 석탑'은 국보 제9호로 지정된 백제의 석탑이다. 7세기에 만들어졌으며, 지금은 터만 남은 부여 정림사에 세워져 있다.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과 함께 우리나라의...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 부여 석조 扶餘 石槽
    품위를 한층 더 높여 주고 있다. 특히 겉면에는 “대당평백제국비명(大唐平百濟國碑銘)…”이라고 오목새겨진 불분명한 여러 줄의 글자가 있는데, 부여 정림사지 석탑(국보, 1962년 지정)에 있는 글자와 함께 당나라 군사가 백제를 멸망시킨 뒤 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석조는 안쪽면과 바깥쪽면, 그리고 받침돌...
    시대 :
    고대/삼국/백제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경주 정혜사지 십삼석탑
    왕도 행차한 바가 있다"고 적고 있다. "후에 이것을 고쳐 절을 마련했는데 곧 정혜사라 한다"고 기록했다. 이 절터에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독특한 형태의 13층 석탑만 남아 있다. 경주 정혜사지 부여 정림사지 석탑 (국보 제9호) 익산 미륵사지 석탑 (국보 제11호) 충주 탑평리 칠석탑 (국보 제6호) 글로벌세계대백과
    도서 위키백과
  • 당평백제국비 唐平百濟國碑
    소정방비, 당평제탑비, 평제탑비, 정림사지석탑각자, 정림사지석탑미석각자 등으로도 불린다. 또한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대당평백제국비명이 새겨져...있던 석조(石槽) 표면에도 새겼는데,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내용 정림사지 5층 석탑에는 전체 글자 수가 2,126자에 달하는 장문의 기록이...
    유형 :
    유물
    분야 :
    역사/고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0건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정측면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후측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