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의각 義覺내용 키가 일곱자나 되었다고 한다. 일본으로 건너가 불교를 연구하면서 난파(難波)의 백제사(百濟寺)에 머물렀다. 어느날 저녁 『반야심경』을 외우는데, 그 절의 혜의(慧義)가 밤중에 의각의 방을 보니 광채가 찬란하였다. 혜의가 괴이하게 여겨 창틈으로 엿보았는데, 경을 외우는 그의 입에서 광채가 나오고 있었다...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영험 영응(靈應), 靈驗諸尊)이 영험한 일들을 보인 내용이 설해져있다. 중국과 우리나라 등으로 불교가 전래되면서 경전과 관련된 영험설화가 많이 전해진다. 대표적인 것으로 『반야심경』의 관음 영험담이 있다. 당나라 현장법사(玄奬法師)가 629년에 천축국으로 구법의 길을 떠났을 때의 이야기이다. 현장법사는 익주 공혜사에 이르러...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묵암 默菴명성학교(明星學敎)를 설립하여 교장을 맡았으며, 조선일보 평양지국장도 겸임하였다. 1947년평양영명사(永明寺)의 열반법회에서 7일간 ≪반야심경≫을 강설하였으며, ≪반야심경강설≫을 탈고하고 월남하여 이듬해 1월≪불교성전 반야심경≫을 전남일보사에서 간행하였다. 또한 한영(漢永) 등과 불교재건에 노력하며...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진공묘유 眞空妙有실체로 존재하는 것이 아님을 뜻한다. 이와 같은 공에 대해 예부터 몇 가지 잘못된 이해 방식이 있었는데, 중국 화엄종의 승려 법장(法藏: 643~712)은 『반야심경(般若心經)』의 주석서인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에서 이를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는 공이 사물과 다르다는 견해이다. 이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반야사상 般若思想편파성을 보인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반야바라밀다심경찬』은 원측이 해박한 학식과 능통한 범어(梵語)로써 정확하게 논술하였기 때문에 그 뒤 『반야심경』 해석의 기본 자료가 되고 있다. 그는 『반야심경』을 ① 반야교(般若敎)가 일어나는 인연을 말하고, ② 경의 종체(宗體)를 논하였으며, ③ 경의 제목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불조요경 佛祖要經내용 1943년에 편찬된 ≪불교정전 佛敎正典≫에 수록되었으며, 1962년에 원불교 교전과 분책(分冊)된 후 1965년에 발행되었다. ≪금강경≫·≪반야심경≫·≪사십이장경 四十二章經≫·≪현자오복덕경 賢者五福德經≫·≪업보차별경 業報差別經≫ 등의 다섯 가지 불경과 ≪수심결 修心訣≫·≪목우십도송 牧牛十圖頌...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박중빈
- 창작/발표시기 :
- 1965년
- 성격 :
- 원불교경전, 불교서, 경전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원불교
-
-
-
산청 수선사 대반야바라밀다경 수선사 반야경, 山淸 修禪寺 大般若波羅蜜多經설법이다. 반야부 총 16회 600권으로 집대성하여 번역한 것이 『대반야바라밀다경』(혹은 『반야경』)이다. 이 중에서 『대품반야』 · 『소품반야』 · 『반야심경』 · 『금강반야바라밀경』의 4경이 가장 애독되었고, 현장이 번역한 『반야경』으로 보면 『대품반야』는 제2회에, 『소품반야』는 제4회에, 『반야심경...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태현 대현(大賢), 太賢금강반야경고적기(金剛般若經古迹記)』 1권, 『신역금강반야경고적기(新譯金剛般若經古迹記)』 1권, 『인왕반야경고적기(仁王般若經古迹記)』 1권, 『반야심경고적기(般若心經古迹記)』 1권, 『반야심경주(般若心經注)』 2권, 『법화경고적기(法華經古迹記)』 4권, 『무량수경고적기(無量壽經古迹記)』 1...
- 시대 :
- 고대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승려 僧侶아니라 세속의 냉대와 인정 속에서 스스로의 마음을 닦는 수행의 필수요건처럼 되어 있었다. 그리고 걸식을 하게 되면 일곱 집을 차례로 방문하되, 한편의 ≪반야심경 般若心經≫을 다 외우고 나서 다음 집으로 옮겨가게 되며, 일곱 집에서 음식을 얻지 못할 경우에는 그날의 밥은 먹지 않게 되어 있었으며, 음식을 받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있으며, 이어 보공양진언(普供養眞言) · 발원문(發願文) · 운하범(云何梵)과 경문이 실려 있다. 경문에 이어서 보궐진언(補闕眞言) · 사구게(四句偈) · 반야심경(般若心經) · 소재묘길상신주(消災妙吉祥神呪) · 묘법연화경심(妙法蓮華經心) · 설삼승법게(說三乘法偈) · 사제법(四諦法) · 십이인연법(十二因緣法...
- 시대 :
- 고려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