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용학보의 庸學補疑퇴계집(退溪集)』·『율곡집(栗谷集)』·『사계집(沙溪集)』·『우복집(愚伏集)』·『계곡집(谿谷集)』·『우암집(尤庵集)』·『동춘집(同春集)』·『농암집(農巖集)』·『남당집(南塘集)』·『과재집(過齋集)』·『수암집(遂庵集)』·『후재집(厚齋集)』 등 수십여 문집에 달한다. 권1은 중용보의(中庸補疑)로서 모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송병순
- 창작/발표시기 :
- 1897년
- 성격 :
- 주석서,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2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
몽예집 夢藝集圖說)』·『농암집(農巖集)』·『경세서(經世書)』·『서애집(西厓集)』 등 읽은 책이나 책 속의 중요한 내용에 관한 평록(評錄)과 아울러 11조에 걸쳐 시도한 우리나라 명현들의 시문을 평론한 것이 들어 있다. 「장자천하편해(莊子天下篇解)」는 『장자』의 천하편에서 문제되는 부분을 뽑아 해석한 것으로 견해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남극관(南克寬)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의소 인악(仁岳), 義沼秋波) · 농암(聾巖) 등의 고승을 찾아가서 수학하였다. 1768년 의소는 벽봉에게 편양파의 상봉(上峯) 정원(1627~1709)으로부터 법을 전해받았으며, 영원정사(靈源精舍)에서 화엄(華嚴)의 종장이었던 설파 상언(雪坡尙彦, 1707~1791)에게 『화엄경』 등을 배워 그 이치를 깨달았다. 그 뒤 비슬산 · 팔공산 · 불영산 등...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영암 녹동서원 소장 목판 및 고문서류그 뒤 최덕지의 손자인 산당 최충성(1458∼1491), 문곡 김수항(1629∼1689), 농암 김창협(1651∼1708) 등을 차례로 모셨다. 현재 많은 고문서류와 목판 등이...또한 목판으로는 『연촌유사』, 『문곡집』, 『산당집』등 모셔진 인물들의 문집 목판과 인근지역의 인물의 『석천집』 등이 있다. 이 유물들은 녹동서원의...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