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명 無明
    인간 생사의 근원을 밝히는 12연기(緣起)의 첫머리에 나오는 무명은 ‘나’가 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요 ‘나’를 범부이게끔 하는 근원이며, 모든 번뇌근본이요 일체 악업(惡業)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또 ≪본업경 本業經≫에서는 “무명은 일체법(一切法)을 밝게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불교 용어 목록 (정)
    그룹에 속한 번뇌성의 마음작용들은 모든 불선심(不善心), 즉 악한 마음과 언제나 함께 일어나는 수번뇌(隨煩惱)라는 것을 뜻한다.sfnsfnsfn 중수혹(中隨惑)에...後際)의 3제(三際) 가운데 하나로, 현재를 말한다.sfnsfnsfn 2. 중제>을 근본성전으로 하여 천태대사 지의에 의해 대성된, 중국 불교 중에서 대표적인 교학...
    도서 위키백과
  • 유가론기 瑜伽論記
    부정종성(不定種姓)·무성종성(無性種姓) 등 유식가의 오성사상을 주석하고 있다. 제7권에는 심(心)·의(意)·식(識)을 유식종의 심식설과 비교하고, 근본번뇌(根本煩惱)와 수번뇌(隨煩惱)를 대치(對治)하는 수행과 삼십칠조도품의 수행을 싣고 있다. 제8권에는 십신(十信)에서 성불까지의 수행과정을 기록하고 있다. 즉...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둔륜(遁倫)
    창작/발표시기 :
    신라시대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4권 또는 48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유식사상 唯識思想
    아애는 자신을 집착하고 애착하는 번뇌를 말한다. 이들 네 가지 번뇌는 모든 번뇌의 근원이 되며 여타의 식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근본번뇌라 하고 말나식을 번뇌의 발생처로서 윤회의 근본이라고 말한다. (3) 의식(意識) 의식은 과거를 회상하고 현재를 생각하며 미래를 예측하는 마음을 뜻한다. 현재는 눈, 귀, 혀, 몸...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중변분별론소 중변소(中邊疏), 中邊分別論疏
    을 유지하는 것이다. 사정단은 사정근(四正勤)이라고도 하는데, 이미 발생한 악법을 수행으로 말미암아 바르게 끊어 나아감을 뜻한다. 즉, 욕계(欲界)의 근본 번뇌와 수번뇌(隨煩惱) 등이 청정한 마음을 파괴하므로 이를 정화하고 내적인 욕심도 끊어 없애는 것이다. 동시에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승기신론동이략집 大乘起信論同異略集
    ⑦ 집장동이문(執障同異門)에서는 아집(我執)과 법집(法執),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에 대한 차이점을 밝혔다. 『성유식론』에서는 아집을 근본번뇌로 보았으나, 『대승기신론』에서는 육종염심(六種染心)을 번뇌장으로 보고 근본무명을 소지장으로 파악하고 있다. ⑧ 위행동이문(位行同異門)에서는 어떠한...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승불교 大乘佛敎
    동시에 그 자체와 제8아뢰야식에 의지하여 활동하는 식이다. 특히 이 식은 아뢰야식을 상대로 끊임없이 사량(思量), 집착하며 아집(我執)과 법집(法執) 등 근본 번뇌를 야기시킨다. 이로 말미암아 아치(我痴)와 아견(我見) 그리고 아만(我慢) 및 아애(我愛) 등의 근본 4번뇌를 야기케 하여 제6의식 등 다른 식에게도...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권실교보살유혹도생지의 유혹장(留惑章), 權實敎菩薩留惑度生之義
    번뇌들을 9가지로 나눈 것이 9품 수혹이다. 또 구생혹이란 ‘태어나면서부터 함께 생겨나는 번뇌’를 말한다. 즉 문수보살과 관음보살이 지니고 있는 번뇌근본무명이 아니라 ‘몸을 받게 되면 그와 동시에 존재하게 되는 최소한의 미혹’이라고 하는 것이 인담의 결론이다. 의의와 평가 본서는 5단(段)에 지나지...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소지장 지장(智章), 所知章
    하는 궁극적인 대상인 진여, 또는 법성에 대한 지적 활동을 방해하는 장애를 말한다. 지장(智章)이라고도 한다. 이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 등의 근본적인 번뇌가 사물의 진실을 파악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진실한 지혜가 일어나지 못하도록 막는 장애이다. 소지장은 부파 불교(部派佛敎) 시기의 『대비바사론(大毘婆娑...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이롭지도 않지만 밝게 보지 못하는 까닭에 무엇인가 좋지 못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무기무명수안식(無記無明隨眼識)으로 파악하여, 이 식을 모든 번뇌근본이 되는 것이라 보는 해석이다. 셋째, 아뢰야식을 참되고 한결같이 동요하지 않는 면과 헛된 망상을 자꾸 일으키는 면이 함께 들어 있는 마음이라고 파악하는...
    시대 :
    고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번뇌장 煩惱障
    양 착각함으로 말미암아 일으키는 갖가지의 번뇌를 번뇌장이라고 한다. 불교에서 말하는 고뇌는 108가지로 열거되는데, 그 가운데서도 번뇌장은 가장 근본이 되는 번뇌로서, 그릇되게 ‘나’의 영원성과 ‘나’에 대한 집착을 일으키게 되는 근본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이기적인 집착은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할 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아상 아견(我見), 我相
    집착하여 아상을 형성한다고 설명한다. 말나식은 자아에 관한 무지[아치(我癡)]·자아에 관한 잘못된 견해[아견(我見)]·자아에 대한 자만심[아만(我慢)]·자아에 대한 애착[아애(我愛)]라는 4가지 근본번뇌로 오염되어 있다. 말나식의 자아의식은 깊은 숙면 상태나 기절했을 때도 중단되지 않는 미세한 의식이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