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자유시사변 自由市事變상해임시정부를 지지했으므로 결국 이르쿠츠크파와 상해파 간의 정면대결이 발생한 것이다. 즉 이항군을 이끌었던 박 일리아는 군통수권장악을 위해 극동공화국 원동부(遠東部) 내의 한인부를 찾아가 이항군대는 자유대대 편입 거부를 통고했다. 이때 극동공화국 한인부에는 상해파의 이동휘계 인물인 박애 · 장도정 등...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프리모르스키 지구 연해주, Primorsky Kray한국에서는 연해주라고 한다. 러시아 연방 극동 지방의 지구들 가운데 가장 작으며, 최남쪽에 있다. 1926년 원래 소비에트 극동 공화국이었던 지역이 극동지구로 바뀌었고, 1938년 극동지구의 일부가 분리되어 지금의 프리모르스키 지구가 되었다. 최고높이가 1,855m에 이르는 시호테알린 산맥이 해안선과 나란히 북동쪽...
- 위치 :
- 러시아 동부의 지구, 동해와 둥베이 지구 사이
- 인구 :
- 1,910,394명 (2020년 추계)
- 면적 :
- 165,900㎢
- 언어 :
- 러시아어
- 국가 :
- 러시아
-
박창은 朴昌殷생애 및 활동사항 1920년 10월 치타에서 러시아공산당극동국 한인부 결성에 참가하고 위원이 되었다. 같은 시기 극동공화국 정부에 의하여 재러시아 대한의용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었으나 사할린의용대의 박일리야와의 갈등으로 1921년 초 총사령관 사임서를 한인부와 극동공화국 군부에 제출한 후 한인부를 탈퇴하고...
- 시대 :
- 근대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대표작 :
- 재러시아 대한의용군 총사령관, 대한국민의회 비서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고려인 강제이주 한인강제이주, 高麗人 强制移住지역에 인구를 공급하고 아울러 농업생산력 증대를 위한 노동수요가 있었고 이를 충족하기 위하여 인위적인 인구유입책이 필요하였다. 사실 극동 지역에서 카자흐 공화국으로 초청된 농업전문가들이 이미 1928년에 이주하여 활동하면서 벼농사를 성공시키고 있었다. 농업기술을 가진 극동 거주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오성묵 吳成默1920년 4월 일본 시베리아출병군이 한인사회를 무차별 습격한 이른바 4월참변이 발생하자 중국 상해로 피신하였다. 1921년 봄에 치타로 돌아와 이 곳에서 극동공화국의 인민혁명군 참모부의 통역관이 되었다. 러시아 국내전쟁이 끝나자 1923년 3월부터 하바로 프스크시당 교육요원 및 연해주당고려부(沿海州黨高麗部...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86년(고종 23)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박애 朴愛것을 주장하였다. 1920년 7월 이르쿠츠크에서 열린 전로고려공산단체 대표자대회에 출석하여 한인사회당의 입장을 대변하였고 1920년 10월에는 치타 극동공화국 원동부 내 한인부에서 활동하였다. 상해파였던 박애는 이르쿠츠크파와의 갈등으로 1921년 4월 극동공화국에서 경찰에 체포되었다. 같은 해 6월 임시고려군사...
- 시대 :
- 근대
- 출생 :
- 미상
- 사망 :
- 1927년
- 경력 :
- 소련공산당 연해주위원회 약소민족부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재소한인사연구 소련한족사, 在蘇韓人史硏究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김승화는 소련 국가기록원의 소장문서를 비롯하여‘10월 혁명’ 전에 존재하였던 러시아공화국 중앙국가기록원의 극동지역 관련 기록, 러시아공화국 인민위원회 문서, 여러 지방 기관의 문서를 발굴하면서 한인 이주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뒤 이들 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승화
- 창작/발표시기 :
- 1965년
- 성격 :
- 학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권
- 간행/발행 :
- 나우카(알마티)
- 분야 :
- 언론·출판/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