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준용 경극(景極), 李埈鎔
    업고 한때 그를 국왕으로 추대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갑오개혁 기간 중, 내무아문 협판 겸 친군 통위사(親軍統衛使)·내무대신 서리에 임명되었으나 군국기무처의 반발로 내무아문 협판직을 사임하였다. 대원군의 후원으로 밀사를 지방으로 파견, 지방 유생과 동학농민군을 추동하고, 평양에 주둔한 청나라 군대와...
    시대 :
    근대/개항기,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870년(고종 7) 6월 25일
    사망 :
    1917년 3월 22일
    경력 :
    내무아문 협판, 영선군(永宣君), 이준공
    유형 :
    인물
    직업 :
    왕족,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성별 :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본관 :
    전주(全州)
  • 김병시 성초(聖初), 金炳始
    경복궁을 점령하고 24일 김홍집(金弘集) 내각을 수립하게 되어 자리를 물러나지 않을 수 없었다. 내각이 수립되면서 갑오경장이 진행되고 새로 조직된 군국기무처에서 시강원사(侍講院師)와 중추원의장(中樞院議長)의 자리를 맡았다. 1895년 명성황후시해사건 후 김홍집내각이 단발령(斷髮令)을 강제로 실시하자 전국...
    시대 :
    근대
    출생 :
    1832년(순조 32)
    사망 :
    1898년(고종 35)
    경력 :
    예문관제학, 독판군국사무, 의정부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용암집(蓉庵集)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안동(安東)
  • 총리대신 總理大臣
    수 있었다. 또한 각부 업무에 대한 조정권이 있었으며, 외교협정 체결, 외국인고문 초빙 등 중요 교섭업무에 대한 인가권을 가지고 있었다. 직속기관으로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도찰원·중추원(中樞院)·기공국(紀功局)·기록국(記錄局)·전고국(銓考局)·관보국(官報局)·편사국(編史局)·회계국·기로소 등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김병시 성초, 金炳始
    청일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에 영의정이 되었으나, 일본군의 왕궁 점령으로 김홍집(金弘集) 내각이 구성되면서 4일 만에 물러났다. 그뒤 새로이 조직된 군국기무처에서 시강원사·중추원의장을 맡았다. 1895년 일본이 명성황후를 시해한 을미사변 후, 단발령이 내려졌을 때 궁내부특진관으로서 이에 반대했다. 1896년(건양...
    출생 :
    1832년(순조 32)
    사망 :
    1898년(광무 2)
    국적 :
    한말, 한국
  • 감생청 減省廳
    임오군란 이후 관제개혁을 하면서 관상감 안에 감생청을 두고 개혁안을 제시하도록 하여 정부기구를 재정비하고자 했다. 의정부 공사당상, 군국기무처 관리, 이조판서, 병조판서, 선혜청당상, 공시당상 등으로 구성되었고, 어윤중이 책임자였다. 감생청이 제안한 감생안은 종친부의 종정경 자격을 국왕의 10촌 이내로 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이도재 성일, 李道宰
    동부승지·참의군국사무·이조참의·성균관대사성 등을 지냈다. 1886년 호군으로 있다가 고금도에 유배되었다가, 1894년 개화파 정부가 수립되자 풀려나와 군국기무처의원이 되었다. 갑오농민전쟁이 확산되자 전라도 위무사 겸 순찰사로 나가 김개남(金開南) 부대를 격파하고 그를 체포하여 처형했다. 1895년 군부대신을...
    출생 :
    1848(헌종 14), 서울
    사망 :
    1909
    국적 :
    한말, 한국
  • 이도재 성일(聖一), 李道宰
    호군으로 재임 중 사대수구파에 의해 고금도에 유배, 가극안치(加棘安置)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개화파 정부가 수립되자 풀려나와 공무협판으로 군국기무처의원(軍國機務處議員)이 되었고, 이어 전라도관찰사로 부임, 그 해 12월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봉준(全琫準)을 순창에서 사로잡아 서울로 압송하였다. 이듬해...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민씨정권
    그뒤 1894년 반제반봉건을 내세운 동학농민혁명도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과 친일개화파·보수유생층의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이에 집권 개화파정권은 군국기무처를 설치하고 갑오개혁을 추진했다. 홍범14조를 제정하여 자주독립을 선언하고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구했지만, 반침략자주화의 민족적 과제를 상실한 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궁내부 宮內府
    갑오개혁기 정치개혁의 하나였던 궁내부관제안은 의정부관제안과 함께 군국기무처 회의에 상정되었으나 일시 보류되었다가 그해 7월 22일 심의 후 국왕의 재가를 얻어 공포되었다. 이 시기 왕실의 재정은 궁내부에서 전담하게 되고, 궁내부 장관은 궁내부 대신으로 궁내의 각 사를 지휘 통솔하였다. 궁내부와 의정부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승선원 승정원, 承宣院
    각 1인, 기주·기사·향실금루주사(香室禁漏主事) 각 2인을 두었다. 그러나 종래의 승정원과 같이 커다란 정치적 세력을 가지지 못하였다. 1894년 9월 11일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에서 의정부에 소속시켜야 한다는 건의에 따라 의정부소속이 되었으나, 그 해 11월 23일 다시 승선원에서 거행하던 관계없는 정령은 모두...
    시대 :
    근대
    성격 :
    관청
    유형 :
    제도
    시행일 :
    1894년
    분야 :
    역사/근대사
  • 이윤용 경중, 李允用
    몰락한 후에는 명성황후의 총애를 받았다. 양덕현감·병조참판·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1894년 형조판서로 좌·우포도대장을 겸했다. 갑오개혁 이후 군국기무처 회의원이 되었다. 1895년 경무사로 있으면서 일본군이 훈련대를 시켜 고종을 감시하자 순검들로 하여금 훈련대 병사에게 모욕과 폭행을 가해 충돌을 유발시켜...
    출생 :
    1854(철종 6)
    사망 :
    미상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정치가
  • 박정양 치중, 朴定陽
    全權公使)로 임명되어 미국에 파견되었으나 청의 압력으로 1889년에 소환되었다. 귀국한 뒤 홍문관 부제학, 호조판서, 한성부 판윤 등을 지내다가, 1894년 군국기무처 회의원이 되었다. 그해 1차 김홍집내각의 학부대신이 되고, 이듬해 2차 김홍집내각이 붕괴되자 내각총리대신이 되어 과도내각을 조직했다. 을미사변...
    출생 :
    1841(헌종 7)
    사망 :
    1904
    국적 :
    한말, 한국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