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여 중정리 유적 扶餘 中井里 遺蹟
    내용 1971년 우연히 발견된 석검이 당시 국립박물관 부여분관(현 국립부여박물관)에 신고되어 조사하게 되었다. 이미 7기는 파괴되어 원형을 알 수 없게 되었다. 신고한 뒤에 파괴되지 않은 유적 2기와 비교적 상태가 좋은 파괴고분 1기가 조사되었다. 이 일대는 풍화암반층으로 석비레층을 파고 화장묘를 만들었다...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부여두곡리고분군 扶餘豆谷里古墳群
    대흥산성이 위치하고, 그 주변 원당골·선박골·배암리 등에도 백제시대의 폐고분들이 무리지어 분포해 있다. 이 고분군은 1979년 10월 국립부여박물관국립공주박물관의 수습발굴조사에서 10기가 조사되어 그 내용의 일부가 알려졌다. 이곳은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과 구덩식돌방무덤[竪穴式石室墳]이 주류...
    시대 :
    고대/삼국
    건립시기 :
    백제시대
    성격 :
    고분
    유형 :
    유적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두곡리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부여나복리유적 扶餘羅福里遺蹟
    것은 이 유적이 장기간에 걸쳐 사람이 살았던 것을 말하여주는데, 빗살무늬토기가 신석기시대 말기의 퇴화형태인 점으로 보면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청동기시대 초기의 두 문화가 서로 접촉하기 시작한 복합된 양상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유물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국립부여박물관에 수집되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선사/석기
    건립시기 :
    신석기시대 말기, 청동기시대 초기
    성격 :
    유물산포지
    유형 :
    유적
    소재지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나복리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당유인원기공비 보물 제21호, 唐劉仁願紀功碑
    때 당나라에서 온 장수 유인원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실질적인 당비이다. 충청남도 부여군 현내면에 있는 부소산에 세워져 있던 것을 8·15해방 후 국립부여박물관에 옮겨 보관하고 있다. 비몸돌의 앞면과 머릿돌이 조금 깨어져 나갔고, 비문의 글도 심하게 마멸되어 알아보기 힘들다. 비몸돌과 머릿돌은 하나의 돌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일신라
  • 활석반가사유상 부여출토활석반가사유상, 滑石半跏思惟像
    내용 높이 13.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동부 건축지에서 출토된 상반신이 없는 반가사유상이다.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에 진열되어 있으나 백제의 옛 땅에서 많이 발견되는 활석제 불상의 하나이며 부여에서 발견된 확실한 백제 반가사유보살상이라는 점에서 백제 반가상 연구에 크게...
    시대 :
    고대/삼국
    건립시기 :
    6세기 말∼7세기 전반
    성격 :
    불상
    유형 :
    유적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6가 168-6
    분야 :
    예술·체육/조각
  • '수·여'자문 목판 壽·如字紋木板
    南山)',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등의 구절에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영친왕 사규삼의 수구 부분에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화문주 부금 두루마기(궁중77), 대화단 부금 전대(궁중75)에 '수여금석 장의자손(壽如金石 長宜子孫)'이 금박으로 찍혀...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3.6cm, 세로: 3.7cm, 높이: 2.8cm
    재질 :
    나무
  • 부여 석조 扶餘 石槽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57m, 지름 1.42m. 현재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지만, 원래는 박물관 건물 동쪽의 우물자리 아래쪽으로 10m쯤 떨어진 곳에 있었다. 기왕에 추정하기로는 왕궁에서 쓰였던 석련지(石蓮池) 관련 유물로 보아 왔으나, 실상은 석가모니 열반 이후의...
    시대 :
    고대/삼국/백제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부여 扶餘郡
    등 1개읍 15개면 433개 동리가 있다(행정리 기준, 법정리 기준 191개리). 군청소재지는 부여읍 사비로이다. 면적 624.57㎢, 인구 60,869(2024). 연혁 지금의 부여군은 1914년의 군면 폐합 때 옛 부여현·홍산현·임천군 전역과 석성현 일부가 통합되어 이루어졌다. 옛 부여현 지역에는 선사시대의 취락지와 많은 청동기...
    위치 :
    충청남도 남서부
    인구 :
    60,869 (2024)
    면적 :
    624.57㎢
    행정구역 :
    1개읍 15개면 433개리
    사이트 :
    http://www.buyeo.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부여 능산리 사지 부여능사, 扶餘 陵山里 寺址
    능산리사지는 사비 도성의 외곽을 둘러싼 나성(사적, 1963년 지정)과 부여 왕릉원(사적, 1963년 지정) 사이의 골짜기에 위치한다. 1992년부터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조사를 진행하여 사찰의 구체적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최근까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와 한국전통문화학교에서 사찰의 부속시설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시대 :
    고대/삼국/백제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고대사
  • 국립박물관 List of national museums, 国家博物馆
    국립 박물관의 목록이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국립나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국립등대박물관 국립...
    도서 위키백과
  • 부여 용정리 소룡골 백제건물지 扶餘 龍井里 소룡골 百濟建物址
    나성(羅城) 등의 유적이 보인다. 건물지는 1985년 동네사람이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瓦當]를 신고함으로써 알려진 유적으로, 같은 해 10월 국립부여박물관 · 충남대학교박물관 합동조사단이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2개의 건물터가 남북으로 31m의 거리를 두고 확인되었는데, 남쪽에 있는 건물터는 북쪽...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扶餘軍守里金銅菩薩立像
    보물 제330호. 높이 11.2㎝.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방형에 가까운 둥근 얼굴에 잔잔한 미소를 띠고 있으며 머리에는 삼화관을 쓰고 있다. 관 양쪽에 있는 3갈래의 끈장식은 어깨 위로 늘어져 있다. 끝이 뾰족한 굵은 목걸이를 하고 있고, 가슴에는 내의가 2줄의 사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천의는 두 어깨 위에 둥근 장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백제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1건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충남 부여 조선총독부박물관 부여분관
부여 금동관음보살입살
부여 금동관음보살입살
금석첩 당유인원기공비 탁본(탑본)
남성이 사용한 요강, 호자
마한시대 새발자국무늬토기
곱은옥(귀걸이로 추정)
여성이 사용한 요강
정림사지 오층석탑
백제역사문화관
계백장군 영정
백제금동대향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