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북특별자치도의 교육·문화·관광
    등지에 집중분포하고 있다. 주요유적으로는 전주시의 전동성당·남고산성, 남원시의 황산대첩터·만인의총, 정읍시의 무성서원·황토현전적비, 고창군의 고창읍성·고창분청사기요지, 김제시의 벽골제, 익산시의 토성과 미륵사지를 들 수 있다. 자연관광지로는 지리산·덕유산·내장산·변산반도 국립공원과 대둔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북도
  • 자유고등학교
    따라 고창여자고등학교 교명 사용 (복교 제1회 입학식) 1956년 2월 2일 : 고창여자고등학교(교촌리 75번지) 설립 인가(보통과 1학급) 1960년 5월 6일 : 고창읍성(읍내리 125의 9번지)으로 이전 1983년 10월 31일 : 학급 증설(학년당 6학급) 1985년 12월 26일 : 학교법인 학산학원 설립, 학산 정규진 이사장 취임 1986년...
    도서 위키백과
  • 신재효 판소리 공원
    고창판소리와 신재효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2003년 등재)이다. 고창읍성 성곽길이 펼쳐지는 곳에 들어선 신재효판소리공원은 고창의 아전 출신으로 판소리를 집대성한 동리 신재효(1812~1884) 선생을 기억하고 판소리 관련 시설물을 통칭한 열린 공간이다. 3년간의 공사 기간을 거쳐 총사업비 32억 5000만 원이...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 우연
    소고기의 다양한 부위를 맛볼 수 있다. 야끼니꾸 외에도 스키야키, 한우 물회, 돈코츠라멘, 하이볼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매장은 넓은 편으로 4인석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찌석과 단체 모임이 가능한 넓은 테이블도 있다. 주변의 둘러볼만한 관광지로는 고창 청보리밭 축제, 고창 읍성, 선운사 등이 있다.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동리로 126-3
  • 성돌이 城돌이
    길목에는 가족과 친지들이 대기하고 있다가 미리 마련한 주식(酒食)을 들며 함께 즐긴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에서는 모양산성(牟陽山城)이라고도 불리는 고창읍성을 윤달에 부녀자들이 성벽을 따라 세번 도는데, 머리에 돌을 이고 도는 것이 특색이다. 이렇게 하면 액운을 면하고 장수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모양산성은...
    유형 :
    놀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호남창의회맹소 湖南倡義會盟所
    傳令)」, 「광고문(廣告文)」, 「축문(祝文)」 등이 남아 있다. 본격적인 무장투쟁은 1907년 10월 30일 무장분파소(茂長分派所) 습격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어 고창읍성을 점령하여 장기적인 항전을 모색하기도 하였으며, 12월에는 영광의 법성포(法聖浦)를 공격하여 쌓아 둔 세곡(稅穀)을 빼앗아 일부는 빈민에게 나누어...
    시대 :
    근대/대한제국기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근대사
  • 고창장 (3, 8일)
    5일 장이 열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상설시장과 5일 장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조선 말기 고창 읍내장은 동부시장과 서부시장으로 나뉘어 열렸다. 고창읍성을 기준으로 북서쪽이 서부시장이고, 북동쪽이 동부시장으로 불렸다. 한국전쟁이 끝난 뒤 동부시장이 서부시장(고창전통시장)에 합쳐져 현재는 한 곳만 운영...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동산5길 24 (고창읍)
  • 고창읍
    대한민국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교통의 요지로 농산물의 집산이 많은 곳이다. 부근에는 선운산 도립공원이 있으며, 선운사를 비롯하여 고창읍성, 문수사, 방장산, 농추폭포, 소요사 등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고등학교 9개 교, 중학교 14개 교, 초등학교 48개 교가 있다. 고창문화원에서는 지역...
    도서 위키백과
  • 기삼연 경로, 奇參衍
    의병 활동은 1907년 10월 중순부터 1908년 2월 초 순국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1907년 10월 하순 고창 문수사전투를 시작으로 전북 무장주재소 공격, 11월 고창읍성 점령, 12월 장성우편취급소 및 영광주재소, 1908년 1월 담양우편취급소, 함평주재소, 광주 ・ 영광 ・ 나주의 일본인 농장 등 일제 침략 기구와 일본인...
    출생 :
    1851년 1월 18일, 전남 장성(長城)
    사망 :
    1908년 1월 2일
    본관 :
    행주(幸州)
    주요활동 :
    1896년 장성의병을 주도하여 활동하였으며, 1907년 고광순 양회일 등과 거의 추진, 호남창의회맹소 결성하여 고창, 담양, 함평 등에서 활동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호남창의회맹소
  • 전북특별자치도의 성 목록
    다음은 전북특별자치도에 있는 성들의 목록이다. 성 이름 주소 종류 둘레 축성 시기 비고 예지리산성 고창군 고수면 예지리 테뫼식 토성 327m 백제 고창읍성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산9 평지 석성 1684m 조선 사적 145호 무장읍성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 1400m 조선 사적 346호.조선 태종 17년(1417년) 병마사 김저래가...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의 관광 Tourism in South Korea, 大韓民国の観光
    전, 전주한지박물관, 어진박물관, 전주 풍패지관, 전주향교 남원 — 광한루, 춘향 테마파크, 남원 만인의총, 실상사, 남원 교룡산성 고창고창읍성, 선운사, 고창판소리박물관,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유네스코 세계유산) 익산 — 익산 미륵사지, 백제역사유적지구(유네스코 세계유산) 김제 — 금산사 군산...
    도서 위키백과
  • 신사훈
    鐵爐)이다. 신사훈은 신재효(1812~84)의 현손이다. 1911년 6월 17일 부친 신송환과 어머니 박성년의 5남 3년 중 4남으로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449번지에서 출생하였다. 전북 고창읍성 앞 신재효 고택에서 자라 당시 명문 고창고보를 나온 수재였다. 그는 새어머니 손에 이끌려 교회에 나갔다. 고보 시절 영어교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5건

고창 읍성
고창 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고창읍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