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진실주집 眞實珠集
    文)』100건 · 『자기문(仔夔文)』50건 · 『법화삼매참(法華三昧懺)』20건 · 『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30건 · 『선문념송(禪門拈訟)』10건 ·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10건 · 『용감수감(龍龕手鑑)』50건 · 『육도보설(六道普說)』30건 등 약 1천 건의 경전을 간행하였다고 기록하였다. 하지만 실제 간행...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동국승니록 東國僧尼綠
    있다. 신라의 고승들 가운데는 구산선문(九山禪門)을 개창한 조사를 비롯하여 원효(元曉)와 의상(義湘)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인용자료는 주로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에 의거하고 있다. 따라서 내용이 상세하지 않고, 법계(法系)와 문답(問答) 등을 간단하게 다루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반해 고려와 조선의...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미상
    성격 :
    역사서, 전기, 고승전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직지인심 直旨人心
    나라에 적극 수용되었다. 고려의 백운경한(白雲景閑)은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을 편찬하는데, 이 책 역시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과 같은 선종 문헌에서 마음을 곧장 가리키는 내용들을 초록한 것이다. 이후 간화선을 위주로 전개된 조선의 선종에서도 직지인심이 중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포대화상 Budai, 布袋
    모습은 특이했지만, 솔직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고, 사람들을 충만하게 만드는 이상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계차에게는 여러 가지 전설이 있다.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에 나오는 전설에는 눈 속에 누워 있어도 포대의 몸 위에는 눈이 쌓이지 않았다고 한다. 또 사람의 길흉을 알아맞혔다는 등의 유형의 일화...
    도서 위키백과
  • 벽암록 Blue Cliff Record, 碧巌録
    宗杲)는 이것이 선(禪)을 형해화(刑骸化)하는 것이라고 하여 간본(刊本)을 회수해서 소각해 버렸다. 1297년 원나라 때 장명원(張明遠) 거사가 "종문제일서 원오벽암록"이란 이름으로 재출판하여 오늘날 일반에 유포되었다. 종문제일서란 임제종의 최고 서적이란 의미이다. 선종 공안 화두 고칙 경덕전등록 불교 논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김해 원명사 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경상남도지사, 2011-09-08 임란 후에 간행된 경전 7책중 하나로, 십지경론(하) 난승지 제5권 7~ 법운지 제10권 12, 간집록, 대방광불화엄경소초 권34, 경덕전등록 권22~24,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6, 묘법연화경 권1,2이다. 각수를 적어놓은 형태나 어미 모양 등 지방 사찰에서 간행된 목판본의 형태와 판본류를 확인...
    도서 위키백과
  • 부산 회명사 묘법연화경 권1
    한역본으로는 현재 3종이 남아 있다. 그 중 406년(동진 의희 2)에 구마라집(鳩摩羅什)에 의해서 번역된 한역본이 가장 널리 유통되고 있다. "법화경"은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선문염송(禪門拈頌)"과 함께 불교 전문 강원의 수의과(隨意科) 과목으로 채택되어 강의되고 있으며, "화엄경(華嚴經)"과 함께 한국불교...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경덕전등록
구미 금강사소장전적 / 경덕전등록
김해 보현사 불교전적 / 경덕전등록 권22~2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