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이러스 대처하는 원시 생명체의 지혜행정병이 전투 능력을 인정받아 최전방 격전지에 배치된 셈이다. RNAse III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방법은 RNA간섭(RNAi)이다. RNA 간섭이란 RNA 중 일부가 짧은간섭RNA(siRNA)나 마이크로RNA(miRNA)가 전령RNA(mRNA)의 활성을 조절해서 유전자 발현을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말 그대로 단백질 합성 정보를 담은 mRNA가...
-
-
꿀벌 집단 실종, 인류를 위협한다노출돼도 끄떡없는 꿀벌을 탄생시켰다. 본래 RNA는 DNA의 유전정보를 복사해 단백질을 만들지만, 일부 RNA는 단백질을 만들지 않고 다른 RNA와 결합해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RNA 간섭’ 현상을 활용했다. 간섭 RNA가 꿀벌에 침입한 꿀벌응애의 생존에 필수적인 유전자와 결합해 기능을 차단하게 한 것이다. 10...
-
목적지까지 약물을 전달하라! 나노 입자 ‘크네델’바이러스와 바이러스 모방체를 사용하는 약물전달시스템도 있다. 2006년 노벨생리학상은 RNA 간섭(RNA interference) 현상에 대한 연구에 주어졌는데, 이는 RNA간섭을 이용해 우리 몸을 치료할 가능성을 열었기 때문이다. 우리 몸의 세포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유전 물질인 DNA가 손상을 입어 비정상적인 단백질을...
-
춘곤증, 봄볕 때문이 아니었네~이용한 실험에서 세포 내 ‘사이클린 A 단백질’이 줄어들면 잠자는 시간도 줄어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유전자 활성화 여부를 구별할 수 있는 RNA 간섭 현상을 이용해 초파리 신경 세포에 있는 유전자 수천 개의 역할을 확인했다. 초파리는 유전자 조합이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사람처럼 밤에 잠을 자기 때문...
-
에볼라 바이러스, 합리적인 경계가 필요하다!면역계를 항체가 대신하는 방법이다. 이 항체들은 에볼라 바이러스를 인식하여 달라붙는데, 이로써 바이러스 확산을 막고 무력화시킬 수 있다. 두 번째는 RNA의 간섭 현상을 이용한 치료제다. 캐나다의 제약 회사가 개발한 ‘TMK-에볼라’라는 약품이 그 선두 주자인데, 이 치료제는 에볼라 바이러스의 전령 RNA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