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간회 창립합동은 완성되었다 하더라. O 창립준비위원 권동진(權東鎭), 명제세(明濟世), 최익환(崔益煥), 신석우(申錫雨), 권태석(權泰錫), 이동욱(李東旭), 홍명희(洪命熹), 장지영(張志暎), 김항규(金恒圭), 안재홍(安在鴻), 한위건(韓偉鍵), 이병진(李炳鎭) 해설 1920년대 중반 국내의 항일 독립운동은 큰 벽에 부닥친다. 일제...
- 간행/발행 :
- 조선일보(1927년 02월 14일)
-
남북협상 南北協商계열로 양분되었다. 1948년 2월, 14개 정당과 51개의 사회단체로 구성된 중간파 정치세력의 집결체인 민족자주연맹은 위원장 김규식의 주재로 정치위원 홍명희(洪命憙)와 원세훈(元世勳) 등 5명과 상무위원 안재홍(安在鴻)·여운홍(呂運弘)·최동오(崔東旿)·유석현(劉錫鉉)·이상백(李相佰) 등 17명이 김규식의 숙소인...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1920년대의 한국문학사감독 · 주연의 영화 「아리랑」이 개봉된다. 조선키네마가 제작한 「아리랑」은 엄청난 인기를 끌어 350석의 객석이 날마다 사람들로 꽉 찬다. 1928년에는 홍명희가 장편 대하 소설 「임꺽정」을 『조선일보』에 연재해 독자들의 사랑을 흠뻑 받는다. 「임꺽정」은 천민 계급 출신의 주인공을 내세워 고유 정서가...
-
190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최남선 애국 계몽 문학의 거장신문학의 기수이며 계몽 운동가인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은 춘원 이광수 및 「임꺽정」의 작가 벽초 홍명희와 함께 조선 3대 천재로 일컬어진다. “동시대인으로부터 너무 앞서 있었기에, 그의 주위는 사면이 모두 처녀지였기에, 그의 일거수 일투족이 모두 신기한 것이었기에, 시대는 그에게 ‘무슨...
- 출생 :
- 1890년
- 사망 :
- 1957년
-
-
신사상연구회 화요회(火曜會), 新思想硏究會설립목적 같은 해 7월 7일 낙원동 173번지에서 홍명희(洪命熹), 김찬(金燦), 구연흠(具然欽), 원우관(元友觀), 박일병(朴一秉) 등의 발기로 조직되었다. “소련, 일본, 중국 등지에서 홍수와 같이 팽배하게 몰려오는 신사상을 연구해 조리 있는 갈피를 찾아보려는 목적”을 표방한 사상단체였다. 연원 및 변천 일본...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3년 7월
- 성격 :
- 학술단체, 사회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홍명희, 김찬, 구연흠, 원우관, 박일병
- 분야 :
- 역사/근대사
-
담원시조 薝園時調서지적 사항 B6판, 154면. 반양장. 편찬/발간 경위 1948년 을유문화사에서 홍명희(洪命熹)의 제자(題字)로 출판하였다. 백낙준(白樂濬)·양주동(梁柱東)이 서문을 썼다. 초판에는 홍명희의 시조 <담원시조를 읽고>와 이에 화답한 저자의 <벽초가 써보낸 것을 보고>가 제순(題順 : 목차) 앞에 실려 있었으나, 1955년...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정인보
- 창작/발표시기 :
- 1948년
- 성격 :
- 시조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을유문화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백팔번뇌 百八煩惱구성과 내용 『백팔번뇌』에는 최남선의 자서와 함께 박한영, 홍명희, 이광수, 정인보의 발문이 포함되어 있다. 최남선, 홍명희, 이광수는 국한문으로 썼고, 박한영과 정인보는 한문으로 썼다. 정인보는 시조 형식에 주목했으며, 시조와 민요의 연관성을 언급한다. 이후 최남선의 시조 총 108수가 3부로 나뉘어 실려있다...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도서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무정 無情걸려 죽는 등 불우하고 가난한 유년기를 보냈다. 동학 당원인 박찬명 대령의 집에 머물다가 1905년 일진회 유학생으로 뽑혀 일본으로 갔다. 그곳에서 홍명희, 최남선 등을 알게 됐고 메이지 학원 재학 시절에는 톨스토이에 심취하기도 했다. 1910년 메이지 학원을 졸업하고 이승훈의 초청으로 오산학교 교원이 되었다...
- 원제 :
- 無情
- 발행일 :
- 2010년 7월 2일
- 지은이 :
- 이광수
- 책임 편집 :
- 정영훈
- 출판사 :
- 민음사
- ISBN :
- 978-89-374-6250-4
- 페이지 수 :
- 568쪽
- 시리즈 번호 :
- 세계문학전집 250
-
중등국어교본 中等國語敎本무궁화」(조동탁), 「엄마야 누나야」(김소월), 「가고파」(이은상) 등의 작품이 처음 등장한다. 상권의 필자 중에는 조만식 · 이태준 · 김기림 · 홍명희 · 박태원 등 납북 또는 월북 인사들이 보인다. 중권은 총 40개과 중에서 「청춘 예찬」(민태원), 「청추수제」(이희승), 「녹음 애송시」(정지용) 등의 작품이...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문헌
- 분야 :
- 교육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