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권수정업왕생첩경도 勸修淨業往生捷經圖九品蓮華臺: 극락세계를 9가지로 나눈 연화대) 속에 왕생한 모습을 묘사하였으며, 다시 상·중·하 3단으로 나누었다. 아래 단에는 하품하생(下品下生)·하품중생(下品中生)·하품상생(下品上生)을, 가운데 단에는 중품하생·중품중생·중품상생을, 윗단에는 상품하생·상품중생·상품상생을 묘사하였다. 이 중 하품하생...
- 성격 :
- 불화, 불교용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개들만의 언어가 따로 있을까?같은 맥락이다. 다른 개와 만나 서로 스쳐 지나갈 때 지면의 냄새를 맡으며 관심이 없는 척하는 경우도 있다. 개의 보디랭귀지 중 가장 특이한 것은 '하품'이다. 하품 역시 카밍 시그널의 한 종류로, 개가 연거푸 하품하는 것은 불안하거나 무언가에 공포심을 느끼는 경우다. 혹은 스트레스를 받을 때도 하품한다. 화난...
-
도련지 搗鍊紙, Doryunji만든 종이이다. 『탁지준절(度支準折)』에 의하면 조선시대 사용되었던 문서지 명칭이 마무리 방법이나 가공방법 등에 따라 상품도련지(上品搗鍊紙), 하품도련지(下品搗鍊紙), 초주지(草注紙), 저주지(楮注紙)로 구분되었다. 상품은 평균밀도가 0.6g/㎤이상, 하품은 0.5g/㎤이상으로 보다 많은 도련과정(搗鍊科程)을...
- 시대 :
- 조선
- 성격 :
- 종이
- 유형 :
- 물품
- 용도 :
- 문서지
- 관련 의례 :
- 추모 의례(儀禮) 관련 제문(祭文) 작성, 추층(追贈)·시호(諡號) 하사 의례(儀禮)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가니레버프리필드시린지주0.25mg/0.5mL Ganireve Pre-filled Syri..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0.56 %(4명/711명, 11건)이었으며, 어지러움 0.42 %(3명/711명, 3건), 구토 0.28 %(2명/711명, 2건), 오심, 두통, 근육통, 발진, 복통, 하품 각각 0.14 %(1명/711명, 1건)로 조사되었다. 국내 시판 후 조사기간 동안 발생한 예상하지 못한 유해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0.98 %(7...
- 식약처 분류 :
- 기타의 호르몬제(항호르몬제를 포함) (249)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엘지화학
- 급여정보 :
- 보험코드 668903001_27493원/0.5mL/관, 급여(2018-07-25)
- 임산부 금기 :
- 1등급 , 원칙적 사용금기
- 제형 :
- 주사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주사
- 보관방법 :
- 밀봉용기, 차광, 2~30 ℃ 보관
-
조겔어덜트진지발겔 Xogel Adult Gingival Gel부주의한 혈관내 주사 후 즉시, 또는 과량의 국소마취제 사용후 2)과량투여의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①중추신경계: 신경과민, 흥분, 하품, 진전, 불안, 안구진랑증, 어루증, 두봉, 오심, 이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발작후 중추신경계의 저하와 같은 유발가능한 악화를...
- 식약처 분류 :
- 국소마취제 (121)
- 전문/일반 :
- 전문 의약품
- 제조/수입사 :
- 신원덴탈
- 급여정보 :
- 보험코드 658300050_원/1g, 산정불가(2014-02-01)
- 제형 :
- 겔제
- 단일/복합 :
- 단일 성분
- 투여 경로 :
- 구강&치아
- 보관방법 :
- 밀폐용기, 25℃이하에서 보관
-
관경변상도 극락에 가기 위한 수련, 觀經變相圖중앙에 석가세존을 중심으로 10대 제자, 16성중, 6대 천왕 등 무수한 성중(聖衆)이 둘러싸고 있는 정토를 묘사하고 그 아래 3단에는 상품(上品)·중품·하품에 각각 상생(上生)·중생·하생으로 나뉘는 9품 중생을 하나씩의 전각으로 구성한 상배관(上輩觀)·중배관(中輩觀)·하배관(下輩觀)으로 묘사한다. 그 상부에는...
-
고양이 언어이라고 한다. 고양이 언어 중에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언어이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사람 언어로 번역을 하면 ‘싫어!’ 정도이다. 입맛을 다시는 경우 하품과 조금은 다른 방식으로 입맛을 반복적으로 다신다면 따분하다는 감정의 표현이다. 입술을 핥는 경우 불안함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메롱을 하는 경우 흡족...
-
극락구품도 極樂九品圖그 발전 및 변모과정은 고려 관경변상도와 조선시대 관경16관변상도에서 찾을 수 있다. 내용 극락구품도란 관경16관변상도 중 상품(제14관)·중품(제15관)·하품(제16관)이 다시 각각 상생·중생·하생의 9품으로 세분되어 묘사된 염불왕생극락장면이다. 아미타불·관음보살·대세지보살 등이 표현된 전각과 연결된 구품...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극락구품탱화 極樂九品幀畵연지에 왕생한 자에게 아미타불이 수기를 주는 것은 구품연화대 중 중품중생(中品中生) 이상의 경지에서 이루어진다. 보살이 수기를 주는 것은 중품하생이나 하품상생의 경지이다. 그리고 연꽃 봉오리만 있는 것은 아직 극락의 단계에 이르지 못한 하품하생과 하품중생을 의미한다. 이를 전체적으로 보면 상단의 세 부분...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금동 불좌상(아미타불)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금동아미타여래좌상, 金銅 佛坐像(阿彌陀佛)인상을 준다. 손은 작고 섬세하게 표현되었는데, 수인은 오른손을 가슴 높이로 들고, 왼손은 왼쪽 옆구리 높이로 든 자세에 양손 모두 엄지와 중지를 맞댄 하품중생인을 결하고 있다. 조선시대로 넘어갈수록 석가모니불은 항마촉지인, 아미타불은 시무외여원인 형식의 하품중생인으로 도상이 정리되어 가고, 그 이전인...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관경변상도 관무량수경변상도, 觀經變相圖상품상생ㆍ상품중생ㆍ상품하생의 왕생모습, 제15중배관(第十五中輩觀)은 중품상생ㆍ중품중생ㆍ중품하생의 왕생모습, 제16하배관(第十六下輩觀)에는 하품상생ㆍ하품중생ㆍ하품하생의 왕생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판본 변상도는 황해도 석두사(石頭寺, 1558년), 전라도 실상사(實相寺, 1611년), 삼각산 내원암(內院庵...
- 시대 :
- 고려,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