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태음지질
    따라서 전통 역법에서, 태음지질은 근점월을 기준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이는 마치 세차 발견 이후 회귀년을 기준으로 태양영축을 만드는 것과 같다.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이나 『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에서 근점월을 모두 전종일(轉終日)이라고 한다. 중국에서 달의 운행에 태음지질을 처음 도입한 역법은 오...
    시대 :
    고려,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천문학 天文學
    제조 1인이 시관(試官)이 되었는데, 시험과목은 천문학에서는 ≪보천가 步天歌≫, 외우거나 그리기[誦或圖], ≪대명력 大明曆≫의 일월식(日月食), ≪칠정산내편 七政算內篇≫의 일월식, 오성(五星:木火土金水), 태양력일(太陽曆日), 교식(交食)의 추보가령(推步假令), 사여성(四餘星), 중성(中星)의 추보(推步...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이순지 성보(誠甫), 李純之
    11) 판중추원사에 올랐다. 생애 및 활동사항 그는 세종의 명으로 역법(曆法)을 연구한 뒤 정인지(鄭麟趾)·정초(鄭招)·정흠지(鄭欽之)·김담(金淡) 등과 같이 『칠정산내외편(七政算內外篇)』을 저술하였다. 이 『칠정산내외편』의 완성으로 조선의 역법은 완전히 정비되었다. 그 뒤 역법의 계산은 주로 이순지와 김담...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65년
    경력 :
    판중추원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천문학자
    대표작 :
    교식추보법
    성별 :
    분야 :
    과학/과학기술
    본관 :
    양성(陽城)
  • 태양영축 太陽盈縮
    大明曆)에서 처음으로 세차를 도입하였다. 이를 계기로 새로운 주천일수(곧, 1회귀년)가 주천도수와 서로 구분되기 시작한다. 이 새로운 주천일수를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에서는 세주(歲周)로, 『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은 세실(歲實)로 명명하였다. 태양이 하루에 1도(度)를 움직인다고 하는 것은 태양의 평균...
    시대 :
    고려,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정초 열지, 鄭招
    곯지 않고 치료에 전념할 수 있게 했다. 《농사직설》을 편찬하다 세종은 역법의 개정과 농업기술의 개선을 통해 국가의 안정을 이끌어냈다. 여기에는 《칠정산내외편》과 《농사직설》이라는 실용이론서가 큰 역할을 담당했는데 정초가 이 두 가지 서적의 집필을 모두 주도했던 것이다. 특히 그가 단독으로 집필한...
  • 회회력 回回曆
    역법을 그대로 답습하여 대통력을 만들었고, 회회력을 편찬하여 사용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442년(세종 24) 이순지(李純之)·김담 등이 왕명에 의해 〈칠정산내편 七政算內篇〉·〈칠정산외편 七政算外篇〉을 편찬하면서 회회력이 도입되었다. 〈칠정산내편〉은 수시력과 대통력을 참고하여 만든 것이고, 〈칠정산외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교식추보법 交食推步法
    이 책의 산학발몽(算學發蒙)에는 수학의 공식과 계산 예를 실었고, 그 다음에는 교식추보법가령(交食推步法假令)을 실었다. 이에 앞서 편찬되었던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의 교식 장에는 공식과 상수(常數)가 실려 있을 뿐 그 구체적인 계산의 실례가 없었는데, 이 책은 그것을 보충하는 해설서로 생각된다. ‘가령...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순지(李純之), 김석제(金石悌)
    창작/발표시기 :
    1459년
    성격 :
    천문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1책
    분야 :
    과학/과학기술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중수대명력 重修大明曆
    심하게 나타났다. 반면 세종 연간 한양을 표준으로 한 자주적 역법체제를 확립하기 위해 대대적인 사업이 전개되었고 그결과의 하나로 1442년(세종 24) 〈칠정산내편〉이 완성되었다. 1444년 이를 토대로 이순지(李純之)와 김담이 중국의 역서들을 교정하여 대거 간행했는데 〈중수대명력〉은 이때 갑인자로 간행한 것...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칠정산외편 七政算外篇
    3장 일식·월식의 계산법, 4장 금·목·수·화·토의 오성 운동과 그 경도·위도, 5장 오성릉범·시각추산법 등이 공식집의 형태로 실려 있다. 이 책은 〈칠정산내편 七政算內篇〉에 비해 수표가 더 많고 계산도 세밀하며, 추보(천체 관측)의 정확도도 앞서 있다. 내편과의 차이점은 천구 1주(周)를 360˚(내편에서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백중력 百中曆
    太陽通軌)』·『태음통궤(太陰通軌)』·『교식통궤(交食通軌)』·『대통력일통궤(大統曆日通軌)』·『사여전도통궤(四餘纏度通軌)』·『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七政算內篇丁卯年交食假令)』·『칠정산외편』·『칠정산외편정묘년교식가령』·『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 등을 발간하였다...
    시대 :
    조선 후기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780년
    성격 :
    역법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과학/과학기술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한국의 과학(다섯 번째 묶음)
    끌어올린 천문학자입니다. 이십 대 후반에 세종 대왕이 진행한 천문 역법 사업에 참여했으며, 중국과 아랍의 천문학을 섭렵해 조선에 맞게 재정비한 칠정산 내편과 칠정산 외편을 펴냈습니다. 이로써 15세기 조선은 한양을 기준으로 관측하고 계산하는 독자적 역법 체계를 갖추었습니다. 이 외에도 천문학의 역사를 정리...
    발행일 :
    2019. 4. 19.
    발행량 :
    총 702,000장
    종수 :
    3
    액면가격 :
    330
    디자인 :
    천문학자 이순지
    우표번호 :
    3368
    인면 :
    25.5×41.5
    천공 :
    13¼×13
    전지구성 :
    6 × 3(175mm × 165mm)
    용지 :
    평판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4도/청박
    우표크기 :
    25.5×43
    디자이너 :
    신재용
    인쇄처 :
    Cartor for POSA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한국의 과학(다섯 번째 묶음)
    끌어올린 천문학자입니다. 이십 대 후반에 세종 대왕이 진행한 천문 역법 사업에 참여했으며, 중국과 아랍의 천문학을 섭렵해 조선에 맞게 재정비한 칠정산 내편과 칠정산 외편을 펴냈습니다. 이로써 15세기 조선은 한양을 기준으로 관측하고 계산하는 독자적 역법 체계를 갖추었습니다. 이 외에도 천문학의 역사를 정리...
    발행일 :
    2019. 4. 19.
    발행량 :
    총 702,000장
    종수 :
    3
    액면가격 :
    330
    디자인 :
    수학자 최석정
    우표번호 :
    3369
    인면 :
    25.5×41.5
    천공 :
    13¼×13
    전지구성 :
    6 × 3(175mm × 165mm)
    용지 :
    평판원지
    인쇄 및 색수 :
    평판/4도/청박
    우표크기 :
    25.5×43
    디자이너 :
    신재용
    인쇄처 :
    Cartor for POSA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6건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칠정산내편 / 세종
목성 / 칠정산내편
세종시대 최첨단 역법서 - 칠정산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정묘년교식가령
『칠정산내편』, 1422,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칠정산내편 권상 / 기후에 관한 부분
칠정산내편 권상 / 기후에 관한 부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