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련반대운동 교련반대투쟁, 敎鍊反對運動
    2학기에 접어들면서 교련반대운동은 다시금 불붙기 시작했다. 대학가 시위가 점차 확대되던 와중인 10월 5일 새벽 수도경비사령부 소속 군인 30여 명이 고려대에...대응은 강력한 탄압책이었다. 10월 12일 국방장관과 문교장관은 공동 명의로 담화문을 발표하여 교련거부 학생은 재학중의 징병검사 연기를 인정치 않고...
    시대 :
    현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현대사
  • 민종식 윤조, 閔宗植
    항일운동의 전면에 나서게 되었다. 이때 처남인 이용규와 이남규는 의병 동지가 되어 힘을 보탰다. 홍주 을미의병의 총수였던 김복한(金福漢)과 이설(李偰)이 을사5적의 처단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리기 위하여 상경했다는 소식을 들은 그는 상경하였다. 서울 전동의 여인숙에 투숙하면서 한편으로는 이설에게 상소문의...
    출생 :
    1861년 3월 4일, 경기 여주
    사망 :
    1917년 6월 26일
    관련 사건 :
    을미사변, 을사늑약, 홍주성 전투
    업적 :
    1905년 을사늑약에 항거, 홍주의병장 추대, 남포성 전투 승리후 홍주성 점령, 1906년 5월 홍주성 전투에서 패배, 재기 도모 중 체포, 교수형 선고 후 순종 즉위 기념으로 사면
    본관 :
    여흥
    포상훈격 :
    건국훈장 대통령장 1962년
    관련 인물/단체 :
    홍주의진
  • 징병제 Conscription, 徴兵制度
    있다. 운동선수 중 올림픽 3위 이내, 세계선수권 2위 이내, 아시안게임 1위 달성자는 병역특례를 부여한다. 고졸 12개월, 지원병 및 농업 종사자 12~18개월로...남성에 한하여 14개월. 대체복무 시 18개월. 니제르 시민권자이며 미혼인 자만 징병하고 있다. 여성은 간호분야에만 직업으로 근무 가능하다. 영국의 식민지...
    도서 위키백과
  • 청년시기 순국한 독립운동가들, 송몽규 ・ 안창남 ・ 김필순 宋夢奎 ・ 安昌男 ・ 金弼淳
    단호히 거부하고, 조선인으로서의 주체적인 민족의식을 정립하였다. 이들은 모두 식민지 조선의 암울한 현실에 결코 좌절하지 않고, 마땅히 이루어져야 할 우리 민족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다. 송몽규 지사는 28세, 안창남 지사는 29세, 김필순 지사는 41세의 젊은 나이에 독립된 조국을 보지 못하고 안타깝게 순국했다...
    출생 :
    송몽규 1917년 9월 28일, 중국 용정안창남 1901년 1월 29일, 서울김필순 1878년 6월 25일, 황해도 장연
    사망 :
    송몽규 1945년안창남 1930년김필순 1919년
    포상훈격 :
    송몽규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안창남 2001년 건국훈장 애국장김필순 1997년 건국훈장 애족장
  • 강윤국 康潤國
    독립운동을 하고자 1942년 일본으로 건너가 노동자 생활을 하였다. 1943년 5월 일본강관주식회사의 부당한 차별대우에 항의하는 1,000여 명의 한국인 노동자 파업을 주도하며 항일투쟁을 전개하다 요코하마[橫濱] 헌병대에 검거되었다. 1944년 7월 귀국하여 1945년 5월 유만수(柳萬洙), 권준(權俊), 우동학(禹東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러 폴렛 Robert Marion La Follette
    폴렛은 징병에 반대하고 반전운동에 참여한 시민들의 권익을 옹호했으며, 부자들과 대기업을 위한 전쟁이므로 이들이 전쟁비용을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전쟁지지자들은 반역죄의 혐의를 들어 그를 축출할 것을 요구했지만 상원조사위원회는 그의 무죄를 선언했다. 광란과 같은 전쟁의 순교자로서 러 폴렛은...
    출생 :
    1855. 6. 14, 미국 위스콘신 프림로스
    사망 :
    1925. 6. 18, 워싱턴 D. C.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김이현 금촌이웅, 金利鉉
    일본 도쿄(東京) 소재 만몽학교(滿蒙學校) 남방과(南方科)를 졸업하였다. 귀국하여 광주지역에서 일제의 식민정책을 비판하고, 학도병 ・ 징병 거부운동과 신사참배 거부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우리 글과 우리 말 말살정책에 항거하는 등 항일투쟁을 하다가 1944년 2월 일제 경찰에 붙잡혔다. 1944년 11월 23일 광주...
    출생 :
    1920년 11월 6일, 전라남도 광주(光州)
    사망 :
    2006년 1월 17일
    주요활동 :
    1944년 징병 및 신사참배 거부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양심적 병역 거부 Conscientious objector, 良心拒服兵役者
    이에 따라 독일·이스라엘·중화민국 등 40여 나라에서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를 헌법과 하위법령에 기본권으로 명시하고 있다.한겨레 21 2002.12.26 징병제...제도, 대체복무제 병력에 따른 나라 목록, 군대가 없는 나라 목록 병역 기피 예비군 반대 운동 한홍구 강의석 한겨레 21 2002.12.26 한겨레 2011.05.08 전거 통제
    도서 위키백과
  • 김명돌 金命乭
    大旺山)에 입산하였다. 입산할 때 가지고 온 도끼와 낫, 쇠창 29개 등과 산에서 만든 죽창을 무기로 전투 조직을 편성하고, 일제에 맞서 싸울 준비를 하였다. 징병 거부를 통해 일제의 전쟁동원정책에 저항하고자 했던 것이다. 1944년 8월 10일경 징병 거부 청년들의 식량 조달을 위해 대왕산에서 하산했다가 일제 경찰...
    출생 :
    1916년 11월 21일, 경상북도 경산(慶山)
    사망 :
    1983년 11월 30일
    관련 사건 :
    경산 징병 거부
    주요활동 :
    징병 거부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 Opposition to United States i..
    징병 상담 그룹과 함께 상당한 징병 저항 운동이 등장했다. 비록 징병 저항이 때때로 "징병 회피"의 한 형태로 논의되지만, 징병 저항자들과 징병 저항 연구자들은 저항을 회피나 기피의 형태로 분류하는 것을 거부한다. 징병 저항자들은 자신들이 징병을 회피하거나 피하려는 것이 아니라, 정면으로 맞서려 한다고 주장...
    도서 위키백과
  • 반전 운동 Anti-war movement, 反戦運動
    전쟁이 발발하면서 세르비아에서는 수많은 반전 운동이 전개되었다. 반전 시위는 대부분 부코바르 전투,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사라예보 포위전 등의 반대로 이루어졌으며, 시위자들은 선전포고와 징병 중단에 대한 국민투표를 요구했다. 5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많은 시위에 참여했고, 사라예보의 사람들과 연대하여...
    도서 위키백과
  • 무하마드 Elijah Muhammad
    세웠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이슬람 국가운동 지지자들에게 징집명령을 거부하도록 권했기 때문에 선발징병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수감되었다(1942~46). 전쟁이 끝난 뒤 무하마드는 수십 년 동안 끈기 있는 교세확장 활동으로 이슬람 국가운동을 천천히 발전시켜 나갔다. 또한 그는 미국 흑인들에게 독립국가를 세울 것...
    출생 :
    1897. 10. 7, 미국 조지아 샌더스빌
    사망 :
    1975. 2. 25, 시카고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회운동가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다음페이지 없음